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현재의 이정표는 도로교통 표지판이 그역할을 하고 있는데요 예전엔 이정표가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그대상이알고싶구요또한이정표의유래는어떻게되는지요?
현재는 도로교통 표지판 및 정류소가 이정표역할의 대명사인데요 예전과 고대에는 이정표가 어떻게 사용되었으며 이정표 역할을 한것들은 어떤것들이있고 이정표의 유래는 또한 어떻게 됩니까?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거리표’라고도 한다. 이정표가 언제,
어떤 형태로 발생했는지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기능상으로 볼 때
우리 나라의 고대 신앙형태인 솟대나
장승, 성황당을 이와 유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들 신앙형태들은 다 같이 마을이나
고을의 경계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전통사회 성원들은 여기에 경계신(境界神)이 있다고 믿었으며,
이 신은 외부로부터 침입할 수도 있다고 믿는 부정이나 액을 방지한다고
생각하였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