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22.12.14

겨울철에는 태풍이 왜 오지 않는 걸까요?

겨울철에도 똑같이 비도 내리는데 왜 유독 태풍은 절대 오지 않는 것일까요?

가을 태풍은 가끔씩 봤지만 겨울태풍은 살면서 본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겨울철에 태풍이 발생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4

    적도부근의 저위도 지방에선 겨울에도 태풍이 발생합니다.

    다만 북반구의 경우 겨울철 중위도지방에서는 북쪽에서 불어온는 차고 건조한 대륙성기단의 세력이 강하여 태풍이 올라오지 못하고 소멸하는 것입니다.

    태풍의 에너지원은 수증기와 열입니다. 차고 건조한 대륙성기단을 만나게 되면 태풍은 에너지를 받지 못해 소멸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는 차가운 대륙성 고기압이 한반도로 옵니다. 이 때 찬바람을 몰고오게 되는데 태풍의 생성 이유 자체가 적도부근의 열에너지를 전달하여 에너지 평형을 이루는건데 겨울에는 해당 조건이 안되는것이죠.


  • 태풍은 기후의 영향으로 발생합니다.

    특히 고온이면서 습기가 많은 공기가 조건부로 불안정한 환경에서 상승하게 될 때 형성됩니다.

    지면에서 수직으로 적란운의 숨은 열이 구름 속의 공기를 데우게 되면

    강한 상승기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것이 점점 커지면 태풍이 됩니다.

    이러한 조건이 겨울에는 발생하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은 여름의 더운 태양의 에너지를 바닷물이 흡수하여 수증기가 만들어져 대기 상층으로 상승하고, 대기 상층의 낮은 온도에서 응결하면서 잠열을 방출하여 상층의 공기를 가열하여 팽창된 가벼워진 공기는 무게가 적은 저기압의 공기기둥을 형성해서 그 기둥의 하부에서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주변의 공기가 저기압 기둥으로 몰려들면서 바람을 만듭니다.그 바람이 지구의 자전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의 소용돌이 바람을 일으켜 깔대기 같은 수직 소용돌이를 만들어 수증기를 점점 더 많이 빨아 올리게 되고, 이 현상이 반복하면서 성장한 저기압 기둥이 초속 17m/s 이상의 소용돌이 바람으로 강해진 것을 태풍이라고 정의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정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겨울철은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을 크게 받는 시기이기때문에 저위도에서 발달한 열대저기압(태풍)이 쉽게 우리나라쪽으로 북상할수 없는 조건입니다. 그래서

    북태평양기단이 강해지는 여름철, 가을철에 주로 태풍이 우리나라에ㅡ영향을 주는것이죠!!

    참고로 태풍의 생성조건도 수온 27도씨 이상인 해역에서 형성이 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은 따뜻한 해수가 원천인데, 북반구가 겨울이면 애초에 상승기류가 잘 만들어지지 않아서 태풍이 만들어지지 않고, 차가운 바다를 지나면서 에너지를 잃기 때문에 생긴다고 해도 우리나라까지 올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훈식 박사입니다.

    태풍은 기본적으로 바다에서 뜨거워진 습기가 올라와서 그렇게 올라온 공기가 내륙으로 올라온것이 태풍입니다. 때문에 겨울에는 극지방에서 바람이 내려오기 때문에 건조하고 차가운 바람이 내려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