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오존층이 하는 역활은 어떤 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과거 프레온 가스로 인해 오존이 파괴되는 것을 관측한 뒤 프레온 가스의 사용을 대폭 줄였습니다. 그 후 현재 오존층이 많이 회복 되었다고 합니다.산소(O2)는 자외선에 의해 쪼개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산소(O2)와 만나 오존(O3)가 되는 것이죠. 이를 반복하여 오존이 복구될 수 있습니다.오존은 우리 지구의 온도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우주로 빠져나가는 복사열을 잡아두며 지구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시켜주죠. 오존이 파괴되면 복사열을 잡아두지 못해 기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오존은 우주에서 오는 강한 자외선을 흡수해주기 때문에 우리를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역할도 합니다.
학문 /
화학
23.02.06
0
0
가장 단단한 물질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다이아몬드가 가장 단단한 물질입니다. 탄소로 이루어져 있죠. 또한 카르빈이라고 탄소로 이루어진 인위적인 물질로 다이아몬드보다 더욱 단단한 물질이 있습니다. 하지만 굉장히 불안정하기 때문에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6
0
0
프왱카레 가설은 해결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증명되었습니다. 러시아의 수학자 그리고리 페렐만에 의해 증명되었습니다. 그래서 페렐만의 정리라고도 부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6
0
0
지구 온난화가 심하면 어떤일이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온난화가 가속되면 남극과 북극의 눈과 얼음이 계속해서 녹을 수 있습니다. 북극의 경우 대륙이 없고 빙하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남극은 대륙 위에 눈과 얼음이 뒤덮고 있죠. 북극의 빙하가 녹게 될 경우 해수면의 상승은 없다고 보시는게 맞습니다. 왜냐하면 물 위에 얼음이 둥둥 떠있다가 얼음이 녹아도 수위가 안 올라가는 이유와 같습니다. 물은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커지는데, 그 부피가 커지는 만큼 수면 위로 뜨기 때문이죠. 하지만 남극의 경우는 다릅니다. 남극은 대륙이며 대륙위에 눈과 얼음이 뒤덮고 있죠. 이 눈과 얼음이 녹으면서 바다로 유입되면 해수면의 상승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구 전체 면적의 70퍼 정도가 바다이며 일부 남극의 얼음이 전부 녹지 않는 이상 해수위의 상승은 미미합니다.지구온난화의 문제는 연료를 태울 때나, 기타 사람이 만든 물질이 부패나 연소 과정을 거칠 때 나오는 가스 중 온실가스의 배출로 심해지고있습니다. 온실가스에는 이산화탄소, 메탄, 이산화 질소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이러한 기체에 의해 계절성이 모호해질 수 있습니다. 지구에서 우주로 열을 방출해야하는데 온실효과로 인해 방출율이 줄어듭니다. 그러면 여름이 지나고 떨어져야 하는 온도인데 유지되고 있어서 가을이 없는거처럼 느껴지는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가을과 봄이 짧아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죠.추가로 눈과 얼음이 녹아 바다로 유입되고 태양 에너지를 받아 수온이 상승하게 되면 해수위가 상승하는 또 다른 조건입니다. 바닷물에 열이 가해지면 운동성이 활발해져 부피가 팽창하기 때문이죠. 그러나, 온난화로 인해 영구동토층이 녹아 온난화를 가속시킬 위험도 있습니다.영구동토층은 보통 북극의 고위도에 위치하며, 1년 내내 얼어 붙어 있는 퇴적물, 토양, 기반암 등을 의미합니다. 영구동토층의 면적은 지구 육지 표면적의 14%이며 약 2100만 km² 입니다. 이 영구동토층은 탄소, 메탄 가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녹게되면 탄소와 메탄가스가 대기로 나올 수 있습니다. 즉, 지구온난화를 가속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시한폭탄이라는 표현을 하고있죠. 온난화로 지구가 따뜻해지면서 영구동토층이 녹을 수 있는데,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온실가스인 탄소, 메탄가스가 대기로 흘러나오니 온난화가 더욱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만약 모든 빙하가 녹는다면 해수위가 60~80m 정도 올라간다는 추산이 있습니다. 만약, 모든 빙하가 녹아 섬이나 침수지역이 발생한다면, 자연 현상으로 막기에는 어려운 부분이며 과감히 침수지역을 포기하고 이전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육지, 섬이 줄어드는 만큼 인구 밀도는 높아질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앞으로 지구온난화가 가속될 경우이며 다시 온난화가 멈춰 식을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6
0
0
하늘을 보면 별이 반짝이는데 인공위성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위성의 경우 거의 반짝거리지는 않습니다. 물론 조금 흐리거나 구름낀 하늘에 의해 빛의 세기가 달라지며 반짝일 수는 있으며, 빛이 오면서 대기에 의해 약간은 반짝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거의 일정한 빛을 내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위성 자체적으로 빛을 반짝반짝하는 경우에는 반짝이게 보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6
0
0
우주는 정말 존재하는건가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성운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과거부터 과학자, 천문학자, 물리학자 등 우주의 사실을 밝히려 노력해왔습니다. 그러다보니 관측, 측정에 기술력을 갖추고 별이나 행성, 성운, 성단으로 부터 온 빛을 분석하여 무엇으로 이루어져있는지 해석할 수 있게 되었죠. 우리가 천문대에서 볼 수 있는 성운이나 성단 들도 우리는 단순히 눈으로 보겠지만 과학자들은 빛을 하나하나 분석하여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분석하여 우리에게 알려주는 것입니다. 또한 관측대상까지의 거리도 알 수 있으며 크기까지 알 수 있기 때문에 진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6
0
0
달을 보면 토끼모양이 있어 달토끼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보시는 것처럼 마치 토끼가 절구찍는 모습을 하는 것처럼 형상이 보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달에 생긴 크레이터(외부 소행성, 우주의 물질이 달과 충돌하여 생긴 자국)는 어둡고 그렇지 않은 부분은 밝기 때문이죠. 그리고 또 다르게 보면 꽃게로 볼 수 있고, 또 웃는 형상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6
0
0
신체에 세포는 계속 분열을 진행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신체에 세포는 계속해서 분열하여 생성됩니다. 왜냐하면 그만큼 죽는 세포도 많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각질이 일어나는 이유죠. 매일매일 죽은세포는 날아가고 새로운 세포는 생성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2.06
0
0
모기에 물리면 가렵게 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기가 피를 빨려고 물때 지방조직을 녹이는 성분과 히루딘이라는 성분을 내보내면서 피를 빱니다.우리 몸에서는 외부에서 들어온 모기의 타액을 이물질로 인식하고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면역반응이 일어나는데, 이때 가려움을 유발하는 히스타민이 함께 분비 된다. 히스타민은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가려움증과 함께 붓고 빨갛게 됩니다. 이를 더 자극하게 되면 면역반응이 더 올라가 가려움이 증가됩니다. 가려움 예방 약을 바르시는것을 추천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6
0
0
지진 규모가 7 이상이면 어느정도 인가요? 그리고 우리나라빌딩은 내진설계 강도가 어느정도인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내진설계로 버틸 수 있는 진도는 7정도까지 버틸 수 있는것이 기준으로 되어있습니다.내진 설계의 원리는 공명 진동수를 없애는데 있습니다.모든 물체에는 공명 주파수가 존재합니다. 공명 주파수는 물체의 재질, 모양, 크기 등과 관련이 있으며 물체를 가장 강하게 진동시킬 수 있는 주파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물체를 특정한 진동수를 주어 흔들 때, 떨림의 진폭이 가장 클 때가 공명주파수가 된것인데, 이 공명 주파수에 도달한 물체는 떨림의 진폭으로 인한 뒤틀림을 이기지 못하고 부숴지죠.
학문 /
토목공학
23.02.06
0
0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