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산뜻한아비34
산뜻한아비3423.01.06

겨울에는 왜 태풍이 생기지 않나요?

겨울에는 왜 태풍이 생기지 않나요?

여름에는 유독 큰 태풍들과 작은 태풍들이 많이 오는데 유독 겨울에는 태풍이 생기지 않는데

그런 과학적인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06

    겨울에도 태풍은 발생합니다. 적도지방과 저위도 지방에서는 태풍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북반구 기준으로 겨울이 되면 태양열을 받는양이 적어지게되어 차고 건조한 대륙성 기단의 세력이 강해집니다.

    이 대륙성기단이 중위도 지방 아래로 내려오게 되면 저위도에서 발생된 태풍은 세력이 강한 대륙성기단에 막혀 중위도 지방으로 올라오지 못하고 저위도지방에서 소멸하게 됩니다.

    이렇듯 겨울태풍은 한반도까지 올라오지 못하게되므로 태풍이 발생하지 않는것처럼 느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여름엔 뜨거운 남태평양기단과 오호츠크해 기단으로 인한 장마가 생기구 태풍이 발생합니다.겨울애는 시베리아 기단이 내려오기때문에 태풍이 올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박사입니다.

    열대 저기압, 허리케인 또는 저기압 폭풍으로도 알려진 태풍은 일반적으로 따뜻한 열대 해역에서 형성되며 여름과 가을에 가장 흔합니다.

    이에 대한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태풍이 그 세력을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해수면과 대기권 상층부 사이에 큰 온도차가 필요합니다. 폭풍에 연료를 공급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하려면 바다가 따뜻해야 합니다(최소 26.5°C 또는 80°F). 태풍도 세력을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습한 공기가 필요합니다.

    폭풍에 연료를 공급하는 데 필요한 수증기를 제공하려면 공기가 촉촉해야 합니다. 따뜻한 물은 찬물보다 더 쉽게 증발하므로 일반적으로 여름과 가을 동안 열대 바다의 공기는 더 습합니다.

    마지막으로 태풍이 형성되고 힘을 유지하려면 지구의 자전이 필요합니다.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코리올리 효과는 폭풍을 회전시키고 원형 모양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

    코리올리 효과는 지구의 자전이 가장 빠른 적도에서 더 강하고 고위도에서 더 약합니다. 이는 태풍이 적도 근처에서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따뜻하고 습한 공기와 지구의 자전이 결합되어 열대 바다에서 여름과 가을에 태풍이 형성될 가능성이 더 높아집니다. 겨울에는 해수 온도가 더 시원하고 공기가 더 건조하며 코리올리 효과가 약해 태풍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태풍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 태풍은 기후의 영향으로 발생합니다.

    특히 고온이면서 습기가 많은 공기가 조건부로 불안정한 환경에서 상승하게 될 때 형성됩니다.

    지면에서 수직으로 적란운의 숨은 열이 구름 속의 공기를 데우게 되면

    강한 상승기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것이 점점 커지면 태풍이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이 늦여름~초가을에 생기므로 겨울에는 태풍이 발생하기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