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겨울철에 배터리가 방전되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베터리, 건전지는 화학 전지로 내부에 전해액 성분이 존재합니다. 이는 전해질 역할로 +, -극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전압을 만들어주기 때문에 건전지로 전류를 만들 수 있습니다. 전해액은 전류를 만들어내면서 점점 에너지를 잃게되며 방전이 됩니다. 하지만 추운날의 경우 전해액이 굳게 되는데, 전해액이 굳어짐으로써 원래 낼 수 있는 효율을 다 내지 못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일부 굳은 전해액은 극성을 띠어도 움직이지 않기 때문이죠. 그래서 추운날에는 배터리의 방전이 빠른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1.04
0
0
빛의 속도보다 빠른것은 불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까지 빛보다 빠른 물질을 발견하진 못했습니다. 빛보다 빠르게 관측했다는것은 실험 측정에 있어 실수, 오류로 판단되었죠. 빛보다 빠른 물질이 발견될 경우 상대성 이론을 수정하거나 바꿔야할것입니다. 블랙홀이나 웜홀은 상대성이론에서 다룰 수 있는 존재입니다. 또한 블랙홀의 경우 실제로 관측도 하였으며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3.01.04
0
0
터널은 어떻게 산의 하중을 버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터널의 경우 산의 압력을 분산하여 받게끔 곡선형태이며, 외벽의 두께와 밀도도 높게 만들어 튼튼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1.04
0
0
팔씨름을 어떻게 해야 잘 하는 것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팔씨름의 경우 거의 온몸의 힘이 강할 수록 셉니다. 팔 근육 뿐만아닌 코어 힘, 허리힘 등 모든 면에서 근력이 받쳐줄수록 셀 수있습니다.
학문 /
물리
23.01.04
0
0
별자리를 쉽게 알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화성과 목성의 경우 별과는 달리 노랗거나 주황색 빛을 띱니다. 또한 크기가 있으며 밝게 보이죠. 그리고 반짝임이 거의 없이 일정한 빛을 보입니다. 그리고 매일 밤하늘을 보면서 별들간의 위치관계를 따져보면 화성과 목성의 경우 별보다 이동이 빠르기 때문에 금방 금방 위치가 바뀜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육안으로 볼 경우 목성이 화성보다 밝게 보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4
0
0
드라이기 원리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헤어드라이기 내부에는 열선이 존재합니다. 콘센트를 꼽고 전류를 열선에 흘려보내게 되면 열선의 저항과 전류의 흐름으로 뜨겁게 열이 발생합니다. 이때 헤어드라이기 뒷 편에서 공기를 흡입해 열선을 통과시켜 뜨거운 공기를 만들어 앞으로 방출 시키는 원리입니다.찬공기의 경우 열선에 전류의 흐름을 차단시켜 단순히 공기의 가열 없이 빠른속도로 공기를 나오게 합니다. 공기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공기는 차가워 지는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3.01.04
0
0
씽크홀과 같은 구멍은 왜 갑자기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싱크홀은 땅 지하에 빈 공간이 생기면서 지반이 약해져 생깁니다. 주로 지하에 가득차있던 지하수가 빠져나가면서 빈공간을 만드는데 이로인해 싱크홀이 생깁니다. 예방하는 방법은 지하수의 분포를 파악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위험지역과 안전지역을 확실히 구분하는 방법이있겠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4
0
0
우리나라에도 지진이 잦은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진은 판과 판이 만나는 경계부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의해 주로 발생합니다. 판과 판은 조금씩 이동하고 있는데, 판이 벌어지거나 판이 충돌하면 마찰과 충격에 의해 지진과 화산폭발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우리나라와 근접한 일본 바로 남쪽 부근에는 유라시아판과 필리핀판, 태평양판, 북아메리카판 등 판이 만나는 경계부가 다수 존재합니다. 그래서 특히 일본에서 지진과 해일, 쓰나미등이 자주 발생하는것이죠. 또한, 인접에 있는 우리나라도 이에 영향을 받아 지진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4
0
0
인간의 냉동보관이 이론적으로 가능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냉동인간이 되는 것은 모든 생명, 성장 활동을 일시정지 시키는 것으로 이론적으로 가능한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즉시 해동하여 다시 원래대로 작동하게만 한다면 생물체의 냉동보관이 가능한 것이죠. 하지만 현실화시키는데에는 문제가 따를 수 있습니다. 냉동을 하였지만 다시 해동하였을 때 제대로된 생명활동을 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안될 수 있기 때문이죠.
학문 /
생물·생명
23.01.04
0
0
머리가 좋은건 아빠가 아니고 엄마덕분이라는 선생님 말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머리가 좋고나쁜것은 기준에 따라 다릅니다. 그리고 모든 사람들에게는 똑똑게 할 수 있는 분야, 과목 등이 존재합니다. 자신에게 잘 맞는 분야를 찾게 되면 똑똑하게 해나갈 수 있죠. 하지만 자신이 못하는 것을 하면 똑똑하지 못하다는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또한 머리가 좋고 나쁜것은 엄마, 아빠에게서 물려 받는 것이 아닌 자신의 노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입니다. 자신이 잘할 수 있고 좋아하는 분야를 찾아 그것을 해나간다면 똑똑한 사람이고 재능있는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1.04
0
0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