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넉넉한키위191
넉넉한키위191

해외언론에서 우리나라의 향후 인구감소율이 유럽의 흑사병으로 비교하는데 당시와 비교시 어느정도로 인구감소가 진행될것으로 보는건가요?

해외언론에서 우리나라의 매우 심각한 저출산으로 향후 인구감소율이 과거 중세유럽의 흑사병의 인구감소율보다 더 심하다고 비교하는 뉴스글이 있었는데요.

정확히 한국의 인구감소율이 향후 어떻게 될것인지 그리고 과거 유럽의 흑사병으로인한 인구감소율 비교시 어느정도인지 구체적으로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흑사병 때와 인구감소율이 비슷한 것이 아니고 출산율이 비슷한 것으로 비교하고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인구 감소율은 유럽의 흑사병 창궐 당시와 비교했을 때 매우 낮은 수준이고 출산율은 더 낮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상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출산율 0.7이라는 수치로 계산해보겠습니다. 100명의 성인 남녀가 결혼해서 출산을 하면 다음세대는 70명이 됩니다. 다시 70명이 결혼하면 49명이 됩니다. 즉 2세대만 지나도 젊은 세대가 현 인구의 절반이 되고 노인은 2배가 됩니다. 사실상 국가소멸단계의 위기상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흑사병 당시 인구의 절반이 줄었다고 가정해도 출산율이 2이상이라면 인구는 2세대만 지나도 회복됩니다. 따라서 그때보다도 지금 출산율이 더 큰 위기라고 보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는 한국은 소멸하는가 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0.7명으로 떨어진 한국의 합계 출산율을 말하며 흑사병이 창궐했던 중세 유럽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인구가 줄어들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정도의 출산율을 유지하는 국가는 한 세대를 구성하는 2백명이 다음 세대에서 70명으로 줄어들게 된다며, 흑사병이 14세기 유럽에 몰고온 인구 감소를 능가하는 것이라 했는데, 한국 인구가 2067년 3천 5백만명 밑으로 떨어질수 있다는 통계청 인구추계를 인용, 이대로 유지된다면 한국 사회를 위기를 몰아 넣을 수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국은 경제 위기와 함께 현재 합계 출산율이 1.8명 수준인 북한에게 침공당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태형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미래의 일을 쉽게 예단할 수는 없지만 출생률이 낮으면 미래에 가임인구도 줄어들어 계속 악화일로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흑사병에 비할바는 못됩니다.

      당시 인구의 30~40%가 죽어나갔습니다만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혼인을 하여도 1명도 낳지 않아서

      심각성을 빗대어 흑사병으로 표현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