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착한 가마우지 257
착한 가마우지 25723.11.13

해중릉인 문무왕릉이 실제 왕릉인 근거가 무엇인가요?.

문무왕이 사망하고 바다에 장사 지내고 해중릉을 만들었다고 하는데, 문무왕릉이 실제 왕릉이었을 가능성 있나요? 문무왕릉의 근거에 대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문무왕은 유언으로 자신을 불교식으로 화장해 유골을 동해에 안장하면 용이 되어 침입해 들어오는 왜구를 막겠다고 유언하며, 신문왕은 그에 따라 장사했습니다.

    대왕암은 육지에서 불과 200여 미터 떨어진 가까운 바다에 있는데 큰 바위가 주변을 둘러싸고 있고, 중앙에 약간 넓은 공간이 있는데 이 공간에 대석을 이동해 배치한 것으로 보입니다. 중앙의 대왕암 주변 큰 바위가 둘러싸고 있는데 네 바향으로 물길이 나 있어 주변 바위는 네 부분으로 구분, 자연적으로 물길이 나 있는 상태이나 약간의 인공을 가해 튀어나온 부분을 떼어내어 물길이 난 가운데 공간을 약간 가다듬은 흔적이 발견되었습니다.

    바닷물은 파도와 함께 동쪽 물길을 따라 중앙 공간으로 흘러들어와 서쪽 물길을 통해 빠져나가며 바닷물이 물길을 따라 중앙으로 진입할 때 파도가 소멸되기 때문에 중앙의 물은 파도의 영향을 받지 않아 잔잔하며 물 높이는 중앙의 큰 바위를 살짝 덮을 정도로 유지합니다.

    대석의 안치방법과 유골의 수장여부에 대해 그동안 의문점이 있었으나 2001년 3월 한 방송사에서 역사연구 프로그램 제작을 위해 초음파 탐기지 등을 이용해 바위의 조직과 바위의 내부 및 수면하를 조사한 결과 대왕암 내부 또는 아래에 유골이나 부장품이 확인되지 않았고,

    대왕암에서 멀지 않은 육지에 낭산 이라 하는 신성시 되는 언덕이 있는데 이곳에 능지탑이라 불리는 탑이 있습니다.

    연구 결과 문무왕 시신은 이 능지탑에 화장되어 대왕암 주변에 산골하고, 대왕암 주변 바위에서 절리된 큰 바위를 중앙 빈 공터에 남북으로 안치시켜 장례를 지낸 형식적 절차를 가짐으로써 무덤으로서의 의미를 부여한 것으로 확인, 대왕암의 네 방향으로 수로를 낸 것은 석가의 사리를 안치한 탑의 형식을 적용한 것으로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