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 축의금 얼마해야할지 질문 드려요.
상대는 전 회사 동료구요 알고 지낸지는 약10년인데 제가 약4년전 퇴사후 최근 결혼 관련으로 연락 받았습니다.
제 결혼당시 오긴했고 축의금은 회사 각출로 와서 밥 먹고 간걸로 알아요.
그래도 오래봤던만큼 가서 축하해주려하는데 와이프랑 애도 데려가려는데 축의금 얼마 해야 적당할까요?
아이는9살입니다.
뭐 아무래도 결혼식 축의금을 결정하는 기준은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친분 정도, 경제적 상황, 결혼 당사자와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금액을 정합니다.
이전 직장 동료와의 친분이 깊고, 본인 결혼식 때 직접 참석하여 축하해주었다면 이번 결혼식에서도 비슷한 수준의 금액을 지불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습니다. 가족 동반 여부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결혼식 축의금은 식사비를 포함하여 10만원 ∼ 30만원 사이가 가장 많습니다. 참고하셔서 적당한 금액을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
상대방에서 낸 만큼 + 물가 인상 고려 + 식대 이용 시 고려했을 때 전에 10만원 받았으면 15만 원 내시면 될 듯합니다. 혼자 가시게 되면 10만원 내시면 되구요
안녕하세요~
결혼식 축의금은 보통 관계의 깊이와 참석 인원에 따라 결정되는데, 상대가 전 회사 동료이고 알고 지낸 지 10년이 넘었으며, 결혼식에 와이프와 9살 아이까지 함께 참석할 예정이라면, 일반적으로 10만 원에서 20만 원 사이가 적당할 수 있으며, 특히 상대가 예전에 본인의 결혼식에 참석해 축하해준 적이 있다면 15만 원에서 20만 원 정도가 적절할 것 같습니다.
친했던 분도 아닌데 그냥 혼자 가시는게 나을듯 합니다.
가족이 모두 아는 지인도 아니고 식대비도 있는데 온가족이 가게 되면 못해도 20만원은 하셔야 해요
차라리 혼자 가셔서 10만원 정도가 적단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요즘은 결혼식 뷔폐값이 장난이 아니죠
식사가 좀 잘나왔다 싶으면 5만원이 넘는걸루 알고 있습니다
오랜 친분이 있으셔서 와이프랑 자녀까지 동행하실 계획이시군요 저의 남편같은 경우는 식대 때문에 늘 혼자 다닙니다 민폐가될수 있다고요
그러나 어디까지 개인 생각이지 함께 동행하신다면 더 고맙게 생각하실꺼예요
세분이면 식대만 따져도 15만원은 할텐데 5만원 더 해서 최소 20만원은 하도록 하세요 형편이 닿는다면 30만원도 좋겠지만 아주 가깝지 않다면 20만원 정도면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워낙 결혼식 식대가 높아지다 보니 아내분과 아이 까지 데려갈 경우 서울의 경우 못해도 30만원 정도가 좋습니다. 차라리 혼자 가시는 것이 나을 수도 있습니다.
질문자님 혼자 가신다면 10이 적당하고 보는데 와이프분이랑 자녀분도 같이 간다면 그래도 20만원 정도는 해야지 맞다고 생각합니다.
결혼식 축의금은 물가를 고려해서 보통 10만원 정도 내는걸 알고 있는데 식구 3명이 간다고하면 20~30만원정도는 생각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받은 만큼 하시는게 제일 맞구요
앞으로 계속 왕래가 있을건지?
크게 만날일 없으면 혼자가서 받은 만큼 드리면되고요
사람좋고 계속 왕래 하실거면 3분 밥값보다 조금더 하시는게 맞을거 같네요
자녀분을 데리고 가신다면 10만원 정도가 적당해 보입니다. 요즘 축의금도 예전에 비해서 기본적인 금액 자체를 높게 주시더라구요.
10여년 가까이 함께 일한 동료이니 10만원 정도는 충분할 것 같습니다
이런 축하자리도 때론 부담스러울때도 있지요. 그러나 현실적인 사고로 와이프와 자녀 세명이 결혼식 축하자리에 간다면 축의금을 10~15만원 정도가 적정할 것 같네요.
보통 100000원정도 하더군여.
저도 그렇구여.
왕래가 자주있거나 친밀하다면 200000원정도 하구여.
마음에 부담을 느끼지 않을 정도만 하시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ㅎㅎ
물가가 요즘 올라서인지 5만원도 조금 적다고 느껴하셔서 개인 기준 10만원을 보통 드린다고 들었어요 ㅎㅎ
인원 수 들었을 땐 20정도가 적당하다고 봅니다 ㅎㅎ
요즘 결혼식 음식 값이 비싸더라고요
그래서 혼자 가서 식사하시면 10만원
아이랑 가족이랑 데려가려면 20만원은 해야할 것 같네요
과거 직장동료의 결혼식에 간다면 보통 5-10만원 선입니다
그런데 아내와 아들까지 같이 간다면은 뷔페 음식값은 내야하지 않을까요 최소 10에서 20은 햬야 체면이 설것 같습니다
식대에 따라서 다를 것 같습니다만, 가족과 같이 가려면 20만원은 해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10-20 선에서 마음 가는대로 하시면 적당할 것 같습니다
요즘 결혼식에서 축의금은 일인당10만원정도가 거의 국룰로 되어가고 있습니다 고물가에ㅐ 의해서 우리나라 결혼식 뷔페평균가격이 약7만원대라고 하거든요 와이프분과 함께 가실거라면 20만원정도가 될거같네요 생각보다 지출이 좀 나오네요
가족과 가실려면 적어도 10만원은 내셔야 할거 같아요. 10만원이 부담되시면 혼자 가시고 5만원 정도만 하셔도 될거 같아요..
회사각출이라하면 회비에서 축의금을 내고 개인적으로 내지않았더라면, 그냥 혼자 다녀오시되 5만원정도 하고 눈도장만 찍고 오시는게 좋을것같습니다. 친하게 계속 만남을 이어오는게 아니고 결혼으로 인한 연락이라면 더더욱더 가족들과 함께 가는것보단 혼자다녀오고 그 나머지 축의금에 쓸 돈을 차라리 가족들과 외식비에 쓰시는게 좀 더 현명하지않을까요?
제생각에는 한 십만원 정도면 적당하시지않늘까 싶습니다 사실 혼자가면 오만원 내면되는데 가족들 동행하면 진짜 근데못해도 인당 오만원은 내시는게좋아보이긴하지만 그래도 적당하게타협해서 십만원 내시는것도 나쁘진낞아보입니다.
만약 저라면 혼자간다면 5만원, 아내아들까지 데려간다면 15만원이 적당할 것 같아요
요즘 식대도 비싸서 1인에 5만원은 해야…
나중에 뒷말안나오고 좋을 것 같아요
제 생각에는 15만원정도는 하셔야할것같습니다 왜냐하면 식대가 그정도가 나오니깐요 물론 10만원해도 상관은없지만 저라면 님기준15만원 할것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아내랑 아이랑 같이 가시고 밥을 먹고 온다 150,000. 밥을 안먹고 온다 100,000 혼자 가시면 50,000 적당 할 듯합니다.
안녕하세요? 3명 가시니 10-15만원 정도가 적당할 것 같더고 판단됩니다. 보통 혼자 갈때 5-10정도 내니까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3명가신다면 10만원 이상은해야지 될것같네요.
요즘 결혼식 식비가 비싸서 친한사람이 아니면 축의금만 보내고 있는데요. 만약 가야한다면 혼자가면 5만윈하는것 같네요
요즘 결혼식 식비가 인 당 5만원 정도는 기본으로 하는 것 같습니다. 5만원보다 덜 하는 경우도 드문 것 같아요.
따라서 와이프분, 그리고 자녀분과 함께 가시고, 식사를 하실 예정이라면 인당 5만원 정도로 생각해서 축의금을 15만원 내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밥값정도 내고 오신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3인이면 식사비가 1인당 3만원정도이면 10만원을 하시고 3만5천원을 넘는다면 아이가 있으니 10만원을 하셔도 뭐라하진 않을것같습니다.
4만원대라면 15만원은 하셔야 할것으로 보입니다.
비오는 날에서 얼큰한 수제비7입니다.결혼식 축의금 얼마해야 되냐면 와이프하고 본인 그리고 아이 가지 데려가신다면 10만원 정도만 하시면 될것같습니다. 휴일에 참석해주고 인사드리면 그래도 좋아하실것같습니다.
와이프와 애도 같이 간다면 십오만 원은 내야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식장의 식사비가 관건입니다. 식비가 저렴하면 십만 원이 적당하게 보이지만 5만 원 정도라면 세 식구이니 십오만 원은 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요즘은 식비가 너무 비싸 혼자 다녀오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요새 식비 진짜 비싸요. 1인당 최소5만원이에요. 아무래도 퇴사 후 오랜만에 결혼소식으로 만나시는 거라도 3인당 15만원 하는게 나을 것 같아요. 아님 그냥 혼자 가시는게 어떨까요?! 혼자 가셔서 마음 편히 축하하고 드시고 오는게 좋을 것 같아요.
축의금 얼마를 해야는지 누구나 고민했을겁니다. 요즘 뷔페도 고급으로 하고, 닾려도 5만원을 하는경우를 종종 본터라 저는 많이 가지는 않지만 가야는 결혼식에는 10만원합니다.
돈문제라 초대오더라도 가야 할곳만 갑니다~~
아이데리고 간다고하면 10만원도 부족한게 현실입니다.
그러나 받은만큼 한다고 했을때, 지인과의 관계가 나빠지지 않고 서운하지 않게 한다고 했을때 10만원 선에서 하는게 어떨까 합니다.
상대방이 고마움을 느낄정도까지 할 예정이시라면 식장 식권비용 생각해서 20은 해야죠. 요즘 식대 비싸더라고요
전 회사 동료인데, 가족들이 모두 온다고 하면 10만원도 좀 적긴 하지만 그래도 오랫동안 안본걸 감안하면 10이 적당할거 같습니다 ㅎㅎ
퇴사했지만 그당시 본인 결혼식에 왔었고 또한 결혼식에 와이프와 애를 데리고 간다면 요즘 결혼식 밥값이 비싸서 최소한 10마원은 해야 할듯 합니다.
결혼축의금 얼마해야 할지 질문드립니다.회사동료고 10년 정도되었다면 참석시는 10만원정도 축의금만 할경우는 5만원정도면 될것같습니다.요즘 결혼식장에 식대값이 너무비싸서 3명참석하고 10만원이면 적은금액이죠 .축하해주는것으로 참석하는것인 만큼회사동료면 10만원이면 적정수준입니다
요즘은 축의금을 넣을때 식비를 고려해야합니다.
그런데 아이와 와이프까지 데리고 간다면 20만원정도는 내셔야 할것같아요
보통 1명당 5만원정도 식비를 생각해야하거든요
결혼식 축의금은 마음의 표시인 만큼 부담을 갖지 마시고 판단해 보시기 바랍니다. 통상 5만원이면 적절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글쎄요~? 3명 가면 식사는 하실것 같네요~? 요즈음 식대값이 너무 비싸죠~3명이 식대값만해도 15만원정도 될거예요~~ 제 생각에는 20만원은 해야되지않나싶네요 ~?
길흉사의 경우 얼마를 할지 다들 고민하실것입니다.
저는 요즘 물가나 뷔페 등의 경우를 봐서 어느정도 관계지인은 10만원정도 하고 있습니다.
보통으로 아는경우는 5만원정도 한답니다.
이런일이 많으면 상당히 부담이 되죠~~
안녕하세요. 힘차게 헤엄치는 연어입니다 .해당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결혼식을 방문할 때 아이와 아내를 데려가신다면 적당한 금액은100,000원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4년만에 연락이 왔기 때문에 방문을 안하셔도 괜찮을 것 같은 데 그래도 방문을 하시겠다면 그정도 하시는 것이 좋겠네요.
안녕하세요. 힘차게 헤엄치는 연어입니다 .해당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방문을 하지 않는다면 모르실까 방문을 하면서 아내와 아이도 데려 간다면 최소한 100,000원 정도는 해야 할 것 같습니다. 혼자 간다면 50,000원 정도 해도 상관이 없겠지 만요.
안녕하세요.
음.. 전 축의금은 10만원이 적당할거 같아요
식사를 하시는지는 모르겠지만,
많이 친한사이가 아니라면, 10만원이 적당할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어느정도 친분인지 모르겠지만 아이와 아내분 같이 간다고 하시는 거 보니 식사 하실 거 같은데 최소 10만 원은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아메리카노시럽두번233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려요 저 같으면 축의금을 10만 원에서 15만 원 정도 할 것 같습니다 만약에 직접 가지 않는 상황이라면 5만 원에서 10만 원 정도 할 거 같고 직접 가서 식사까지 하신다면 10만 원에서 15만 원이 적당하지 않을까요
와이프랑 애도 데려가면 무조건 20이죠. 혼자 가시고 10만원 내시던 세명이 가시고 20내시던 둘중 양자입니다. 세명 가는데 10내면 요즘 물가에 내고도 욕먹고(아무리 아이라지만) 15내는 축의가 듣도보지도 못했습니다. 혼자 10 셋 가면 20 양자입니다.
안녕하세요 숙련된하이에나116입니다 해당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결혼식 축의금 10만 원 정도 하시면 적당할 것 같습니다 일단은 식사를 하시는지 안 하시는지는 모르겠지만 식사를 할 경우 조금 눈치는 보일 수 있겠지만 많이 친한 사이가 아니면 10만 원이면 맞지 않을까요
전 직장동료의 결혼식에 부부와 아이가 같이 간다면,
요즘 물가를 고려해서 15만원 내외를 축의금으로 내는게
좋을거 같다는 생각입니다.
간단하게 혼자가시는걸 추천해드립니다 그리고 친한사이면은 받은거랑 상관없이 십만원하시고요 걍 한번씩 연락하는사이면은 오만원하시고 밥먹고 오세요
물론 얼마나 친했는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그냥 일바 적인 친분 관계 였고 아이랑 부인까지 가서 식사를 한다면 적어도 10만원 정도는 부주를 해야 되지 않을 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