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주는 얼마나 광활한지 알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의 끝이 어떤지, 그리고 끝이 있는지 없는지는 지구상에 생명체 중 아는 존재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현재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지구 중심으로부터 관측 가능한 우주까지의 거리가 465억 광년(빛의 속도로 465억년 이동해야 갈 수 있는 거리)이며, 직경 930억 광년이죠. 실제 우주는 이보다 더 크고 우리가 관측하는 범위를 벗아나 있으므로 알 수 없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7
0
0
먹지않고 생성되는 필수 영양소?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필요로 하는 영양소는 체내를 구성하거나 에너지원으로 사용됩니다. 그래서 영양소가 몸에서 생성되거나 하진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먹어왔던 음식은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으며 다르게 생각하면 저장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몸을 구성하고 남은 것은 에너지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남아있지 않죠. 극단적으로 생각하면 우리의 몸에 저장된 근육, 지방을 잘라 요리하면 새로운 영양소는 될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2.07
0
0
티비 광고에서 음식 냄새가 나게 할 수 있는 것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과거부터 냄새나는 tv를 만드려는 연구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냄새의 경우는 시각이나 청각처럼 간단하게 표현하기엔 무리가 따릅니다. 시각의 경우는 빛의 삼원색(RGB)을 통해 모든 색의 표현이 가능해 간단하고, 청각의 경우 스피커의 진동, 떨림 만으로 모든 소리가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간단합니다. 하지만, 냄새, 향기의 경우는 기본적인 원자 구성으로 표현하는데 무리가 따릅니다. 원자는 소모가 되는 것이며, 지속적으로 공급이 필요합니다. 만약, 공기 중에 있는 기체를 원료로 냄새의 화학 구조를 표현한다고 하면 공기 기체의 원자를 분해해 냄새를 나게하는 화학 물질로 재조합 해야하는데 쉬운 일이 아닙니다. 또한, 냄새를 나게하는 화학물질의 경우는 정말 다양하고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냄새를 표현하는게 쉽지 않아 냄새를 전달하는 매체가 아직 나오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 냄새를 표현할 수 있는 간단하고 기발한 아이디어가 생기는 날에는 냄새를 전달하는 매체도 나오겠지만 현재의 기술로는 어렵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2.07
0
0
현재 기술로 타이타닉호를 꺼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기술적으로나 비용적으로 굉장한 양이 들기 때문에 사실 타이타닉을 건져올리기에는 무리가 따릅니다. 타이타닉은 우리가 알다시피 단순히 침몰한 것이 아닌 부숴지면서 침몰하였습니다. 그래서 더이상 배가 아닌 고철덩어리로 봐야하며, 거대한 고철 덩어리를 끌어 올리는 것은 막대한 양의 비용과 기술이 필요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2.07
0
0
단백질이 손에 묻으면 잘 안 떼지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단백질이 녹을 경우 끈적임이나 미끌거림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잘 안떼지는 경우가 있으며, 단백질이 잘게 으스러진 상태라면 작은 분말 형태로 손의 유분과 만나 잘 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2.07
0
0
휴대폰 충전하는 줄이 길면 충전 속도가 느린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줄이 길든 짧든 충전속도에 큰 영향을 미치진 않습니다. 다만 극단적으로 줄이 100km 이상으로 긴 경우 전기 저항이 엄청나게 높아져서 전류가 흐르지 않아 충전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시중에 나오는 줄은 대부분 cm단위에서 1m 단위이므로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2.07
0
0
사람마다 뼈가 다른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통뼈의 경우 뼈의 밀도가 일반 뼈보다 훨씬 높습니다. 그만큼 단단하며 무게감도 있죠. 이는 유전적인 이유이며 쌍커풀이 있고 없고 와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2.06
0
0
왼손 오른손 사용에 따른 뇌 발달?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어느정도 발달은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뇌는 손발의 움직임 뿐아니라 생각하는 것, 보는것, 판단하는 것 등 다양한 작용을 통해 발달하므로 손, 발에 의해 좌뇌 우뇌 의 발달여부를 섣불리 판단하진 않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2.06
0
0
유리잔에 뜨거운물 부었는데 왜 깨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유리잔에 급격한 온도변화를 가하면 깨질 수 있습니다.유리잔이 차가운 상태거나 추운 날 유리잔에 뜨거운 물을 붓게 되면 깨질 수 있습니다.이유는 차가운 상태에서 유리를 구성하고 있는 분자, 원자들은 서로 촘촘하게 붙어 있는 상태입니다. 그런데, 뜨거운 물을 붓게 되면 분자와 원자들은 열에너지를 받아 활발하게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팽창이 일어납니다. 이러한 팽창은 유리의 제한된 규격을 깨려고 하며 결국 팽창하여 균열이 발생해 깨지게 되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3.02.06
0
0
핵전쟁이 일어난 뒤에 찾아올 핵겨울 (Nuclear Winter)에서 인류는 생존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술이 많이 발달하여 추위에 대해서는 견디며 생존할 수 있지만 방사선 물질 등에 의해 병을 앓거나 온전치 못한 몸으로 살아갈 것으로 판단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2.06
0
0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