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하늘이 푸른빛을 띄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데,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산란이란 쉽게 생각해 빛의 경로가 바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하늘에서 파란색의 파장 영역대의 빛이 공기와 산란하여 여기저기 튀다 우리 눈으로 들어온 것이죠. 반면에 다른 빛은 모두 공기를 투과하여 지면에 닿기 때문에 하늘의 색에는 기여하지 않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9
0
0
소금이 물에 녹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금물의 경우를 생각해보죠. 소금은 NaCl로 물에서 전해질 상태로 존재합니다. 물에 녹아 Na+, Cl-가 됩니다. 극성을 가진 물은 +극과 -극이 나뉘어져 있는데, 이 +극은 Cl-를 당기고, -극은 Na+를 끌어당기면서 소금이 물에 잘 녹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3.02.09
0
0
왜 산에 올라가서는 냄비에 돌을 올려야 물이 빨리 끓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산이나 고지대에서는 공기의 기압(압력)이 떨어집니다. 압력이 감소하면 액체의 끓는점이 낮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밥이 설익게 되는 것이죠.물이나 액체가 끓어 기체가 되는 것은 분자간 인력(전기력)을 끊고 자유로워지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액체를 누르는 공기 압력이 강해지면 자유로워지는데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압력이 약해지면 더 쉽게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압이 낮아지면 기체가 되는데 비교적 쉬워져 끓는점이 낮아지는 것이죠.그래서 산에서는 밥을 지을 때 돌을 얹혀놔 압력을 강하게 만들어줘 밥을 잘 익게 만들 수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2.09
0
0
블루투스는 무슨 원리로 작동이 되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루투스는 2402~2480MHz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총 79개의 채널을 만들어 냅니다. 그리고 이러한 고주파를 저전력 전파로 발생시켜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하게 합니다. 이 때 79개의 채널을 1초당 1600번 전송하는데, 패턴을 다르게 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다른 주파수와 간섭을 최소화 하여 블루투스 연결을 하게 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2.09
0
0
물고기과 아가미를 통해 호흡하는 원리, 방법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고기는 아가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아가미에는 모세혈관으로 가득차 있으며, 입으로 마신 물에 녹아 있는 용존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가스교환을 통해 호흡을 합니다.
학문 /
물리
23.02.09
0
0
늙으면 왜 머리가 다 하얘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나이가 들면 흰머리가 많아지는데 이는 신체의 노화로 인해 불가피하게 생기는 것입니다. 노화가 되면서 색소세포가 온전하게 남아있지 않고 파괴되거나 죽기 때문에 검은머리가 나지 못하고 흰머리가 나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3.02.09
0
0
연금술은 성공했다고 봐야되나요 실패했다고봐야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연금술은 실제로 불가능한 일이지만 화학, 과학에 발전에 큰 기여를 했기 때문에 이러한 면에서는 성공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연금술은 화학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화학에서는 분자간의 반응에 대해 다룹니다. 연금술에서는 전혀 다른 두 물질로 새로운 물질을 만들려고 했기 때문에 여러 경우의 실험이 있었죠.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목적은 다르지만 화학에서의 연구 과정과 동일하다 볼 수 있습니다. 두 물질(분자)간의 결합을 통해 반응을 관찰함으로써 새로운 사실을 얻어낼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2.09
0
0
태양이 한번씩 달처럼 보이는경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이 많이 끼거나 안개가 많이 끼거나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경우 태양빛이 차단되는 효과 때문에 달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9
0
0
태양을 한번씩 보면 흑점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의 표면을 광구라고 하는데, 광구의 온도는 대략 6000도 이지만 이보다 낮은 온도인 4000도의 영역을 흑점이라고 합니다.흑점은 태양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많이 나타납니다. 태양 표면인 광구는 쌀알무늬를 띱니다. 그런데 태양 활동으로 인해 온도가 높아지는 부분과 낮아지는 부분이 극명해지면서 흑점이 나타납니다. 흑점은 태양의 표면 온도인 6000도 보다 작은 4000도 정도가 됩니다.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죠.흑점의 수가 많아지면 태양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이로인해 태양의 자기장, 태양풍(우주선, 방사선, 강한 빛 방출)이 강해져 지구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태양에서 발생한 강한 자기장과 태양풍으로 인해 지구 자기장 및 대기권 상층을 교란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면 전파에 의존하는 GPS, 전파 사용 장비 등을 교란되는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9
0
0
핵분열은 어떻게 큰 폭발에너지를 만드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핵분열은 불안정한 원자(우라늄-235과 같은)에 중성자를 충돌시켜 불안정한 원자가 다른 원자로 변하며 결손되는 질량이 발생하는데, 결손된 질량이 에너지로 전환됨에 따라 에너지를 얻어지는 것입니다. 불안정한 원자에 중성자를 충돌 시킴으로써 붕괴를 시키는데, 이 반응이 연쇄적으로 일어나 많은 양에 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때 질량 손실에 의해 얻어지는 에너지는 E=mc^2에 의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만약에 1g의 질량 결손만으로 9000만 줄(J)의 에너지가 생성됩니다.
학문 /
화학
23.02.09
0
0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