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매우조심스러운청설모
매우조심스러운청설모

현재 배민은 독일기업인데 배민에서 수수료를 높이는것에 대한 정부에서의 제제는?

현재 배민은 독일기업인데 배민에서 수수료를 높이는것에 대한 정부에서의 제제를 한다고 해서 대주주가 타격을 받나요? 소상공인과 국내 소비자만 힘들어 지는것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매우 좋은 지적이라고 봅니다.

    말씀 하신 대로 배민은 현재 독일 기업 딜리버리히어로가 대주주로 있으며 수수료 인상 시에 바로 국내 소상공인과 소비자 부담이 증가 하지만 반대로 대주주는 수익이 증가하여 이익을 얻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비록 정부의 제재가 있어도 실질적인 타격은 국내 영업 구조에 국한 되기에 외국의 대주주는 직접적 피해는 최소화 되어 수익만 회수하는 불균형적인 구조입니다.

    이에 소비자들이 이에 대한 경각심으로 배민의 수익에 직접적으로 타격을 주는 행동이 필요 하지 않을까 생각을 요즘 해보고 있스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민의 대주주는 독일 딜리버리 히어로입니다.

    물론 수수료 인상에 대한 정부의 제재가 있다고 하면 대주주는 배민의 경영 성과나 시장 점유율 등으로 인해 실적에 민감할 수 있어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소상공인 등의 직접적인 피해도 있을수 있으며 고객들에게도 부담이 전가됩니다.

    대주주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달의민족(배민)의 대주주가 독일 기업 딜리버리히어로인 만큼, 수수료 인상에 대한 정부 제재는 국내 시장 규제 차원에서 제한적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제재가 가해져도 실제 타격은 플랫폼 운영에 국한되고, 대주주는 글로벌 포트폴리오로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어 영향이 제한적입니다.
    결국 수수료 인상은 소상공인과 소비자에게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하는 구조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배민에서 수수료를 높이는 것에 정부의 제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쉽게도 수수료를 높이는 것 그 자체에

    정부가 공권력을 동원해서 제제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우리는 자율 경쟁 체제를 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공정위는 배민 등 배달 중개 플랫폼에서의 최혜 대우 요구가 업계 전반으로 확산돼 결국 배달 수수료가 상승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보고 있는데요. 배민 수수료 부분을 제재하면 아무래도 배민 기업 입장에서는 수익률이 낮아지니 주주 입장에서는 안좋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