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아주귀여운미냥
아주귀여운미냥

우박은 어떻게 발생하는건가요?

우박같은 딱딱하고 차가운 물체가 대기 중에서 발생해서 내린다는게 이해가 안가는데 어떤 원리로 발생해서 내리는 건가요?? 눈과 비슷한 원리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호탕한개미핥기272
    호탕한개미핥기272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수증기,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높은 상공에서 수증기가 물이 되고 이 물방울들이 모여 빗방울 크기가 되면 떨어집니다. 그런데 온도가 낮은 상공에서 이 빗방울이 급격히 얼게될 때가 있는데, 이를 우박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우박이 어느정도 크기를 가지고 떨어져야하는데, 강한 상승기류를 만나게 되면 떨어지다 다시 상승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주변 수증기를 머금어 크기가 더 커지게 됩니다. 이를 반복하다 더이상은 상승기류가 우박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할 때 떨어지게 되는 것이죠. 즉, 상승기류의 세기와 수증기량이 우박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죠.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하늘에서 형성된 구름에 매우차가운 영하 30도이하의 한랭기단을 만나게되면 미세물방울들이 얼게되고 이얼음 알갱이들이 뭉쳐 커지게되면 중력을 이기지 못해 아래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것이 우박입니다. 비나 눈의 형성원리와 같습니다.

  • 우박은 대기 상층에 있는 차가운 공기와 바로 아래에 있는 가운데의 따뜻한 공기가 상승할 때 생깁니다.

    상승한 공기가 주변의 공기보다 따뜻하여 부력을 받아 더 높은곳으로 상승하게 되어

    구름 속의 얼음 입자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물방울이 계속 얼음에 달라 붙어 점점 커지게 되어 결국 우박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눈의 경우는 온도가 낮아야 내리지만 우박은 따뜻한 경우에도 내리므로 원리가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