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돌하루방이제주도를 대표하게된 역사가 궁금합니다
문득 궁금해 지는데 제주도 하면 돌하루방이 떠오르고 공힝에도 돌하루방을 이용해 포토존도 있던데 어떤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언제부터 돌하루방이 제주도를 대표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남태평양에 위치한 섬인 발리섬의 석상 문화가 제주도까지 전파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주도의 돌하르방은 자생설, 남방설이 있으나 몽골 북방에서 들어온 북방설이 강력한 호소력을 갖습니다.
여러가지로 분석해본 결과 제주도에 있던 돌 문화에 몽골문화가 들어와 돌하르방이라는 새로운 형태가 재창조 된것으로 보입니다.
-북방기원설 : 몽골로부터 전파되었다는 학설로 몽골의 훈촐로오와 연관이 있다는 것에서 유래한 학설
-남방기원설: 남태평양에 있는 발리 섬의 석상문화가 해류를 타고 제주도까지 전파되었다는 설로 대만에서부터 시작된 폴리네시아계 민족들의 대항해 과정에서 제주도가 영향을 받았으리란 견해 입니다.
-한반도 본토 유래설: 조선 중후기, 한반도 남부 지방의 석장승 문화가 제주도를 통해 건너가면서 변형된 형태로 제작되었다는 설
-자체생성설: 제주도에 거주하던 고대인들이 어떤 문명의 영향도 받지 않고 독자적인 형태로 제작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돌하루방의 기원설은 몽고에서 기원 됬다는 설이 있습니다. 제주 돌하르방이 몽골을 통해 왔다고 할지라도 그 외형은 최소한 요대부터 시작됐고 요대 석인상의 외형이 몽골시대로 이어져 몽골 지배기에 제주까지 전해졌다고 봐야 한다고 합니다. 돌하르방은 제주에서 성문을 지키는 수문장으로서의 새로운 성격을 부여받았고, 18세기 들어와서는 한반도 남단의 석장승 문화의 영향으로 더 준수하고 잘생긴 제주읍성 돌하르방으로 발전하는 등 진화를 거듭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주도에서 전해 내려오는 석상이자 명실상부한 제주도의 상징물입니다. 돌하르방은 제주어로 표준말로 해석하면 돌할아버지가 됩니다. 이 명칭은 근대에 나왔고 그 전에는 우석목이라고 불렀습니다. 조선 시대 기록에는 옹중석이라는 단어로도 지칭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후 어린이들이 돌하르방으로 부르는게 널리 퍼지다 결국 문화재로 지정할 때 돌하르방이 정식 명칭이 된 것입니다. 그외에 불교의 미륵 신앙의 영향을 받아 육지에서 큰 돌을 미륵이라고 부르는 것처럼 미륵 돌미륵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