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긍정적이지 못하고 자주 불평을 하는데요. 어떻게 긍정적 사고방식을 가르칠 수 있을까요?
아이가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소한 일에도 쉽게 불평하며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다면, 부모는 어떻게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가르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은 부모님의 행동이나 말투를 모방하고 배우는 경향이 있습니다.
부모님은 항상 긍정적인 말투와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보여주세요
긍정적인 표현으로 인해 아이들도 보고 배울 수 있습니다.
작은 일에도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고,
감사 일기를 쓰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긍정적이지 못하고 자주 불평을 한다면 아이가 왜 그런 생각을 하는지 원인을 파악해보세요 그리고 긍정적인 피드백과 함께 칭찬을 해주시면서 상대방에게 안좋은 소리를 하면 좋지않음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긍정적인 사고 방식을 갖도록 하려면, 긍정적인 경험을 강조하고 감사 일기를 쓰게 해보세요. 문제 상황에서 긍정적인 면을 찾아보게 하고, 불평이 아닌 해결책을 함께 생각하며 사고의 전환을 유도하세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부정적인 사고를 많이 한다면 일단 아이의 감정상태를 들여다보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아이와 함께 주기적으로 대화를 할 수 있는 시간을 가져보시고 아이가 진심으로 본인의 감정을 표현한다면
부모는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긍정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아이의 부정적인 사고가 타인에게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알려주는 것도 좋아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이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기 위해서는 부모님들께서 긍정적인 말과 행동을 해주셔야 되겠습니다. 이는 아기가 부모님의 말과 행동을 보면서 자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아이 앞에서 부정적인 행동을 하면 위와 같이 자주 불평을 하게 될겁니다. 어떠한 이유를 붙이던지 아이들에게는 긍정적인 생각을 할 수 있도록 마인드를 가지게 해주시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우리 아이들을 위해서 아주 중요한 행위라고 하니 부모님께서 정신을 바짝 차리고 해주시는게 중요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먼저 언어습관부터 고치는것이 좋습니다. 그사람의 사용 언어는 그사람의 행동이나 정신 생각 모든것에 영향을 미칩니다. 처음에는 의도적으로라도 긍정어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해주셔야합니다. 가장 좋은건 같이 시간을 자주 많이 보내는 사람이 예를 보여주는것입니다. 부모님께서 긍정적인 예시를 자주 많이 보여주시는것이 큰도움이 될거에요.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긍정적인 사고방식은 삶의 여러 측면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부모가 아이에게 이를 가르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아이가 불평을 할 때, 부모는 그 상황에 대해 긍정적인 면을 함께 이야기해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비가 와서 나가 놀 수 없지만, 집 안에서 보드게임을 할 수 있어!"라고 말하며 대안을 제시해 주세요. 또한, 매일 저녁 긍정적인 경험을 나누는 시간을 가지며 아이에게 "오늘 하루 중 좋았던 일은 뭐였니?"라고 질문하여 긍정적인 요소를 찾는 습관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부모 스스로 긍정적인 언어를 사용하고, 어려운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마인드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긍정적인 태도는 꾸준한 연습을 통해 아이에게 내재화될 수 있으므로, 부모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