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후쿠시마 오염수 또는 처리수가 방류되면 언제부터 수산물을 먹으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방서선 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는 가이거 (Geiger-Muelle) 계수기가 있습니다.후쿠시마 오염수를 방류할 경우의 시기, 해류, 계절, 수온, 바람의 세기 등 다양한 변수가 작용하므로 우리나라에 도달하는 시기를 알아내기는 어렵습니다.
학문 /
화학
23.06.29
0
0
이번에 발사 성공한 누리호에는 왜 꼬리 날개가 없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선의 꼬리 날개는 방향을 조절하거나 공기저항을 통해 우주선의 중심을 잡기위해 설계되었습니다. 하지만 기술이 발전하면서 자이로센서, 가속센서와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중심과 방향을 잡기 때문에 더 이상 쓸모없게되어 꼬리 날개가 사라진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29
0
0
러브버그가 갑자기 늘어난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러브버그와 같은 외래유입종의 경우 해외에서 수출되어 수입된 배나 비행기 내의 화물에 실려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6.29
0
0
자연상태에서 삼중수소가 어떤 역할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삼중수소는 불안정한 원소입니다. 그래서 시간이 지나면서 붕괴됩니다. 이 때 에너지가 방출되게되는데, 약한 에너지이며 우리의 몸이나 피부를 투과하지 못하는 에너지입니다. 하지만 삼중수소가 체내에 흡수되어 쌓이면 좋지않은 영향을 끼칠 수는 있다고 합니다. 다소 낮은 확률이지만 다수의 삼중수소의 붕괴과정을 거치며 내부 피폭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며, 조직이나 DNA구조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하지만 방사선량은 매우낮아 Xray보다 조금 센 정도라는 보고도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6.29
0
0
초음파의 과학적 원리와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예가 어떤게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초음파는 사람이 듣을을 수 있는 소리음역대를 벗어난 음파를 의미합니다. 초음파를 쏴 반사되어 돌아오기 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물체의 모양이나 거리를 측정하는데 사용합니다. 초음파를 사용한 예시로 지문인식센서, 초음파 측량, 종양 파악, 임신 아이의 모습 파악, 초음파 탐지기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29
0
0
눈오는날 소리를 지르면 맑은 날보다 작게 들리는 이유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눈오는날 소리가 잘 안들리는 이유는 눈의 결정 모양 때문입니다. 눈의 결정모양은 소리를 반사하지 않고 흡수해버리는 모양입니다. 그래서 눈오는날이나 눈이 쌓인날 소리를 내면 평소 맑은날보다 작게들리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3.06.29
0
0
장마철이 점점 길어지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온난화의 영향도 있을 수 있습니다. 온난화로 인해 수증기를 많이 머금은 기단이 장마전선으로 잔류하며 장마의 기간이 길어진 이유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29
0
0
낙엽이 추운 지방부터 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온은 적도부터 북극, 남극 방향으로 이동할 수록 떨어집니다. 그래서 북쪽방향 남쪽방향으로 낙엽이 생깁니다.단풍이 지고 낙엽이 떨어지는 이유는 나무의 겨울나기(월동준비)준비를 하는것입니다. 겨울 동안 나무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고 나무 내에 있는 수분을 최소화(수분이 얼면 부피가 증가해 손상을 입기때문에)하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그 중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잎과 나뭇가지 사이에 떨켜층을 형성하여 나뭇잎에 수분 공급을 중단시키고, 나뭇잎에서 나무로 영양분이 전달되지 않게 됩니다. 이렇게 겨울나기를 준비하기 시작하는 시기는 온도가 떨어지고, 일교차가 커지는 시기입니다. 나무도 생물이기 때문에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변화를 시작하죠. 봄부터 여름까지 엽록소가 만들어지면서 초록 잎을 유지하였지만 가을이 되면서 이 엽록소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이유는 떨켜층에 의해 나뭇잎에 수분이 부족해지고 영양분이 쌓여 산성을 띠게 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됩니다. 나뭇잎에는 색소에 관여하는 성분(카로티노이드, 안토시아닌 등)이 있으며, 엽록소가 분해되면서 이것과 섞여 노란, 주황, 빨강, 핑크 등으로 색이 바뀌어 단풍이 지는 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3.06.29
0
0
햇빛을 잘 보지 못하면 어디가 안좋은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타민 D는 자외선에 의해 합성됩니다. 맑은 날이나 흐린날에는 자외선 지수가 비슷합니다. 흐린날 구름이 많지만 구름으로 막는것은 가시광선입니다. 자외선은 구름을 투과하여 지면으로 도달합니다. 그래서 비타민 D또한 합성이 가능합니다. 물론, 약을 복용하여 비타민 D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비타민D는 칼슘(Ca)과 인(P)이 뼈에 축적되는 정도에 영향을 줍니다. 즉, 비타민 D가 부족할 경우 뼈의 밀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심할경우 뼈가 휘는 구루병, 뼈가 연해지는 골연화증 증상 또는 골다공증을 앓을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29
0
0
하늘에 낮게 떠 있는 구름은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이 생기는 원리는 공기가 상승하는 기류를 만나 상승하면서 부피가 커지고 온도가 떨어집니다. 때문에 공기중 수증기가 물이되면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그런데, 구름이 형성될 때 지형, 기압, 수증기량, 수증기량의 분포도 등 아주 다양한 변수에 의해 모양이 결정되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각기 다른 모양의 구름이 형성됩니다.가끔 한 뭉치의 구름만 낮게 떠있는 모습을 보실 수 있는데, 이는 대기 중 수증기량이 많은 여름에 주로 볼 수 있으며, 급격히 상승한 대기의 일부가 구름이 되기 때문에 따로 떨어져 있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29
0
0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