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로에서 핵분열 반응이 일어나면 어떤 과정으로 열에너지가 발생하나요?
원자로는 핵분열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핵심 기관입니다 그렇다면 원자로에서 핵분열시 어떤 과정으로 열에너지가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원자로에서 핵분열이 일어날 때는 무거운 원자핵에 중성자가 부딪혀 쪼개지면서 두 개의 가벼운 원자핵으로 나뉩니다. 이 과정에서 원자의 질량 일부가 에너지로 바뀌는데, 쪼개진 조각들이 빠른속도로 튀어나오면서 운동에너지를 가지게 되고 주위의 다른 원자들과 부딪히며 그 운동에너지가 열로 바뀌게 됩니다. 또 함께 방출되는 중성자와 감마선 같은 방사선에너지도 주변 물질에 흡수되면서 열을 더 만들어 냅니다. 결국 핵분열에서 생긴 입자들의 운동에너지가 주변 연료와 냉각재를 데우는 방식으로 열에너지가 발생하는것입니다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원자핵이 중성자를 맞아 두 개로 나눠지면서 에너지가 방출하는 것을 핵분열이라고 하는데 이를 통해 나온 에너지는 보통 운동에너지 입니다.
이러한 운동에너지는 입자 충돌을 일으키고 충돌로 인한 물질의 온도 상승과 열에너지 발생이 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원자로에서 핵분열은 우라늄-235 같은 무거운 원자핵이 중성자를 흡수해 두 개의 가벼운 원자핵으로 쪼개지면서 동시에 다수의 중성자와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입니다. 이때 방출되는 에너지는 주로 분열 조각들의 운동에너지 형태로 나타나며 이 운동에너지가 원자로 내 냉각재와 충돌해 열로 전환됩니다. 결국 이 열에너지를 이용해 물을 끓여 증기를 만들고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 핵발전의 원리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우라늄과 같은 무거운 핵연료가 중성자를 흡수하여 쪼개지면서 핵분열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핵 분열이 일어날 때 엄청난 열에너지와 방사선이 방출되게 됩니다.
방출된 중성자는 다른 핵연료 원자핵에 흡수되어 연쇄 열반응이 계속 유지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발생한 열에너지는 원자로 내부의 냉각에 전달되어 냉각재가 뜨거워 지며 증기 발생기로 가서 물을 증기로 바꿔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