이더 지갑에 따라서 전송속도나 이런게 차이가 나는건가요?
제가 코인어스 지갑을 쓰는데 계속 펜딩이 걸려서 마이이더 월렛에서 코인어스 지갑을 복구 했습니다
그런데 마이이더 월렛을 사용하니까 더 적은 수수료를 썻는데도 펜딩도 안 걸리고 송금이 바로 되더라고요
그 짧은 시간에 이더리움 네트워크 상황이 달라진것 같지는 않은데 쓰는 지갑에 따라서 차이가 발생하나요?
출금관리 기능을 어떻게 구현했느냐에 따라서 속도의 차이가 달라 질 수 있습니다.
동일한 조건 하에 모든 지갑의 기능이 단순 transfer함수만 호출하는 것이라면 지갑의 송금 속도가 동일할 것입니다.
그러나, 지갑의 특성마다 가지고 있는 정책과 출금 로직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다른 결과가 나오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예를들어 코인어스 지갑의 경우 '핫월렛과 콜드월렛의 장점을 합친 하이브리드 지갑'이라고 소개 되어있던데
그들이 만들어낸 하이브리드 지갑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transfer함수 호출외에 부가적인 기능이 더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때문에 단순 콜드월렛의 기능을 착실히 수행(오로지 transfer함수만 호출)하는 '마이이더월렛'과의 속도 차이가 발생하게 된 것입니다.
- 답변이 마음에 들었다면?
안녕하세요. 이더 지갑에 따라서 전송속도나 이런게 차이가 나는건가요? 라고 문의 하셨는데요.
이더리움지갑 수수료의 경우 https://ethgasstation.info/ 에 방문하시면 실시간으로 권장 수수료를 확인할수 있습니다.
보편적으로 이더리움의 네트워크에 상황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현재 시간 이더가스스테이션의 권장 수수료는 약 0.000693ETH입니다.
제가 사용하는 지갑인 엔진월렛과 마이이더월렛을 비교해 본 결과 권장수수료는 비슷한 수수료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래 엔진월렛의 경우 느림으로 되어 있고 현재시간 약 0.001902ETH의 수수료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아임토큰의 경우 0.00198ETH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더가스스테이션 수수료와 약 3배가량 많이 나오는데 아마도 지갑회사가 수수료를 받고 진행하는것으로 보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정지수님께서 문의하신것처럼 지갑회사별로 수수료가 차이가 있을것으로 분석이 됩니다.
아래는 아임토큰 권장 수수료입니다.
안녕하세요 Danny입니다.
기본적으로 이더리움 전송시 수수료에 따라서 속도가 차이가 납니다.
그런데 이 속도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서 다를 수 있습니다.
즉, 이더리움 전송시 네트워크의 상황에 따라서 동일한 수수료를 측정하더라도 그 속도는 다릅니다.
기본적으로 위와 같은 개념이 있지만, 각 지갑별로도 속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이는, 각 지갑에서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지불하는 수수료 + 각 지갑에서 본인들이 가져가는 수수료가 있기 때문입니다.
즉, 지갑마다 이더리움네트워크에 지불하는 수수료의 비율과 지갑에서 가져가는 수수료의 비율이 다릅니다.
예를들어 0.01이더를 수수료로 측정했는데, 이더리움 네트워크에는 0.005를 지불하고 해당 지갑에서 0.005를 가져가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0.005에 대한 비율이 지갑마다 상이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가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갑 종류에 따라 전송 속도가 차이날 수 있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설정된 수수료의 차이에서 발생 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리고, 수수료를 보통 높게 설정하면 채굴자들이 우선적으로 해당 트랜잭션을 처리하기 때문에 전송이 빠르게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어느 정도가 과연 높은 수수료인지 적은 수수료인지는 지갑에 들어 있는 수수료 설정 알고리즘에 의해 추천되기 때문에 어느 것이 좋다고 말씀 드리기는 어려운 것 같습니다.
대략적으로 현재 평균 수수료 기준으로 -10% 정도만 해도 금방 금방 처리 해줬던 것 같기는 합니다.
감사합니다.
이더리움 지갑에서는 가스량에 비례하여 전송속도가 결정됩니다. 질문의 내용에선 더 적은 수수료를 이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바로 송금이 되었다는것은 글쎄요.. 마이이더월렛에서 권장하는 수수료와 암호화폐 지갑내에서 사용되는 수수료는 다릅니다. 암호화폐 지갑내에서의 수수료는 지갑을 이용하는 수수료도 포함이 되어 있어서 암호화폐 전송시 사용되는 수수료가 마이이이더월렛보다 작을 수 있습니다.
지갑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지갑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지갑은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등록 합니다. 등록된 거래 내역은 채굴을 통해 실제 거래가 승인, 완료 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지갑 회사가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운용하느냐 아니면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빌려 쓰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노드(node)라고 부르며, 자체적으로 노드를 가지고 있는 지갑 회사는 등록, 승인, 완료를 콘트롤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빌려쓰는 지갑 회사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어떤 노드를 쓰느냐에 따라 지갑에서 속도 차이가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대부분 지갑 회사가 다 똑같지 않나 생각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지갑 회사도 구축된 시스템에 따라 얼마든지 속도 차이나 실제 거래의 편의성이 클 수 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