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심심한곰255
심심한곰25522.12.15

비가온뒤 무지개가 생기는 원리 알수있나요?

비가오고 갤때쯤이면 하늘 저편에 무지개가 생기더라고요.

무지개는 어떠한 원리로 자연적으로 생기는건지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5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하늘에 있는 빗방울에 의해 생깁니다.

    빗방울 반대쪽에서 오는 햇빛이 굴절과 분광 그리고 반사되어, 눈에 보이는 것이 무지개입니다.

    무지개는 빛의 굴절 현상으로 햇빛이 공기와 물 사이를 지나면서 여러 색으로 휘어지게 되고요.

    여러 색으로 나누어 지는 이유는 빛의 색들이 각기 다른 속도로 빗방울 속을 지날 떄 발생하는 굴절현상 때문입니다.

    굴절현상으로 빨강색은 보라색보다 더 빠르게 통과하여, 이러한 속도차이로 인하여 여러 색으로 나누어 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온 뒤에 생기는 무지개는 공기중에 수분이 빛을 받아 빛이 분산되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빛이 꺽이는 방향에 의해 색깔이 조금 다르게 됩니다. 이는 빛을 프리즘에 통과시키는 것과 유사합니다.


  • 무지개는 빛의 굴절과 반사에 의해서 생깁니다.

    비가 내린 후, 공기 중에 수 많은 물방울이 존재하는데,

    여기에 햇빛이 들어오게 되면,내부에서 굴절과 반사가 생기게 됩니다.

    즉, 물방울이 프리즘 역할을 하게되어 분산에 의해 무지개를 만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빛의산란으로 인해 생깁니다

    비온뒤 물방울에 의해 빛이 산란되고 그로인해 무지개가 생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