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시 이야기] 딸에게 배우는 시
시적 대상의 비유는 그것의 본질을 파괴해서는 안된다.
하지만 그것이 설명하라는 말은 아니다.
얼마 전 여섯 살 된 딸이 이렇게 말합니다.
딸 2 : 아빠, 봄 여름 가을 겨울은 왜 그런 이름인 줄 알아?
나 : 봄은 싹이 트는 것을 본다고 봄이고,
여름은 열매가 열린다고 여름이고,
가을은 곡식을 걷고 밭을 다시 갈이(가을갈이)한다고 가을이고,
겨울은 춥고 먹을 것이없어 힘겨울 것이라 겨울이지
라고 했더니 딸의 대답이
딸 2 : 아니지! 봄은 따뜻해서 봄이고
여름은 더우니까 여름이고
가을은 낙엽이 떨어지니까 가을이고
겨울은 눈이 내려서 겨울이지
깜짝 놀라 크게 웃으며 깨닫습니다.
'진짜 리얼리티란 우리들이 날마다 접촉하고 있음으로 기계적으로 밖에는 보이지 않는 사물을 마치 처음 보는 것처럼 새로운 각도로 보여주는 것이다' 라고 말한 장 콕토(프랑스의 시인, 소설가, 극작가)의 말이 이해가 되는 순간이었습니다.
시도 대상의 현실적 의미만을 파다가 외면 당하는 어리석은 길을 가지말고 본질 속에서 모두가 이해할 수 있는 것을 처음인 것처럼 보여주는 것이 필요한 게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시는 늘 살아 있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시에 쓰이는 말도 살아 있어야 합니다. 머리에서 머리가 아닌 심장에서 심장으로 전해지는 말이어야 합니다. 우리가 뒤틀고 꼬아서 감추려고만 했던 탓에 숨이 막혀 죽은 말로 억지스럽게 노래하려 했던 것은 아닌가 고민합니다.
여섯 살 꼬맹이 딸에게 저의 어리석음이 드러난 하루였습니다. (이제는 훌쩍 자라서 중학생이 되었답니다.^^)

이기준 전문가
맑은글터동인

0/ 500

같은 분야의 글 더보기
- NEW학문세상 모든 것의 레시피 01. 플라스틱, 한때는 '꿈의 신소재'였다고? 환경의 적이 된 화학적 운명! 🧪세상 모든 것의 레시피 01. 플라스틱, 한때는 '꿈의 신소재'였다고? 환경의 적이 된 화학적 운명!🧪 안녕하세요!과학으로 세상과 소통하는과학 커뮤니케이터 이중철 전문가입니다. 👩🔬 요즘 환경 문제의 주범으로 손가락질 받는 물질, 바로 플라스틱이죠. 🥤💧🧸 페트병, 일회용 컵, 장난감까지 우리 삶 어디에나 플라스틱이 있습니다. 하지만 불과 100여 년 전만 해도 플라스틱은 인류가 상상만 하던 '꿈의 신소재'였다는 사실! 1950년대,플라스틱 개척자 ‘락희(樂喜)화학’의 탄생?!그리고 국내에서는국내 최초,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도입과 플라스틱 가공 제품을 생산한 바로 그 기업!우리에게 익숙한 LG라는 대그룹의 성장 기반을 마련하기도 했다지요~.🫣 과연 이 물질에는 어떤 과학적 비밀이 숨겨져 있기에, 인류의 혁신을 이끌었다가 환경의 적으로 전락한 걸까요? 원유 한 방울의 변신, 플라스틱의 탄생🛢️➡️♻️혹시 플라스틱이 원유(crude oil)에서 나온다는 사실을 아시나이중철 전문가・41278
- 학문사막에 서식하는 식물의 광합성 방식은?사막에 서식하는 식물의 광합성 방식은?광합성(Photosynthesis)이란 식물이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무기물(이산화탄소 + 물)로부터 유기물(포도당 등)과 산소를 합성하는 과정을 말합니다.광합성의 목적은 크게 3가지입니다. 유기물 생성: 식물은 포도당을 만들어 성장과 에너지 저장에 사용산소 공급: 광합성 과정에서 산소(O₂)를 방출 → 동물 및 인간 생존에 필수에너지 저장: 태양 에너지를 화학 결합 에너지 형태로 저장사막과 같은 고온 건조 환경에서 식물이 광합성을 수행하는 방법은 일반 식물과는 조금 다른데요, 건조 환경에서는 낮 동안 기공을 열면 수분 손실이 심해지므로, 식물들은 광합성을 위한 CO₂ 흡수를 조절하는 특별한 전략을 사용합니다.주요 원리: 밤에 기공을 열어 CO₂ 흡수 → 산 형태(주로 말산)로 저장하고 낮에는 기공을 닫고, 저장된 CO₂를 사용해 광합성 진행이점: 낮 동안의 수분 손실 최소화예김지호 박사・60871
- 학문산과 염기산(Acid)과 염기(Base)의 정의1)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 (Proton 기준)산(Acid): 수소 이온(H⁺, 프로톤)을 내놓는 물질 ex) HCl → H⁺ + Cl⁻염기(Base): 수소 이온(H⁺, 프로톤)을 받아들이는 물질 ex) NH₃ + H⁺ → NH₄⁺2) 루이스 정의 (전자쌍 기준)산(Acid): 전자쌍을 받는 물질 (전자 수용체) ex) BF₃염기(Base): 전자쌍을 주는 물질 (전자 공여체) ex)NH₃즉, 브뢴스테드-로우리 정의는 H⁺ 이동에 초점, 루이스 정의는 전자쌍 이동에 초점을 둔 것입니다.김지호 전문가・4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