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안개가 생기는 원인은 수증기를 포함한 습한 공기가 산을 넘는 과정에서 산 사면을 따라 오르다가
온도가 떨어져 지면에서 냉각될 때 발생합니다.
감사합니다.산 위의 구름은 엄밀히 말해 안개입니다.
안개의 생성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상에서 물이 증발하면 수증기가 되어 공기중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이때 수증기가 팽창하면서 차가워지게 됩니다.
공기는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양의 수증기만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다시 기온이 내려가 공기가 포화 상태에 이르면 일부 수증기가 얼게 되고
이것이 안개로 나타나게 됩니다.안녕하세요. 권영수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이 질문해주신 구름은 발생위치상 층운이라고 하는 구름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층운형 구름은 구름 형성 후 낮은 상승기류로 인해서 천천히 올라가는 과정에서 산이나 빌딩에 접촉하여 더 이상 오르지 못하고 걸린 형태로써 접시 모양의 구름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는 다른 유명한 높은 산에서 주로 발견할 수 있는 현상으로 보여집니다. 그리고 모양 또한 도넛, 버섯, 공 모양 등 접촉 형태와 건물/산의 높이 및 형태에 따라서 그 모양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구름들은 다른 고온의 구름을 만나게되는 경우 적운으로 발전하여 더 높은 기류로 올라가는 경우도 있고 찬 공기를 만나게 되어 흩어진 형태의 구름이 만들어지거나 비구름 형성 등을 통해서 사라지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이동하다가 산에 걸린 것입니다.
아침 산행을 하다보면 이런 현상이 자주 보입니다.
산 안에서 보면 뿌연 안개로 보이고, 아래에서 보면 구름으로 보입니다.
구름이나 안개는 온도가 낮아서 공기 중 가질 수 있는 수증기가 줄어들고, 그래서 우리 눈에 보이게 됩니다.
이때 이동중 높은 산이 있으면 거기에 걸려서 구름이 산을 둘러싸는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