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소주는 왜 얼어도 팽창하지않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주도 지속적으로 얼려두면 얼면서 부피가 팽창해 깨집니다. 하지만 순수한 물이아닌 알코올이 섞인 물이기 때문에 물보다 어는점이 낮습니다. 그래서 잘 얼진 않죠. 그리고 술의 어는점은 도수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3도의 술은 -13도 정도에서 얼게됩니다. 그래서 높은 도수일수록 더 강한 냉동고에 두셔어 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2.06
0
0
금성은 탐사가 어려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금성의 경우 태양과 가깝고, 대기에 이산화탄소의 양이 많아 온실 효과가 강하게 발생하고있는 행성입니다. 이러한 온실효과로 금성 표면의 온도는 500도 정도로 굉장히 높습니다. 그래서 탐사 로봇이나 탐사를 하기위해서는 특수하게 제작된 것을 보내야합니다. 그래서 다른 행성에 비해 탐사에 어려운점이 존재하죠. 그렇다고 탐사를 안한것은 아니며 탐사한 기록도 존재하며, 앞으로 또 탐사할 계획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다른 행성에 비해 생명체의 가능성, 탐사의 흥미 및 목적이 적기 때문에 빈도수가 낮은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6
0
0
라디오와 주파수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라디오 주파수는 교류 회로를 구성하여 안테나 송신부를 통해 특정 파장의 전파를 생성해 만들 수 있습니다.교류 회로는 교류 전압, 전류의 특성상 진동하는 회로입니다. 전류의 흐름을 바꿈으로써 자기장의 변화를 만들고, 자기장의 변화는 전기장의 변화를 만듭니다. 또한 전기장의 변화는 또다시 자기장의 변화로 이어지며 연쇄 작용에 의해 전기장과 자기장의 진동인 전자기파(빛)가 만들어집니다. 이 때 교류회로의 주파수를 설정하여 특정 주파수를 만들 수 있으며, 라디오에서 이와같은 원리를 이용해 전파를 보냅니다.또한, 전파를 받는 수신부에서는 안테나를 통해 전파를 전달 받아 전파를 다시 소리로 변환하여 우리에게 들려주는것이죠.FM(Frequency Modulation; 주파수 변조) : 87MHz~108MHz로 높은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진동수가 높고, 에너지가 높아 물체나 장애물을 만나면 부딪혀 산란되는 경향이 있어 산이나 지형에서 전달이 잘 안됩니다. 하지만 음질이 좋은 장점이 있습니다.AM(Amplitude Modulation; 진폭 변조) : 500kHz~1600KHz로 FM보다 낮은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FM보다 진동수가 낮고 에너지가 낮아 음질이 좋지 않지만, 파장이 길어 장애물이나 산, 지형 등을 잘 지나기 때문에 멀리까지 전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AM라디오의 경우는 주파수가 낮으며 상공 200~400km 전리층에서 반사될 수도 있기 때문에 많게는 수천 km거리까지도 전파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2.06
0
0
아이랑 문득 보다가 지구본은 지구의 몇분의 몇 사이즈 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실제 지구의 반경은 대략 6371km 정도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사용하는 지구본의 반지름은 20cm정도라고 가정하겠습니다. 그러면 지구는 지구본보다 길이가 대략 32000000배나 큽니다. 이러한 수치는 천문학적인 수이기 때문에 직관적으로 와닿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해를 돕기위해 지구본을 지구의 크기라고 가정하겠습니다. 그러면 원자사이즈 정도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즉, 지구본이 지구일 경우 원자 정도의 크기는 지구본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6
0
0
MP3는 왜 미국특허 기업에 팔렸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술을 개발하여 팔거나 팔지않는것은 개발자의 자유입니다. 애초에 기술을 개발하여 팔고자하는 목적이 아니었더라도, 사려는 사람이 자신의 기술의 값어치보다 비싼값을 부르면 팔 가능성이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2.06
0
0
비도 인공적으로 만들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인공적인 비, 인공 강우는 실존하는 기술입니다.인공강우는 흔히 구름 씨앗, 즉 빙결핵이 될 만한 화학물질을 대기 중에 살포하여 수증기를 응축시켜 비를 내리게하는 원리입니다. 이를 맞는다고해서 피해를 받지는 않지만 만약 공기중에 미세먼지나 나쁜 가스가 있을경우 비와 함께 내려오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피하셔야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인공 강우 실험을 수행하고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6
0
0
손과 발은 발생학적으로 거의 비슷한 위치에서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손과 발은 각각 몸통에서 팔이 자라난 부위의 끝에 손, 발이 자라난 부위의 끝의 발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발생합니다. 태아의 경우 팔이나 손이 다리나 발보다 더 일찍 발달한다고 합니다.
학문 /
물리
23.02.06
0
0
발전 기능을 가진 자전거를 개발할 수 있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가능합니다. 발전 기능을 가진 자전거는 이미 개발되어 있습니다. 과거에는 바퀴가 회전하는데에 마찰을 이용하여 모터를 돌려 플래쉬를 켜기도 하였지만, 현재에는 자전거의 패달을 밟아 회전시킴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기도 합니다. 저장된 전기에너지는 자전거가 속력을 내거나 오르막길을 오를때 사용되어 운행에 편리함을 주죠.
학문 /
전기·전자
23.02.06
0
0
23차례나 원자폭탄실험이 있었는데도 주민들이 살고 있는게 정상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소 폭탄의 경우 수소가 가지는 폭발성에 의한 성질을 이용한 것입니다. 이는 원자폭탄과 다르게 방사선 물질이나 해로운 물질이 잔여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6
0
0
일년 중 2월이 왜 짧은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2월이 28일 까지 있는 이유는 역사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과거 봄 여름 가을 겨울을 양력 달력 계절을 기준으로 나누었는데, 1년 365일을 12개월로 나누면 대략 30일 입니다. 그런데, 과거 농사를 짓던 시절 봄의 시작이 중요했습니다. 봄의 시작과 3월에 시작을 맞추려 2월을 짧게하였죠. 그래서 2월이 28일, 29일 까지 있죠.윤달이 있는 이유는 1년이 대략 365.25일인데 4년이 지나면 하루가 더 생기는데 이를 보정하기 위해 12개월 중 짧은 달인 2월에 1일을 추가한 것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1.28
0
0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