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목성이 제 2의 태양이 되지 못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목성은 별이 될만한 질량이나 크기는 아닙니다. 태양계의 총 질량 중 태양은 99퍼 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중 많이 쳐줘도 1퍼 정도의 질량을 목성이 갖게 되는데, 이정도의 질량으로는 핵 융합을 활발하게 하지 못하기 때문에 별이 될 수 없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0
0
0
진주가 생성되는 원리는 어떻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진주가 생성되는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조개가 외부의 물질을 삼키거나 할 때 이물질이 들어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 조개 내에서 이물질을 따로 분리하기 위해 탄산칼슘으로 감싸는 과정이 일어납니다. 이 탄산칼슘이 층층히 쌓이면서 하나의 진주가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예쁜 진주모양이 나올 수 도 있지만, 예쁘지 않고 불규칙적인 모양이 나올 가능성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0
0
0
닭살이라고 돋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갑자기 추운환경에 노출되거나 공포를 느끼게 되면 우리의 몸은 항상성(체온, 수분량 등)을 일정하게 유지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외부 추운 환경에 노출되면 교감신경이 작용하여 피부 속 작은 근육인 입모근을 수축 시켜 외부로부터 열을 빼앗기는것을 최소화하죠. 이때 입모근이 수축하면서 피부가 닭살 모양처럼 변하고 모근에 자란 털이 곤두서게 되는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3.02.10
0
0
연금술을 통해 알아낸 지식 중 현재까지 유용하게 사용되는 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연금술은 실제로 불가능한 일이지만 화학, 과학에 발전에 큰 기여를 했기 때문에 이러한 면에서는 성공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연금술은 화학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화학에서는 분자간의 반응에 대해 다룹니다. 연금술에서는 전혀 다른 두 물질로 새로운 물질을 만들려고 했기 때문에 여러 경우의 실험이 있었죠.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목적은 다르지만 화학에서의 연구 과정과 동일하다 볼 수 있습니다. 두 물질(분자)간의 결합을 통해 반응을 관찰함으로써 새로운 사실을 얻어낼 수 있었습니다.
학문 /
화학공학
23.02.10
0
0
지구인 말고 외계인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미지인 영역이라 정확하게 과학적인 증거를 대며 답변이 어렵습니다. 우리는 아직 태양계도 제대로 파악한적이 없고 외부 은하나 외부 행성에 대해 망원경으로 관측한 사실만 있을뿐 행성 내부에 어떤 원소나 존재가 있는지는 무지합니다. 그래서 외계생명체로 발견된 흔적은 아직 없죠. 혹시나 이 드넓은 우주에 생명체가 존재하고 우리가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있다면 가까운 미래에 발견할 확률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0
0
0
전자기기의 전자파를 막기 위해선 어떤 것이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은 전자기파로 파장에 따른 특징을 가집니다. 높은 에너지의 전자파는 우리몸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이러한 것을 차단해줄 수 있는 것은 빛을 잘 흡수하는 물질이나 납, 신소재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2.10
0
0
우박은 어떻게 발생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수증기,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높은 상공에서 수증기가 물이 되고 이 물방울들이 모여 빗방울 크기가 되면 떨어집니다. 그런데 온도가 낮은 상공에서 이 빗방울이 급격히 얼게될 때가 있는데, 이를 우박이라고 합니다.그런데, 우박이 어느정도 크기를 가지고 떨어져야하는데, 강한 상승기류를 만나게 되면 떨어지다 다시 상승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주변 수증기를 머금어 크기가 더 커지게 됩니다. 이를 반복하다 더이상은 상승기류가 우박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할 때 떨어지게 되는 것이죠. 즉, 상승기류의 세기와 수증기량이 우박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0
0
0
냉장고에 있던 밀폐용기를 꺼내면 용기 내부에도 물방울이 맺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내부가 밀폐되기 전에 수증기가 이미 포함되어 있었으면 냉장보관하다가 꺼낼 경우 내부에 물이 맺힐 수 있습니다. 밀폐된 용기 내에 수증기가 있을 경우 냉장고의 낮은 기온에의해 가라앉아 있다가 상온에 놔두게 되면서 자연증발 과정을 거쳐 물방울이 송골송골 맺힐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2.10
0
0
텔레비젼에서 칼라는 어떻게 구현하는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니터 화면에는 RGB(red, green, blue 빨간, 초록, 파랑)의 기본적인 색상을 표현하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3가지 색상을 적절한 비율로 섞으면 모든색을 표현할 수 있죠. 또한, 모니터나 TV를 자세히 들여다 보시면 작은 픽셀들로 빼곡하게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빼곡한 픽셀 부분부분에 RGB를 이용하여 색을 표현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그림을 보여주는 것이죠. 그리고 매시간 색을 변화시키며 영상으로 우리에게 보이게 해주는 원리가 되겠습니다.
학문 /
화학
23.02.10
0
0
토네이도는 어떻게 만들어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토네이도는 기체나 유체의 흐름 중 난류에 의해 생길 수 있습니다. 보통 우리 주변에서도 난류가 흔히 발생하지만 강한 상승기류(강한 저기압)와 강한 바람을 만나지 않는 이상 토네이도가 쉽게 생기지 않습니다. 미국에서는 강한 바람이 부는 상황에서 난류가 발생해 상승기류를 거대한 토네이도가 자주 생기죠. 우리나라에서도 상승기류와 난류(바람)가 있어 토네이도가 가끔 생기지만 크지도 강하지도 않아 금방 소멸됩니다. 즉, 우리나라에도 토네이도가 발생한 사례가 있으며, 토네이도와 같은 원리인 용오름도 관측이 됩니다.미국이나 남미 지역권의 경우 강한바람과 상승기류가 발생할 조건이 좋으며 평지가 많아 토네이도가 쉽게 힘을 잃지 않아 더욱 거세질 수 있죠.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산이 많고 평지가 적어 토네이도가 발생되도 금방 힘을 잃어 소실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0
0
0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