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박이 생기는 원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수증기,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높은 상공에서 낮은 온도에 노출된 구름 속 물은 얼기 시작하죠. 그리고 얼음 알갱이는 주변 수증기, 물 등과 접촉하며 얼음 알갱이의 크기가 커지게 됩니다. 이때 특정 크기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이 얼음 알갱이가 무거워져 지상으로 떨어지는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9
0
0
무지개가 지상에서는 반만 보이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무지개는 햇빛이 수증기 물방울을 통과하면서 이 물방울이 마치 프리즘 역할을 하여 빛이 굴절하고 분산되어 나타나는것입니다. 이 때 햇빛이 물방울에 굴절되는 각도가 존재합니다. 그리고 이 물방울은 대기중에 떠 있으며, 퍼져있는 물방울에서 굴절되고 산란된 빛이 우리눈에 들어오며 무지개를 만듭니다. 그런데 땅에 있는 우리가 볼 때에는 무지개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진 못하고, 산이나 지면에 걸려 일부의 모습만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탁 트여있는 하늘이나 높은 지대에서 서 보면 산란되고 굴절된 빛 전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원형으로 보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8
0
0
우주는 왜 아직도 팽창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설명할 수 있는 우주가 팽창하는 이유는 암흑 에너지 때문입니다.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에너지, 물질로는 암흑에너지, 암흑 물질, 눈에 보이는 물질, 빛 등이 있습니다. 암흑에너지는 우주가 팽창하는데 기여하는 에너지로 아직 정확한 근원을 밝히진 못하였기 때문에 암흑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또한, 현재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과 암흑에너지의 비율을 따져 우주가 계속 팽창할지, 아니면 언젠가 다시 수축할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연구는 현재도 계속 되고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8
0
0
달의 표면에 구멍이 나있는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지구에도 운석이 충돌하면 구덩이와 같이 흔적이 남습니다. 다만 달과 다른 점이 있다면 지구에는 대기가 존재하여 바람이 불어 흔적이 지워지거나 감춰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달에는 대기가 없어 바람이 불지 않아 흔적이 거의 영구적으로 남아 있는데, 지구는 그렇지 않을 수 있죠. 하지만 지구에서도 흔적이 완전히 감춰지기 까지 굉장히 긴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웬만하면 흔적이 남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8
0
0
콜라를 흔들고 열면 왜 터지는지 과학적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탄산음료를 구매하면 냉장고의 차가운 환경에서 꺼내 상온 상태에 놓이게 됩니다. 그러면 탄산음료의 온도는 조금 올라가게 되죠. 그리고 기체는 온도가 낮을수록 액체에 더 잘 용해(녹아)됩니다. 또한 압력이 높을수록 더 잘 용해됩니다. 탄산(이산화탄소)이 탄산음료에 용해되어 있는데, 냉장고에서 꺼낸 탄산음료는 온도가 높아진 상태로 탄산이 액체에 녹아있는 정도가 작아집니다. 즉, 탄산이 음료에서 공기중으로 나오려고 하죠. 그런데, 온도가 높아진 환경에 놓인다고 음료에 있던 탄산이 곧 바로 나오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태를 과포화상태라고합니다. 그리고 이 상태는 굉장히 불안정한 상태입니다. 이 상황에서 흔들어주면 상태를 더욱 불안정하게 만들며 과포화상태를 깨버리게됩니다. 그래서 탄산이 급격하게 나와 거품이 발생하는것이죠.
학문 /
화학
23.01.08
0
0
밀물과 썰물은 어떻게 발생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밀물과 썰물은 조수간만의 차라고 하는것이죠. 조수간만의 차는 태양, 달의 만유인력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 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에 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8
0
0
손톱이 단단한 이유는 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손톱이나 발톱은 죽은 세포가 밀려나면서 생겨나는 것으로 세포가 압축되어 있고 탄산 칼슘 등이 함유되어 있어 단단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8
0
0
비행기가 뜰 수 있는 과학적 원리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 이러한 힘은 무거운 비행체를 띄울 수 있는 힘을 제공합니다.작용-반작용은 프로펠러에서 공기들을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비행체가 뜨는것을 의미합니다.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비행체가 뜨는것이죠. 또는 우주선과 같이 가스나 연료를 분사하여 비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8
0
0
식충 식물은 왜 벌레를 잡아 먹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주 먼 과거에서부터 서서히 진화해오면서 혹은 식충 식물이 존재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식물은 영양분을 얻기 위해 곤충을 잡아 녹인 뒤 영양분을 흡수하며 번식을 하고 생명활동을 해왔기 때문에 현재까지 살아 남아 있는 종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1.08
0
0
우주에서 사람이 가장 멀리 가본 기록이 어디까지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1970년 4월 아폴로 13호 우주선이 탐사를 마치고 달의 뒤편을 돌아 귀환하는 과정에서 400171km 떨어진 지점까지 다녀왔습니다. 이 때 탑승했던 우주 비행사는 사령관 짐 러블을 포함해 잭스와이거트, 프레드헤이즈가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8
0
0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