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헌신하는파리매143
헌신하는파리매14323.02.06

지구 온난화가 심하면 어떤일이 일어나나요?

매년 지구의 평균 온도가 상승하는데 지구의 온난화가 심해지면 지구에는 어떠한일이 발생하게 되나요? 알고고계시면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온난화가 가속되면 남극과 북극의 눈과 얼음이 계속해서 녹을 수 있습니다. 북극의 경우 대륙이 없고 빙하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남극은 대륙 위에 눈과 얼음이 뒤덮고 있죠. 북극의 빙하가 녹게 될 경우 해수면의 상승은 없다고 보시는게 맞습니다. 왜냐하면 물 위에 얼음이 둥둥 떠있다가 얼음이 녹아도 수위가 안 올라가는 이유와 같습니다. 물은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커지는데, 그 부피가 커지는 만큼 수면 위로 뜨기 때문이죠. 하지만 남극의 경우는 다릅니다. 남극은 대륙이며 대륙위에 눈과 얼음이 뒤덮고 있죠. 이 눈과 얼음이 녹으면서 바다로 유입되면 해수면의 상승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구 전체 면적의 70퍼 정도가 바다이며 일부 남극의 얼음이 전부 녹지 않는 이상 해수위의 상승은 미미합니다.

    지구온난화의 문제는 연료를 태울 때나, 기타 사람이 만든 물질이 부패나 연소 과정을 거칠 때 나오는 가스 중 온실가스의 배출로 심해지고있습니다. 온실가스에는 이산화탄소, 메탄, 이산화 질소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이러한 기체에 의해 계절성이 모호해질 수 있습니다. 지구에서 우주로 열을 방출해야하는데 온실효과로 인해 방출율이 줄어듭니다. 그러면 여름이 지나고 떨어져야 하는 온도인데 유지되고 있어서 가을이 없는거처럼 느껴지는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가을과 봄이 짧아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죠.

    추가로

    눈과 얼음이 녹아 바다로 유입되고 태양 에너지를 받아 수온이 상승하게 되면 해수위가 상승하는 또 다른 조건입니다. 바닷물에 열이 가해지면 운동성이 활발해져 부피가 팽창하기 때문이죠. 그러나, 온난화로 인해 영구동토층이 녹아 온난화를 가속시킬 위험도 있습니다.

    영구동토층은 보통 북극의 고위도에 위치하며, 1년 내내 얼어 붙어 있는 퇴적물, 토양, 기반암 등을 의미합니다. 영구동토층의 면적은 지구 육지 표면적의 14%이며 약 2100만 km² 입니다. 이 영구동토층은 탄소, 메탄 가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녹게되면 탄소와 메탄가스가 대기로 나올 수 있습니다. 즉, 지구온난화를 가속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시한폭탄이라는 표현을 하고있죠. 온난화로 지구가 따뜻해지면서 영구동토층이 녹을 수 있는데,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온실가스인 탄소, 메탄가스가 대기로 흘러나오니 온난화가 더욱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

    만약 모든 빙하가 녹는다면 해수위가 60~80m 정도 올라간다는 추산이 있습니다. 만약, 모든 빙하가 녹아 섬이나 침수지역이 발생한다면, 자연 현상으로 막기에는 어려운 부분이며 과감히 침수지역을 포기하고 이전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육지, 섬이 줄어드는 만큼 인구 밀도는 높아질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앞으로 지구온난화가 가속될 경우이며 다시 온난화가 멈춰 식을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 온난화로 구름 속 온도가 더 올라가서 얼음 알갱이가 다 녹아버리면 햇빛을 반사할 물방울을 만들지 못해 온도 상승이 더 빨라진다는 겁니다. 실제로 기온이 5도 오르면 재앙이 닥칩니다. 지구 온도가 0.5도만 더 올라도 해수면이 67cm나 상승하고 여름에 북극 빙하를 보지 못할 확률이 15배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서식지를 잃는 동식물도 두 배나 늘어납니다.


  •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온난화가 진행된다면 해수면이 상승하게 됩니다. 지구는 대부분의 바다로 구성되어 있어, 육지의 면적이 줄어들게 될겁니다. 섬나라로 구성된 국가들의 면적은 줄어들 것이고, 해수온도 또한 상승하게 되어 해양생태계 또한 망가지게 될겁니다. 대기에서도 이상기후가 발생하여 가뭄과 홍수 현상이 발생하며, 토네이도와 같은 재앙도 발생횟수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06

    현재의 지구환경에 적응하여 진화되어 있는 동식물이 점점 줄어들어 죽게 될것이며, 또한 온난화에 적응한 동식물의 돌연변이가 탄생 될것입니다. 지구 생태계의 교란이 발생 될수 있습니다.

    가장 무서운것은 빙하가 녹아 지구 육지의 1/3이 바다가 되는 것이며 이렇게 되면 육지의 동 식물 밀집도가 높아 질것입니다.


  • 북극이나 남극이나 얼음이 녹게 되면 지구의 해수면이 높아집니다.

    그러면 해변에 가까운 육지는 침수 피해를 입게 됩니다.

    그리고 환경이 급변하면서 전염병이 창궐할수도 있고, 생태계가 파괴되게 됩니다.

    왜냐하면 빙하 내에 인류 탄생 전의 바이러스가 보존되어 있을 수도 있는데,

    아직까지 이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이 인간에게 아직 없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