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02

석양이 질 때 하늘은 왜 붉을까요?

석양일때 하늘은 왜 붉은 색을 띄는 것인가요?

태양의 색상이 붉은 색은 아닐거 같고 어떤 지 궁금합니다. 빛이 산란되서 그랬다고 했는데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23.02.02

    저녁 무렵이 되면 태양의 고도가 낮아집니다.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면 태양빛의 기울기가 작아지게 됩니다.

    기울기가 작아지니, 통과해야하는 대기층이 기울어지는데,

    파장이 짧은 파란~보라 빛은 대기층을 통과하지 못하고,

    이때파장이 긴 빨~주황색만 대기층을 통과하기 때문에 노을 빛이 붉어보입니다.


  • 석양이 질 때 하늘은 붉은 색을 띄는데, 이는 태양광이 대기의 먼지나 습기 등과 상호작용하면서 산란되어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대기 중의 분자들이 빛을 흡수하고 다시 방출함으로써 빛이 산란되고 붉은 색상이 강조됩니다. 태양 광원의 색상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또한 태양이 지평선 아래로 사라진 후에도 붉은 색상이 남아 있는 동안은 빛의 경로가 대기를 통과하면서 계속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일몰 시점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일출 시점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은 빨간색에 가까울수록 파장이 길고 파란색에 가까울수록 파장이 짧습니다.

    저녁에는 해가 비스듬히 비치기 때문에 태양빛이 더 먼거리를 거쳐서 지구로 오면

    파란빛은 먼저 산란이 되고 파장이 긴 빨간빛 만 남기때문에 노을이 생기는 것입니다.


  • 태양이 지구에 비칠때 아침저녁으로 비스듬하게 비추게 되고 파장이긴 빨간색이 끝까지 비추어 우리눈에 보이기 때문이며 파장이 짧은 파란색 계열은 지표에 가려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지구가 둥글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