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F가 상장 당시의 자본만을 이용해서 투자한다는 게 무슨 의미인가요?
ETF는 거래에 따라 돈이 들어오고 빠져나가는 걸로 알고 있고 CEF는 상장 당시의 자본만을 이용해서 투자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이 의미가 CEF는 유상증자를 하지 않는다는 뜻인가여? 상장 당시에 조달한 자금만을 이용하여 투자를 하고 상장 이후에는 자금을 조달하지 못한다는 의미가 맞나요? 또한 ETF는 상장 이후에도 자금을 조달해서 그 돈으로 투자한다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CEF는 Closed-End Fund(폐쇄형 펀드)의 약어로, 펀드의 유형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CEF는 상장 회사로서 운영되며, 일반적으로 상장된 주식처럼 주식 거래소에서 주식으로 구매하거나 판매할 수 있습니다.
"CEF가 상장 당시의 자본만을 이용해서 투자한다"는 의미는 CEF가 펀드의 운용 자산으로 상장 초기에 유입된 자금만을 사용하여 투자를 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다시 말해, 상장 초기에 CEF가 모집한 자본을 기반으로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운용합니다. 이는 CEF가 펀드의 유입된 자본을 기반으로 투자를 진행하며, 투자자들의 자금 유동성을 고려하지 않고 펀드를 운용한다는 의미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폐쇄형 펀드(Closed-end Fund)는 거래소시장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매수 매도가 가능하고 환매부담이 없으므로 펀드자산을 전부 투자할 수 있습니다. CEF의 장점은 배당금이 많이 들어오는 것이고(10% 이상도 가능), 단점은 수수료가 평균 2%~3%정도로 높습니다. 단, 한국에서는 거래소에 상장된 것이 없으므로 주식매매프로그램에서 매매할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ETF는 상장 이후에도 자금을 조달해서 그 돈으로
투자하나 CEF는 상장 초기만의 자본만을 이용하여
투자하여 폐쇄적인 성향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