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전기·전자

흡족한어치51
흡족한어치51

초전도체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싶어요 알려주세요

요즘 초전도체가 핫한데 그이유가 무엇인가요?

자세히 알고싶어요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꼭 특허를 만들어서 글로벌선두 나라가 되었으면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신속한잉어231
      신속한잉어231

      안녕하세요. 하지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 저항이 전혀 없는 물질이기에 전력 손실 없이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해 줍니다.


      초전도체 현상은 네덜란드 물리학자 온네스가 1911년 도체로 고형 수은을 사용하여


      최초로 발견되었습니다. 이는 특정 물질이 영하 200도 근방의 온도로 과냉각될 때에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현재 초전도체 관련 이슈가 된 것은

      "영상" 30도의 상온에서 전기 저항이 사라지는 초전도 물질을 찾았다는 것입니다.


      상온 초전도체 기술은 상용화만 되면 전기 손실이 없는 초 고효율 전력망과 손바닥만한 양자 컴퓨터를

      실현할수 있는 대단한 발견 입니다.


      쉽게 비유하자면,

      송전탑에서 가정집 및 건물에 전기를 보낼 때

      당연하지만, 애너지 손실이 납니다.

      하지만, 초전도체는 전기저항이 "0" 이므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지 않아, 효율적 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초전도체란 임계 온도 이하의 초저온에서 금속, 합금, 반도체 또는 유기 화합물 등의 전기 저항이 사라져 전류가 장애 없이 흐르는 현상입니다.

      사실 이 점이 초전도체의 가장 큰 장점으로는 저항이 없어 전류가 흘러 들어도 전력 손실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대량의 전기를 손실 없이 저장하거나 송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은 물론이고 성능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죠.

      하지만 단점으로는 임계온도가 낮을수록 냉각비용이 많이 드는데, 기존 철 화합물 초전도체는 임계온도가 낮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최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는 상온 초전도체 'LK-99’이 이런 단점을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물질인 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