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23.10.18

부정적으로 대답을 하는 아이 어떻게 지도하면 좋을까요?

평소에 아이와 대화를 하다보면 아이가

습관적으로 생각도 하기전에 '아니'라는

부정적인 말을 달고 시작하는데

어떻게 하면 옳바르고 긍정적인 대화로

지도할수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부정적 언어 습관은 발달 과정의 자연스러운 단계로 연령별로 그 의미가 조금씩 다릅니다.

    주변 사람들의 언어 습관을 의미 없이 따라하기도 하며

    강한 부정으로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고픈 겅력한 의지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부정적인언어를많이쓰면

    가정에서 쓰는말이나단어를 되새겨보시는것도좋으며

    아이는 주양육자를통해주로습득하기에

    가정에서 긍정적단어를자주쓰면좋아질겁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항상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하고

    사물을 볼 때도 좋은 점을 생각하게 하는

    교육을 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부정적으로 말을 하면 이에 대한 제지와 더불어서

    아이의 놀이 등을 제한하여 이를 고쳐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있어 부정적인 표현을 자주하는것은 그만큼

    자존감이 부족한 결과일 수 있습니다. 자신에 대해서 잘하거나

    할 자신이 없다보니 부정적인 말이나 행동으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반응으로

    보여질 수 있습니다. 아이와 대화시 자존감을 높여줄 수 있도록 칭찬을 많이 해주시면서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주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부정적인 대답을 한다고 거기에 대해서 부모님이 크게 반응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아이들은 관심 받을만한 말들을 습관적으로 하는 경향이 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평소에 욕구 불만이 있어서 그럴 수 있답니다

    아이의 활동을 살펴보고 일상생활에서 힘든 점이나 스트레스를 받는 일이 있는지 살펴 보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아이에게 질문을 하실때 긍정적인 대답이 나올 수 있도록 해보셔요.

    아이가 단답형으로 '아니'라고 대답하려면 질문도 대답하기 쉽게 하게 되거든요.

    그리고 부모님도 아이와 대화하고 대답할때 부정적인 단어보다는 긍정적인 단어를 사용하면 도움이 되구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0.18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부정적인 표현에 부모님은 긍정적인 관심으로 대답해주세요. 그리고 아이가 원하는 것에 대해 생각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고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게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러한 부분은 아이와 이야기하여서 교육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아니라는 것을 무분별하게쓰는것은 좋지 않고 필요한 표현이있을땐 그에 맞게 하도록 교육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대화를 하면서 아이가 부정적인 대답을 한다면 그 즉시 아니 라는 대답은 옳지 않아 라고 단호하게 말을 해주세요.

    그리고 왜 아니 라는 부정적인 단어가 왜 옳지 않은지 그 이유에 대해 설명을 해주도록 하세요.

    아이에게 넌 할 수 있어, 너라면 충분히 잘 할 거야 라는 긍정적인 메세지를 전달해 주시면서 아이의 생각을 변화 시켜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부정적인 표현에 부모님은 긍정적인 관심으로 대답해주세요.

    아이의 감정을 존중해주는 자세로 취해주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일상생활 속에서 보여주는 부모님의 짜증이 가득한 표정, 잦은 한숨 등은 아이에게 불안감을 전해줄 수 있어요. 무심코 내뱉는 말이나 부정적인 태도를 줄이고 긍정적인 시각으로 아이를 바라보며 아름다운 말을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떤 점이 싫은지, 왜 안 한다고 하는지 물으며 관심을 보여주세요. 그다음 아이가 어떻게 하고 싶은지, 생각한 것을 솔직하게 털어놓을 수 있게 유도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