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태양계에서 다른 우주체와의 충돌은 언제 일어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알 수 없습니다. 우주의 현상중 예측하고 예상할 수 있는 현상이 있는 반면 예측하지 못하는 현상도 많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소행성 충돌, 외부 다른 천체와의 예측은 굉장히 어려운 일입니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언제 충돌할지는 알 수 없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7
0
0
삼성페이의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스마트폰 삼성페이나 신용카드, 교통카드 등에는 마그넷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마그네틱은 작은 자기 테이프가 포함되어있으며, 이곳에 카드의 정보가 담겨있습니다. 마치 하나의 바코드, QR코드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마그넷을 찍으면 리더기에서 자기 테이프의 정보를 해독하여 읽고 판단할 수 있는 원리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2.07
0
0
우주에서 생명이 존재할 확률은 얼마나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확률은 가늠하기 어렵습니다. 확률이란것은 통계적으로 모아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말할 수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아직 지구 외 다른 행성에 대해 제대로 탐사하지도 못하고 있으며, 아직 완전히 탐사한 행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확률로써 말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만약 태양계의 행성을 탐사한 뒤 다른 계의 행성들을 탐사한 뒤에는 확률을 말할 수 있죠. 개인적으로는 이 넓은 우주에 수없이 많은 별과 행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생명체는 존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7
0
0
물이 얼게되면 부피가 커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의 경우는 특별합니다. 물이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커집니다. 혹시, 페트병에 물을 넣어 얼린경험이 있으시다면 바로 알아채실겁니다. 페트병에 물이 얼어있으면 빵빵하게 돼버리는데, 얼음이 물보다 부피가 크기 때문이죠. 물 분자는 액체 상태에서 자유롭게 있다가 어는점이 되면서 배열을 이룹니다. 이 때 6각 배열로 정렬하면서 얼음(고체)이 되는데, 6각 배열은 기존 물 분자 6개가 있던 공간보다 큰 공간을 차지합니다. 또한 6각 구조 내부로는 물 분자가 위치하지 않게 되죠. 이러한 원리로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커진거죠.산이나 고지대에서는 공기의 기압(압력)이 떨어집니다. 압력이 감소하면 액체의 끓는점이 낮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밥이 설익게 되는 것이죠.물이나 액체가 끓어 기체가 되는 것은 분자간 인력(전기력)을 끊고 자유로워지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액체를 누르는 공기 압력이 강해지면 자유로워지는데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압력이 약해지면 더 쉽게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압이 낮아지면 기체가 되는데 비교적 쉬워져 끓는점이 낮아지는 것이죠.그리고 산에서는 밥을 지을 때 돌을 얹혀놔 압력을 강하게 만들어줘 밥을 잘 익게 만들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2.07
0
0
지진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이며 지진은 자연재해 입니까? 신의 형벌의 재앙입니까?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진은 과학적으로 밝혀진 현상이며, 자연재해입니다. 지진은 오~랜 기간동안 판의 이동과 상호작용으로인해 생기게 되었습니다.판과 판이 만나는 경계부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의해 주로 발생합니다. 판과 판은 조금씩 이동하고 있는데, 판이 벌어지거나 판이 충돌하면 마찰과 충격에 의해 지진과 화산폭발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지진 전조 증상은 지하수의 수위, 수온, 냄새, 라돈 함유량 등의 변화와 가스의 분출 유무, 지진계, 지진파를 통해 모니터링 함으로써 과학적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7
0
0
은박지가 불에 안타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타는 것은 열과 산소 그리고 물질이 필요합니다. 보통 산화되면서 불이 붙어 타게됩니다. 그런데 알루미늄 은박지나 철과 같은 것은 잘 산화되지 않는 특징이 있어 불이 붙지 않죠. 하지만 높은 온도로 가열하게 되면 은박지도 녹는점이 있기 때문에 붉어지며 녹게될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2.07
0
0
네비게이션은 누가 언제 발명했나?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최초의 네비게이션은 1985년 미국 자동차용품 업체 이택 Etak에서 이택 네비게이션을 발표하였습니다. 그리고 국내에서 상용화가 시작된건 1997년부터라고 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2.07
0
0
태풍의 눈 정중앙에서는 맑은 하늘이 보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태풍의 눈은 맑은 날씨입니다. 태풍의 저기압에 의해 바람이 들어오며 중심 부근에서는 상승기류가 형성되는데, 이 상승기류가 반경을 가지고 생겨납니다. 그래서 상승기류는 태풍의 중심에 바람이 불어 들어가지 못하게 벽 역할을 해주는것이죠. 이런 이유로 태풍의 눈은 고요하며 맑은것이 맞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7
0
0
지진 5.0 정도는 어느정도의 세기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판과 판이 만나는 경계부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의해 주로 발생합니다. 판과 판은 조금씩 이동하고 있는데, 판이 벌어지거나 판이 충돌하면 마찰과 충격에 의해 지진과 화산폭발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규모 4.1정도는 차량이 흔들리고, 실내에 있는 그릇이나 창문이 흔들리며 깨지기도함. 벽의 약한 부분이 떨어져 나가기도함. 사람들이 느낄 수 있을 정도입니다.아래는 규모에 따른 지진 피해입니다.규모 1.0~3.0 : 지진의 흔들림을 거의 느낄 수 없는 정도, 민감한 사람들은 느낄 수 있을 정도.규모 3.0~4.0 : 높은 층에서는 느낄 수 있음, 민감한 사람들이 느낄 수 있음, 멈춰있거나 조용한 상태에서 느낄 수 있으며, 차량, 실내에서 느낄 수 있을 정도.규모 4.0~5.0 : 차량이 흔들리고, 실내에 있는 그릇이나 창문이 흔들리며 깨지기도함. 벽의 약한 부분이 떨어져 나가기도함. 사람들이 느낄 수 있을 정도.규모 5.0~6.0 : 건축물, 차량 등이 흔들림. 모든 사람이 느낄 수 있음. 내진 설계가 안된 건물에서 금이가거나 창문이 깨질 수 있음.규모 6.0~7.0 : 내진 설계가 안되거나 오래된 건물의 붕괴가 일어날 수 있음. 흔들림이 심해 내부에 있는 물건들이 떨어지거나 깨짐.규모 7.0~ : 대부분의 건물과 구조물이 붕괴될 수 있음. 땅이 갈라지거나 할 수 있음.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7
0
0
지구는 둥그니깐 질문드려요ㅜㅜ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만약 우리나라에서 지구 중심으로 땅을 뚫을 수 있어 뚫고 나간다면 우루과이 몬테비데오 앞바다가 나옵니다. 그래서 바닷물을 먼저 맞이하게 되죠. 또한 중력은 작용합니다. 하지만 지구 중심에서는 중력을 느낄 수 없고 무중력을 느낄 수 있죠. 다만 지구 중심은 매우 뜨겁기 때문에 몸이 녹지 않는 상황에서 성립하는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지구 중심을 지나 다시 반대편을 향해 뚫고 나간다면 중력은 다시 생깁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7
0
0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