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19

산소없는 우주에서 태양은 어떻게 불타고 있는지 궁금해요.

예전 과학시간에 물질이 불에 타는것은 순전히 산소로 인해 연소반응을 일으킨다는 것으로 배웠는데요. 궁금한게 산소가 없는 우주에서 태양은 어떻게 불타고 있는지 과학적 이유를 알고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문득 과학전문가
    문득 과학전문가23.06.20

    안녕하세요.

    연소반응은 연소물질이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반응하여) 빛과 열을 뿜어내는 반응을 말합니다.

    태양은 연소반응으로 빛과 열을 뿜어내지 않고

    수소의 핵융합반응으로 빛과 열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우주 공간, 산소의 유무와 관계없이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보통 보는 불은 산소를 매개로 타는 불인데요

    불은 산소가 없어도 다른 매개체가 있으면 탈 수 있습니다

    태양은 핵 융합 반응에 의해 불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태양이 타는 원리는 지구에서의 화재와는 다릅니다.

    지구에서의 화재는 산소와 연료가 반응하여 화학적 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인데, 이를 화학적 연소라고 합니다.

    반면, 태양은 핵융합을 통해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태양의 중심부에서는 굉장히 높은 온도(약 1500만 도)와 압력으로 인해 수소 원자가 헬륨 원자로 융합되며, 이 과정에서 대량의 에너지가 방출됩니다.

    따라서 태양이 '타고 있다'는 표현은 산소가 필요한 지구에서의 화재와는 다른 의미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은 대부분 수소 원자와 헬륨 원자로 이루어진 플라즈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플라즈마는 일반적인 고체, 액체, 기체 상태와는 다르게 전자와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상태이며, 전자와 양이온이 자유롭게 움직입니다. 태양 내부에서는 수소 원자들이 매우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압축되어 헬륨 원자로 합쳐지는 핵융합반응이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엄청난 열과 에너지가 방출됩니다. 이러한 핵융합 과정에서 생성된 열과 에너지가 태양의 중심에서부터 방출되어 태양을 불태우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에는 수소가 핵융합하여 헬륨으로 바뀌는데요.

    이 때 엄청난 양의 열에너지가 나오게 됩니다.

    그것이 우리 눈에 시뻘건 태양으로 보이게 하는 것이고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은 주로 핵융합 반응에 의해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태양 내부의 고온과 고압으로 인해 수소 원자들이 서로 결합하여 헬륨 원자를 만들어내는 핵융합이 일어납니다. 이 과정에서 방출되는 에너지가 태양의 빛과 열을 형성하는 원인입니다. 이 핵융합 반응은 수소만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산소가 없는 우주에서도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