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소화기가 불을 끄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불을 붙이기 위해서는 열(불)과 산소와 연료(종이, 나무 등)가 있어야합니다. 불을 끄기위해 물이나 소화기를 분사하는데, 물은 산소도 차단할 뿐더라 열을 급격히 내릴 수 있기 때문에 불을 끄는데 도움을 줍니다. 소화기는 산소의 접촉을 차단하기 때문에 불을 끄는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소화기에는 제1인산 암모늄이라는 성분이 분말 가루 형태로 함유되어있는데 화재가 난곳에 뿌리면 냉각효과로 온도를 떨어트립니다.
학문 /
화학
23.01.04
0
0
빛은 중력을 받지 않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은 중력의 영향을 받습니다. 빛은 질량이 0인 물질이지만 에너지가 존재하는 물질로 중력의 영향을 받습니다. 그 예시로 질량이 큰 별이나 행성에서 빛이 휘어지는 현상을 들 수 있습니다. 또한, 빛은 직진성을 띠고 있는데, 최단거리를 이동하려는 특징을 가지고 있죠. 중력을 행사하는 질량체 주변으로는 시공간이 휘어있는데, 이 휘어진 곳에서 빛은 최단거리를 통해 이동하기 때문에 휘어진 경로를 통해 이동합니다. 즉, 질량체 주변에서 빛이 휘는 이유죠.빛은 진공에서 대략 30만 km/s의 속력으로 이동합니다. 빛의 속력은 매질이 바뀌면 변하지만 매질이 바뀌지 않는 이상 일정합니다. 이 빛이 물체와 충돌할 경우 반사될 수 있지만,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빛은 전자기파로 전기장과 자기장의 진동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빛이 전하(+, -)를 가진 물질과 만날 경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 예시로 강한 빛인 자외선이 우리의 몸에 다가와 멜라닌 색소를 파괴하여 피부를 까맣게 만드는 것이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4
0
0
우주에는 산소가 왜 없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는 빈공간이 대부분입니다. 물질은 대부분 행성, 별의 중력에 이끌려 질량체로 모여있기 때문이죠. 행성, 별에 있지 않고 우주를 떠도는 가스도 존재합니다. 그리고 희박하지만 수소나 헬륨등이 존재할 수 있으며 산소 또한 아주 희박하게 존재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4
0
0
명왕성은 왜 태양계 별에서 제외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명왕성이 행성의 지위를 박탈당한 계기는 에리스라는 소행성을 발견하고나서부터입니다. 발견 당시 에리스는 태양 주위를 멀리서 돌고있었고 명왕성과 크기가 유사하였습니다. 그래서 국제천문연맹은 에리스를 10번째 행성으로 넣어야 하는지 의논을 시작하였죠.그러면서 명왕성을 다시 잘 관측해보니 태양주위를 돌지만 공전궤도가 찌그러져 해왕성의 공전궤도를 침범할 때도 있었으며, 명왕성이 행성으로써의 크기와 질량을 갖지 못하여 행성보다 위성에 가깝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행성이 되기위해선 위성을 둘만한 중력이 필요하다고 정의한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명왕성이 행성 자격을 박탈당하게되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4
0
0
TV 및 컴퓨터 모니터 등은 전기를 통해 어떻게 영상으로 출력되어 사람이 볼수 있게 해주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니터 화면에는 RGB(red, green, blue 빨간, 초록, 파랑)의 기본적인 색상을 표현하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3가지 색상으로 모든색을 표현할 수 있죠. 또한, 모니터나 TV를 자세히 들여다 보시면 작은 픽셀들로 빼곡하게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빼곡한 픽셀 부분부분에 RGB를 이용하여 색을 표현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그림을 보여주는 것이죠. 그리고 매시간 색을 변화시키며 영상으로 우리에게 보이게 해주는 원리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1.04
0
0
자다가 가위에 눌리는 과학적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가위에 눌리는 경우는 렘수면(얕은 수면) 상태에서 몸, 근육의 마비를 겪는 현상입니다. 렘수면에서는 꿈을 꾸지만, 이 때 마비까지 오게 되면 가위에 눌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3.01.04
0
0
불에 방귀를 뀌면 왜 불꽃이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식이 내장에서 영양분이 흡수되면서 가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만들어진 가스는 트름이 되어 나오며, 위를 지난 다른 장내에서 여러 세균에 의해 음식물의 분해가 또 일어납니다. 이 때 만들어진 가스는 방귀가 되며 이 때 만들어진 가스 중 유황을 함유한 메탄에치놀, 디메칠설파이드, 유황, 수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독한 냄새를 만들죠. 또한, 변도 마찬가지로 유황, 암모니아, 메탄의 성분으로 되어 있으며 분해되어 나오는 냄새에 의해 독한 냄새를 풍기죠. 또한 이러한 성분 중 수소, 메탄은 가스로 불에 잘 붙기 때문에 방귀에 불을 붙이면 잘 붙게 됩니다.
학문 /
화학
23.01.04
0
0
태풍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거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이나 가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태풍의 강도는 수증기량과 저기압 시스템의 발달과 관련이 있습니다. 여름에도 강한 태풍이 올 수 있으며, 태풍이 만들어질 때의 환경이 수증기량이 많고 강한 저기압을 만들게 될때 강한태풍이 됩니다. 그런데 9월 경(여름, 가을)에는 해수의 온도가 가장 높은 시기이고 이로인해 물의 증발량이 올라가기 때문에 수증기량이 많아져 강한 태풍이 만들어 지는것이죠.소형, 중형, 대형으로 나뉘는 기준은 태풍의 중심 기압의 크기, 풍속, 태풍의 반경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기준을 설정하여 나눕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4
0
0
우주는 무한한가요?유한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누구도 알아내지 못한 사실입니다.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우주의 경우 제한적인 영역이지만, 관측범위 밖에도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무한할 가능성도 있으며, 또한 유한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4
0
0
물은 투명한데 물때는 왜 붉은색으로 보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붉은 색의 경우 곰팡이일 확률이 높습니다. 또한, 곰팡이가 아닐경우 녹(산화철)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 붉은 물때가 생길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4
0
0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