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지구의 내부 구성을 어떻게 알았나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들어가지보지는 못했습니다. 하지만 지진파의 측정, 전파의 측정을 통해 내부 구성 성분이나 상태를 파악해 낼 수 있습니다. 고체나 액체에서 지진파의 속력이 달라지며, 그 성분에 따라 속력이 달라지기 때문에 지진파를 통해 분석해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8
0
0
하품을하면 왜 옆사람도 따라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품은 체내에 산소가 부족해지면 산소를 얻으려 많은 공기를 마시기 위해 하품을 하는것입니다. 주변에서 하품을 하면 주변사람들 또한 산소가 부족한 상태이고, 주변 사람들의 하품으로 인해 더욱 산소가 부족해져 하품이 연쇄적으로 전파됩니다.
학문 /
물리
23.02.08
0
0
물을 오래 놔두면 기포가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체는 높은 온도의 액체에서 잘 녹지 않으며 낮은 온도의 액체에서 잘 녹습니다. 탄산 음료를 시원하게 먹는 이유도 이 때문이죠.그래서 시원한 물의 경우나 수돗물의 경우에 이산화탄소나 다른 종류의 기체가 녹아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온에 두게되면서 온도가 올라가 녹아 있던 기체가 공기중으로 나오려 하기 때문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3.02.08
0
0
행성의 공전 궤도가 타원인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초기 우주에 가스와 먼지, 입자들이 운동을 하고 있었을 것이며, 중력에의해 집단을 형성해가며 태양과 같은 별이나 행성이 만들어졌습니다. 이 과정에서 질량을 가진 두 물체에 대해 운동을 하고 있을 경우 원, 타원 궤도 운동이 가능합니다. 물론 쌍곡선 포물선과 같은 운동도 가능합니다. 이렇게 공전 궤도 운동 중 원, 타원, 쌍곡선, 포물선 운동이 가능한 이유는 각운동량과 중력퍼텐셜 에너지 때문입니다. 각운동량은 공전 운동을 시작할 초기에 갖는 회전 운동량으로 두 천체가 영향력을 받게 될때의 운동량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를 역학적으로도 정확하게 풀어낼 수 있는데, 각운동량에 의한 effective한 퍼텐셜 에너지와 중력퍼텐셜 에너지 그리고 운동에너지를 통해 에너지 상태에 따라 원, 타원, 쌍곡선, 포물선 운동이 가능합니다. 물론 원운동의 경우 가장 특별한 경우로 희박한 확률로 가능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8
0
0
우리나라에 과학자중에 저명한 사람들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김휘소 박사님이 아닌 이휘소 박사님이 계시고, 유경로, 허문회, 조순탁, 이태규, 이임학 등 여러 과학자들이 존재하며 외국으로 간 기초과학자들도 존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8
0
0
물속에 자라는 수초나 해초도 광합성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해초나 수초 또한 광합성을 하는 해조류입니다. 햇빛만 받게 되면 광합성을 하여 산소가 발생하죠.
학문 /
생물·생명
23.02.08
0
0
전기제품이 220V가 아닌 110V를 사용하게 되면 출력도 절반으로 줄어드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전류의 양이 220V에 비해 반이 되기 때문에 출력은 W=VI를 따르므로 4배나 감소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2.08
0
0
구름이 먹구름이라는 것은 습기를 많이 있는 구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습도가 높기 때문에 어둡게 보입니다.먹구름은 비가 내릴 수 있는 구름이고, 일반구름과 달리 수증기, 물의 함량이 높고 물방울의 크기가 큽니다(비내리기 직전, 비가 내리고 있는 상황). 그래서 빛이 먹구름 내에 물방울에 산란하지 못하고 흡수되어 어둡게 보이는 것이죠.(여기서 산란이란 쉽게 생각해 빛의 경로가 바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8
0
0
지구 내부로 들어간 최고 거리는 얼마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1989년 러시아의 콜라 시추공으로 12,262m의 깊이까지 판 것이 역사상 가장 깊이 판 기록으로 남아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8
0
0
심해의 온도와 바다표면의 온도는 비슷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다릅니다. 심해의 경우 밀도가 높은 물이며, 기온이 낮은 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보통 0~4도 정도의 물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바다 표면은 햇빛도 받으면 바람에의해 섞이기도 하기 때문에 따뜻한 물이 존재합니다. 밀도도 낮기 때문에 높은 온도의 물이 존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8
0
0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