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산뜻한아비34
산뜻한아비3423.01.08

콜라를 흔들고 열면 왜 터지는지 과학적 원리가 궁금합니다.

콜라를 흔들거나 뚜껑이 바닥에 있게 뒤집었을 때 바로 뚜껑을 열면 콜라가 화산 폭발 하듯이 올라와서 터지는데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과학적 원리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08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콜라는 탄산음료입니다. 지구상에서 탄산 음료 중 가장 유명하고 가장 많이 팔리는 음료 중 하나입니다. 탄산음료. 이 하나에 모든 답이 들어 있습니다.

    콜라는 쉽게 말하자면 검은색 설탕물에 이산화탄소를 녹여 놓은 음료라고 볼 수 있는데 이 이산화탄소는 설탕물에 녹을 때 탄산의 형태로 녹게 됩니다. 여기서는 그냥 이해하기 쉽게 이산화탄소로 계속 말씀드리겠습니다. 우리가 흔히 일상 생활에서 물에 설탕을 녹이거나 소금 등을 녹이기 위해서는 물이 뜨거울 수록 더 잘 녹게 되어 보통 믹스커피 같은 것을 물에 탈 떄는 보통 뜨거운 물에 녹이게 됩니다. 즉, 일반적으로 물의 온도가 더 높을수록 용질의 용해도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하지만, 이산화탄소는 그와 반대로, 물의 온도가 낮을수록 더 잘 녹게 되며, 또한 압력이 더 높을수록 물에 더 잘 녹게 됩니다. 보통 기체에 아주 높은 압력을 가하게 되면 그 기체는 보통 액체 상태가 됩니다.

    콜라 페트병을 막 흔들면 콜라로부터 기포가 막 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그것이 바로 이산화탄소 기체들입니다. 그래서 그 페트병이 아주 빵빵하게 되어 열면 폭발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산음료를 구매하면 냉장고의 차가운 환경에서 꺼내 상온 상태에 놓이게 됩니다. 그러면 탄산음료의 온도는 조금 올라가게 되죠. 그리고 기체는 온도가 낮을수록 액체에 더 잘 용해(녹아)됩니다. 또한 압력이 높을수록 더 잘 용해됩니다. 탄산(이산화탄소)이 탄산음료에 용해되어 있는데, 냉장고에서 꺼낸 탄산음료는 온도가 높아진 상태로 탄산이 액체에 녹아있는 정도가 작아집니다. 즉, 탄산이 음료에서 공기중으로 나오려고 하죠. 그런데, 온도가 높아진 환경에 놓인다고 음료에 있던 탄산이 곧 바로 나오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태를 과포화상태라고합니다. 그리고 이 상태는 굉장히 불안정한 상태입니다. 이 상황에서 흔들어주면 상태를 더욱 불안정하게 만들며 과포화상태를 깨버리게됩니다. 그래서 탄산이 급격하게 나와 거품이 발생하는것이죠.


  • 탄산음료에는 이산화탄소가 녹아있습니다.

    보통 온도가 높으면 이산화탄소가 에너지를 많이 얻기 때문에 용해도가 낮아집니다.

    그리고 탄산음료를 흔들면, 이 힘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힘을 얻어 기체로 변하게 됩니다.

    따라서 콜라를 흔들고 열면 터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