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고매한크낙새25
고매한크낙새2524.03.23

베트남은 어떻게 커피 강국이 되었나요?

원래부터 커피가 나는 나라였나요? 베트남 놀러가니까 커피 종류도 많고 되게 유명하더라구요. 생각보다 뭔가 시장이 큰거 같아서 놀랐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프랑스인들의 인공 휴양지로 이용되면서 베트남의 커피산업이 활성화된 것으로 보입니다.

    달랏은 프랑스인들이 만든 인공적인 휴양지였다. 호치민의 무더위를 피할 수 있는 시원하고 쾌적한 도시를 찾아낸 그들은 호수를 만들고 고급 빌라를 지었으며 철로를 깔았다고 합니다. 달랏의 자연환경이 커피 재배에 매우 적합하다는 것을 깨달은 그들은 아예 커피 생산지로 삼기에 이릅니다. 베트남은 아라비카종보다 맛이 쓰고 카페인이 강한 대신 병충해에도 강해 쑥쑥 잘 자라는 로부스타종을 주로 생산하는데, 로부스타종은 대부분 우리가 자주 즐기는 인스턴트커피의 원료로 쓰입니다. 하지만 고지대인 달랏은 아라비카종 생산이 충분히 가능한 환경이기 때문에 달랏 커피 농가들은 앞장 서서 커피 고급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요인이 있습니다. 베트남은 기후와 토양 조건이 커피 재베에 적합하고, 특히 로부스타 커피의 주요 생산국입니다. 베트남에 커피는 1857년 프랑스 선교사에 의해 처음 도입되었고, 하남(Ha Nam)과 꽝빈(Quang Binh) 지역에서 처음으로 커피 농장이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핵심 전략 산업 작물 중 하나로 자리 잡았으며, 현재 커피 재배 면적은 약 680,000헥타르에 이릅니다.

    베트남 커피 산업은 태평양 전쟁과 베트남 전쟁으로 중단되었다가 전후 재건되었습니다. 베트남은 커피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연유를 사용하여 커피를 마시는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이는 베트남 커피의 맛과 스타일을 만들어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베트남은 세계 2위의 커피 생산국입니다. 로부스타종 커피를 주로 생산하고 있는데 요즘엔 지속가능한 커피이면서 고품질의 아리비카 커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프랑스에 의해 1857년 아라비카종 커피나무가 들어왔으며 베트남 전쟁 이후 고산지대를 개간하여 로부스타종 커피나무를 대규모로 재배하기 시작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커피는 남미가 유명했지만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작황이 좋지 못해 예전의 풍미를 가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동남아 커피는 질이 남미에 비해 떨어졌

    었는데 품종 개량 및 개발 노력으로 그 풍미와

    질이 매우 좋아졌고 오늘의 명성을 가지게 된 것

    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베트남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커피 강국입니다. 커피 생산량이 세계 2위를 차지 하고 있는데 베트남 커피는 매력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맛에 있어서는 베트남 커피는 쓴 맛과 달달한 연유 맛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습니다. 한 번 시도해보시면 우리나라 맥심 커피와는 다른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