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노래연습할때 악보 잘보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사람마다 날때부터 잘 하는것들이 있습니다 나의 경우는 악보를 배운적이 없었지만 초등학교 음악시간에악보를 보는 법을 배웠을때 쉽게 볼 수가 있었지만 다른 친구들은 그렇치를 못했지요 즉 태어나면서부터 악보를 쉽게 볼 수 있는 상태로 태어났기 때문입니다 예고와 음악대학을 졸업한 사람들도 악보를 읽는 능력이 사람에 따라 다릅니다 그 이유는 태어날때부터 악보를 보고 깨닫는 능력이 다르기 때문이지만 남보다 많은 연습을 통해서 악보를 보는 속도가 빠를 수 있으니 많은 악보를 통하여 연습 해 보기 바랍니다
학문 /
음악
4일 전
4.0
1명 평가
0
0
노래 한곡을 완전히 암기하기 위해서는 어떤 레슨이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노래 한곡을 온전히 암기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연습만이 가능하지요 나같은 경우는 노래 한곡을 위해서는 한곡을 적어도 100번 이상 부르고 연습합니다 오로지 연습만이 온전한 노래를 부를수 있지요 인간이기에 100백번 이상 연습을 했다 하더라도 실수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안다면 우리 인간이 얼마나 불완전한 존재라는것을 알 수가 있지요 꾸준한 연습만이 어떤 경우에도 완전에 가까운 한곡을 만들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학문 /
음악
4일 전
4.0
1명 평가
0
0
노래가사 생각나지 않을때 당황하지 않고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노래자랑 참가자로 노래하는중 가사가 생각 나지 않을때에는 난감하겠지요 본인도 연주중 갑자기 가사가 생각이 나지 않은 경우가 있어요 하지만 노래가 끊어지게 되면 난감하지만 비슷한 느낌의 가사로 바꿔서 부르고 넘어간 경우가 있었어요 절대로 당황해서는 안되고 뻔뻔한 느낌을 가지고 비슷한 가사로 넘어가는것이 재능일것 같네요 보통 연주회 같으면 넘어 갈 수 있지만 콩쿨이나 노래자랑으로 심사위원의 심사를 받는 경우라면 슬쩍 넘어간다하더라도 상을 탈 수는 없으리라 생각되니 오로지 많은 연습만이 가사를 잊어버리지 않을수 있음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학문 /
음악
4일 전
4.0
1명 평가
0
0
작곡 전공 생각중인데 꼭 예고, 예재 가야합니까?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음악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 작곡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이 시대에 왜 베토벤과 모짜르트 같은 작곡가가 나오지 않고 그들의 음악이 주로 콘서트 홀에서 연주가 될까요? 베토벤이나 모짜르트 시대 후에도 많은 음악가들이 나왔지만 말입니다 베토벤이나 모짜르트같은 천재성을 나타낸 작곡가들도 자신의 천재성을 나타낼 수 있었던것은 교육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아무리 자신이 작곡에 천재적인 아이디어나 능력이 있더라도 체계적인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되네요 만약 나의 손주가 그러한 재능이 있는것을 발견한다면 먼저 전문가에게 테스트를 받아보고 나서 체계적인 교육을 바도록 할것입니다 질문에 답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학문 /
음악
4일 전
0
0
제가 노래 할때 고음이 이상한데 어떻게 해야하는지 아실까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질문하신 고음에 대해 이해가 안됩니다 저는 30년을 성악가로 교수로 수많은 성악 학도를 가르쳤고 지금도 성악의 발성을 가르치고 있는데 인간이 2옥타브 이상을 내는 사람은 매우 희귀합니다 그런데 2옥타브 솔라시는 안되는데 3옥타브는 된다? 미안하지만 말이 전혀 안되는 질문이네요 인간이 3옥타브의 소리를 낸다? 인간 목소리의 최고의 가능성은 2옥타브 4~5도입니다 가장 음역이 높은 콜로라투라 소프라노가 가능한 음역이며 음을 가장 잘 내는 테너의 한사람인 나도 2옥타브 1도 정도입니다 전문가를 만나 테스트를 받아 보시는게 좋을것 같네요
학문 /
음악
4일 전
0
0
클래식 교향곡이 다양한 악기 조합을 통해 감정의 극적 변화를 표현하는 방식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악기 조합을 통해 인간 감정의 극적 표현을 하는 방법은 작곡자의 개성과 음악적 해석에 따라 다르다고 봅니다 다시 말해서 작곡자가 느끼는 악기의 느낌이 본인의 취향에 따라 다를수 있기 때문입니다 같은 악기라 하더라도 빠르기에 따라 다른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잔잔한 느낌을 주기 위해서는 느린 템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빠른 템포로 인하여 더 극적인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다양한 악기로 바꾸어도 강약만 다르다면 여러가지의 느낌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며 개인에 따라 느끼는 감정의 많은 차이가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래서 자신만의 어떤 느낌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즉 사람에 따라 느껴지는것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질문에 답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학문 /
음악
4일 전
0
0
목관리(노래)를 위해서 초음파가습기 어디에 두고 자는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초음파 가습기는 찬 공기를 내뿜으며 가습을 시키는것으로 취침할 때 코에서 가까운곳 보다는 몸에서 1미터 이상 떨어져 얼굴에 습기가 닿는것은 좋지 않습니다 가습기를 통해서도 바이러스에 감염 될 수 있으니 항상 깨끗이 청소를 하고 습기가 직접 알굴에 닿지 않는곳에 놓으시기를 추천합니다
학문 /
음악
25.10.03
0
0
'밤의 여왕 아리아’가 등장하는 고전 오페라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밤의 여왕의 아리아는 모짜르트의 오페라 마술 피리에 나오는 아리아입니다 이 아리아는 소프라노 가운데서도 가장 높은 음을 낼수 있는 콜로라투라 소프라노만이 부르는 어려운 테크닉의 아리아 입니다 특별히 음정이 하이C 보다 훨씬 높은 F음을 내야하는 고도의 테크닉을 요구하는 아리아로 전 세계에서도 매우 적은 콜로라투라로 인해 자주 공연되지 못하는 오페라입니다 우리나라 소프라노로는 조수미가 유일한 성악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5.10.03
0
0
노래를 정식으로 배우기 위해서는 얼마정도의 레슨으로 효과를 얻을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대학이나 예술 고등학교에서는 일주일에 한번 레슨을 하는것이 일반이지만 이탈리아에서는 금전적으로 가능하기만 하면 거의 매일 레슨을 하는것으로 되어 있지요 어느 선생님은 함께 숙식을 하며 매일 레슨을 합니다 저도 뉴욕에서 6년간일요일만 빼고 매일 레슨을 받았답니다 아마추어들은 노래의 음정과 박자에 문제가 없는 한 적어도 1년정도 레슨을 받아야 무대에 설 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학문 /
음악
25.10.03
4.0
1명 평가
0
0
노래를 부를 때 어떻게 해야 잘 부를 수 있는지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지난 50여년간 성악가로 교수로 레슨 선생님과 연주자로 살아온 나의 경험에 의하면 노래는 가지고 태어나는것입니다 만약 좋은 노래의 재능을 가지고 태어나지 못했다 하더라도 좋은 선생님을 만나면 어느 정도까지는 가능하지만 무대에서 주역으로는 가능하지 않은것 같습니다 때문에 좋은 선생님을 만나 테스트를 받아 보는것이 중요한데 좋은 선생님들이 많지 않은것이 사실입니다. 선생님들이 사례비에 연연하지않고 진심으로 평가할 수 있는 분을 찾아 보세요 나도 대학 졸업 후 미국으로 유학가서 12년동안 열심히 좋은 선생님을 찾았지만 찾지 못하다가 13년 만에 좋은 선생님을 만나 세계적인 콩쿨에서 1등도 할 수 있었고 오페라 주역으로 출연하고 열린음악회에도 10번이나 출연한 경험이 있으며 지금도 왕성하게 후배 성악가들을 가르치고 있답니다
학문 /
음악
25.10.03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