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수와 화재에 대해서
화재보험은 재산보험에 해당하는데 재산보험에서 가장 위험이 되는 것이 화재에 의한 것도 있겠지만 수재에 의한 것이 가장 크다. 특히나 집주인의 경우가 더욱 그렇다. 월세를 내고 사는 임차인의 경우에도 화재보험을 들어야 하지만 주로 화재보험을 많이 드는 곳은 집주인의 경우가 많다는 현실을 파악했다. 보전의무가 있는 임차인의 경우에는 몇 만원 정도의 월보험료에 대한 부담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시중에서는 집주인이 화재보험에 많이 가입하는 편이라고 한다.
화재보험에서 불에 의한 피해보다는 물에 의한 피해를 대비하기 위해서 가입하는 경우도 많은데 화재보험을 가입할 때 많은 보험회사에서는 건축된지 오래된 노후한 건물에 대해서는 가입을 안 받으려고 한다. 화재보험 특약에서 가장 보험사들이 염려하는 것이 급배수누출손해 특약인데 급배수누출손해는 자기 집 누수에 대한 피해를 보상해주는 것이다. 급배수누출의 리스크가 커지는 것은 주로 오래된 건물일 경우가 많다.
신축 건물에서 누수는 건축물에 대한 하자로 집주인에 대한 배상으로 가지 않는다. 그래서 집주인의 입장에서는 오래된 건물에서 발생하는 누수가 가장 신경이 많이 가는 것이다. 최근에 이런 누수에 대한 손해율이 높다보니 많은 보험회사에서 20년 이상된 건축물에 대한 화재보험은 받지 않으려고 하는 편인데 예외적으로 메** 회사는 100년된 오래된 건물도 받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건물의 연식을 보고 가입을 받는 것이 아니라 건물의 구조를 보고 가입을 받기 때문이다.
누수와 관련해서는 자기 집 피해는 화재보험 특약으로 가입하는 급배수누출 손해 특약을 들었는데 화재는 자기 집 보상과 타인 집 배상 그리고 사회적 물의에 대한 벌금까지도 지급이 되지만 누수와 관련해서는 자기집 피해는 급배수누출손해특약 그리고 타인의 아랫집 누수 피해의 경우에는 피해 배상금을 지급하는 것이 일상배상책임보험을 가장 많이 떠올리지만 임대인배상책임보험도 있다. 일상배상책임보험의 경우에는 1인이 가입할 수 있는 것이 일상배상책임보험 하나 밖에 없다.
하나만 가지고는 배상이 어려울 때가 있는데 우리 집 누수의 피해보다 아랫집 누수의 피해의 경우에는 누수탐지와 누수 피해 배상금이 우리 집 보다 훨씬 더 많이 나오는 편이다. 그래서 일상배상책임보험 하나만 가지고는 어렵기 때문에 들어야 하는 것이 임대인배상책임보험이 있어야 한다. 앞에서 언급한 메**로 화재보험과 일상배상책임보험까지 가입할 수 있겠지만 메**보험의 단점이 있는데 가입을 하기 전 90일의 면책기간을 갖는다는 것이 이번에 새롭게 약관에 추가가 되었다.
그래서 선택할 수 있는 삼**인데 여기는 임대인배상책임보험의 자부담이 저렴한 편이다. 만약에 임대인배상책임보험을 가입하려면 삼** 하면 되겠지만 또 문제가 되는 것이 삼**의 경우에는 30년 이상 노후한 집은 또 안 받는다. 만약에 30년 이상 노후한 집에 화재보험과 일상배상책임보험을 메**로 가입하고 중복가입을 더 받아야 한다면 그때 유일하게 일상배상책임 중복가입이 가능한 곳이 한 곳이 있다. 농**이라는 곳에 가입을 하면 중복 보상이 되어서 누수피해에 대한 배상을 충분히 대비할 수 있다.



- NEW보험[진단비][신경내분비종양][유암종] 직장의 경계성종양(D37.5) 진단받고, 조직검사상 어떻게 나와야 암진단비로 검토 가능할까요?해당 질병코드만 보았을 때 직장의 경계성 종양이기 때문에 소액암(=유사암)으로 지급되는 것이 맞습니다.하지만, 수술 후 조직세포를 떼서 검사한 병리의사가 보기에 악성암으로 볼만한 소견이 있다면 암진단비 청구가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병리의사의 소견을 보기 위해서는 "조직검사결과지"를 봐야하고 검사결과지상 신경내분비종양 확인시 암진단비 청구가 가능합니다. ☞ 조직검사결과지상 신경내분비종양으로 확인되여야 하고 ②진단서상의 D코드를 C코드로 변경해야 합니다. [요즘에는 그냥 지급하는 보험사도 많음!]1. 직장의 위치 및 용어 설명 대장은 크게 결장과 직장으로 구분됩니다. 결장에 생기는 암을 결장암, 직장에 생기는 암을 직장암이라고 합니다. 이것들을 통칭하여 대장암 또는 결장 직장암이라고 합니다. 직장은 대장의 마지막 부분입니다.2. 신경내분비종양(Neuroendocrine tumor=NET)을 암으로 인정하게 된 근거 3가지만 기억하세요. (1) 제6,7차 개정 한국표준질박지연 손해사정사・3028
- NEW보험[진단비][대장][대장용종] 진단서상의 대장양성종양(D12.6), 상피내암(제자리암) 진단비 지급 받을 수 있나요?해당 질병코드는 명백하게 양성종양(혹)이기 때문에 청구할 수 있는 암 진단비(소액 및 유사암 포함)는 없습니다.But! 수술을 해 준 주치의는 양성종양이라 생각하지만 조직을 검사한 병리의사가 상피내암으로 본다면 얘기는 달라집니다.병리의사의 소견을 보기 위해서는 "조직검사결과지"를 봐야 하고 검사결과지상 상피내암으로 볼 수 있다면, 청구가 가능해집니다. 1. 보험사의 암 관련(혈액관련 암 제외) 진단비 지급 기준 (필독!!!)[수술해 준 의사(주치의)의 진단서상 질병코드] = [수술한 조직을 가지고, 현미경 검사 등으로 결과를 작성하는 병리의사 소견]이 일치하는 경우입니다. 반대로 "지급 보류 또는 검토되는 경우"는 두 명의 의사의 의견이 불일치 하는 경우입니다.(종종 여러 분야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임!)두 명 의사의 의견이 동일하게 양성종양이라면 부지급이 당연하지만, 그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병리의사 검사결과를 봐야 합니다.박지연 보험전문가・3021
- NEW보험[진단비][림프절전이(C77)]+[갑상선암(C73)] 동시 진단시, 유사암(소액암)이 아닌 일반암으로 보상이 가능한가요?과거처럼 약관상 갑상선암이 일반암으로 되어 있다면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약관상 소액암으로 분류되어 있다면, 보험사에서는 전이된 암이 설령 일반암이라 하더라도원발암(처음 암이 발생한 부위)을 기준으로 소액암 진단비를 지급하는 것이죠.[보험사들은 대개 2007년 4월 이후부터 갑상선암을 소액암으로 분류하기 시작]-. 약관상 갑상선암이 일반암으로 되어 있다면 당연히 일반암진단비가 지급됩니다.-. 약관상 소액암으로 분류되어 있다면 아래 내용을 참고하셔서 일반암으로 지급될 수 있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참고로, 갑상선암 진단을 받을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소액암진단비/소액암수술비/질병수술비/종수술비(아래표 참조)/소액암입원일당/질병입원일당 등 지급 가능합니다.1. 갑상선암관련 용어 설명 (1) 갑상선이란, 갑상선 호르몬, T3와 T4를 생산하고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마다 혈액으로 내보내는 호르몬을 분비해 주는 기관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갑상선암은 유두암, 여포암, 수질암, 미분박지연 손해사정사・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