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털털한텐렉86
털털한텐렉8623.05.17

엘니뇨가 발생하면 지구에서 가장 더워지는 지역이 어디인가요?

올해 슈퍼 엘니뇨가 온다고 하는데요, 벌써 지구 곳곳에 이상기온이 감지된다고 합니다. 우리 나라도 영향권 안에 들텐데, 엘니뇨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지구상의 위치가 궁금합니다. 가장 더워지는 지역이 어딘지도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라리냐는 적도 무역풍이 강해지면서 서태평양의 해수온도 상승으로 동태평양에서 저수온 현상이 일어나는 해류의 이변현상.


    라니냐는 에스파냐어로 ''여자아이''라는 뜻이다. 엘니뇨의 반대현상으로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5개월 이상 평년보다 0.5도 이상 낮아지는 경우를 말한다. 이 현상이 발생하면 원래 찬 동태평양의 바닷물은 더욱 차가워져 서진하게 된다.


    따라서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의 동남아시아에는 격심한 장마가, 페루 등 남아메리카에는 가뭄이, 그리고 북아메리카에는 강추위가 찾아올 수 있다. 그런 현재까지 이 현상의 발생과정, 활동주기, 기상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하여 뚜렷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


    기상청에 따르면 라니냐가 발생한 1967년과 1973년 한반도의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1.1~2.2도 낮았으며, 강수량도 40.3~65.7mm가 적고 춥고 건조한 날씨이었다고 한다. 지금까지 한반도에 라니냐가 발생한 것은 다섯 차례였다.


    이것은 한류가 강해서 발생하는것이기 때문에 페루해류의 해류 온도가 평균적으로 낮으면

    알 수 있지만 이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예측하기 힘들고 따라서 현재로서는 특별한 대책도

    없는 듯 합니다.

    고대 페루의 나스카 문명도 라리냐현상 때문에 쇠퇴했다고도 합니다.

    라리냐와 쌍을 이루는 엘리뇨 현상을 같이 소개한 글을 담아 왔으니 도움이 되기 바랍니다.

    엘리뇨

    1,2정의 및 특징 :

    동태평양을 비롯해서 중태평양에 이르는 넓은 범위에 걸쳐 비정상적으로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열대 태평양의 해수면온도 분포는 보통 서부가 고온이고, 동부 연안에서는 남쪽으로부터 한류(寒流)인 페루해류가 흘러 들어와서 저온이다. 또 중부에서 동부의 적도역에서는 용승이라고 불리는 현상에 의하여 찬물이 솟아올라 북쪽이나 남쪽에 비해 저온 상태를 유지한다. 열대 태평양에 있어서의 바람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불므로 따뜻한 물층의 두께는 서부에서 두껍고, 동부에서 얇다. 해면 수위도 동부보다 서부 쪽이 높다. 그런데 이 무역풍이 어떤 원인으로 인해 약해지게 되면 서부의 따뜻한 물층은 보통 때보다 얇아지고, 동부의 따뜻한 물층은 보통 때보다 두꺼워진다. 이 때문에 용승이 약화되어 중부에서 동부의 열대 태평양의 해수면온도는 평년보다 높아진다. 이로 인해 서태평양 쪽 지역에서는 평소보다 비가 적게 내려 가뭄을 겪게 되고, 동태평양 쪽 지역에서는 많은 비가 내리는 등 이상기상 현상을 보이는 것이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 의해 무역풍이 약해지는가 하는 것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현재도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자료 기상청>

    3. 발생지역 :

    모든 지역에 발생한다.

    4. 피해사례 : 이상 기후가 발생한다. 위에서 말한것 처럼 서태평양 지역은 비가 적게 내려 가뭄을 겪게 되고, 동태평양 쪽 지역에는 많은 비가 내린다. 그 밖에도 2006년 12월 쯤 여름인데도 호주에는 눈이 내린 사례, 허리케인이나 태풍이 많이 발생하는 것등

    5.예보와 피해 줄이는 방법 :

    엘리뇨는 남동무역풍이 약해야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이고 페루연안이 온도가 높아지면 엘리뇨가 발생하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피해를 줄이려면 일단은 우리는 남동무역풍이 적당히 불어줘야 합니다. 그렇지만 이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죠. 페루 연안 온도를 높지 않게 하는 이상은요. 그니까 온도를 높이지 않기 위해 co2를 규제 해야할겁니다.

    라니냐

    1,2 정의 및 특징

    엘니뇨와 반대 현상으로 열대 동태평양과 중태평양의 해수면온도가 오히려 낮아질 때를 말한다. 적도무역풍이 강해지면서 열대 서태평양의 해수면온도가 보통 때보다 올라가는 반면, 원래 차가운 열대 동태평양에서는 찬물의 용승이 활발하여 더욱 차가워진다. 보통 열대 동태평양 해수면온도의 5개월 이동평균이 6개월 이상 평년보다 0.4 ℃ 이상 낮아질 때를 말한다. 따라서 인도네시아·필리핀 등의 극심한 다우가, 페루 등 남아메리카에는 가뭄이, 그리고 북아메리카에는 강추위가 찾아오기도 한다. 그러나 이 현상 역시 발생 과정·활동 주기·기상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하여 아직 뚜렷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

    <자료 기상청>

    3.발생지역

    엘리뇨와 같이 전세계적으로 발생한다.

    4.피해사례

    위에 말 처럼 인도네시아나 필리핀에 다우와 페루와같은 지역엔 가뭄이 발생합니다.

    5.예보와 피해 줄이는 방법

    이건 한류가 강해서 발생하는것이기 때문에 페루해류의 해류 온도가 평균적으로 낮으면

    알수 지만 이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예측하기는 힘듭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동태평양의 바다에서 차가운물이 수면쪽으로 못올라오는 현상이므로 태평양 동쪽이 더워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태평양 동부에 있는 중남미 지역이 가장 더워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엘니뇨 동안 태평양 동부의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면서 공기가 가열되고, 이로 인해 열대 지역에서 기온이 상승합니다. 특히 페루와 에콰도르 등 중남미 지역에서는 강한 엘니뇨가 발생할 때 평균 기온이 상승하고 건조한 기후 조건이 되기 때문에 가장 더워지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엘니뇨로 인해 발생하는 일반적인 현상으로는 인도네시아와 남아메리카 북부에서의 강수량 감소, 남아메리카 북부, 적도 아프리카 동부, 미국 남부에서의 강수량 증가가 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람(무역풍)이 약화됨에 따라 남미연안에서는 평상시 바다 밑에서 올라오던 차가운 물이 상승하지 못하게 되어 동태평양의

    해수면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상태로 수개월이상 지속되는 현상이 바로 엘니뇨인데요..

    현재까지의 연구와 관찰에 의하면 엘니뇨 발생에 따른 직접적인 기상 재해 지역은

    아프리카, 남미, 인도, 호주, 인도네시 아 등으로 인도네시아, 호주, 인도, 아프리카 남서 부 지역 등 태평양 서쪽에는 가뭄이,

    열대 중 태평양 지역은 강수량이 많아지고, 남미 지역에서는 고온 현상이 일어납니다.

    도움 되셨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