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풋풋한날다람쥐116
풋풋한날다람쥐11623.01.04

별자리를 쉽게 알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금성은 알겠는데 화성과 목성, 토성을 육안으로 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달 근처에 제일 밝게 빛나는 별이 화성 인지도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성과 목성의 경우 별과는 달리 노랗거나 주황색 빛을 띱니다. 또한 크기가 있으며 밝게 보이죠. 그리고 반짝임이 거의 없이 일정한 빛을 보입니다. 그리고 매일 밤하늘을 보면서 별들간의 위치관계를 따져보면 화성과 목성의 경우 별보다 이동이 빠르기 때문에 금방 금방 위치가 바뀜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육안으로 볼 경우 목성이 화성보다 밝게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성은 새벽에 해가 뜨기 전에 관측할 수 있는데, 위치는 사수자리(또는 궁수자리) 머리 바로 위입니다.

    목성은 밤 10시 반쯤 동쪽 하늘에서 볼 수 있고 밤새 관측이 가능합니다. 위치는 처녀자리의 가장 밝은 별인 스피카와 가깝습니다. 게다가 부근에 다른 밝은 별이 없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토성은 느즈막한 오후에 뜨기 때문에 해가 진 후면 바로 볼 수 있고 밤새 관측이 가능합니다. 위치는 쌍둥이자리의 폴룩스에서 작은개자리의 프로키온 방향에 약간 떨어진 곳에 있습니다.

    그리고 달 근처 가장 밝게 빛나는 별이라고 하시면 알기 힘듭니다. 왜냐하면 대부분 행성들은 황도상에 있는데, 달이 지나가는 백도와 5도 정도의 기울기로 만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웬만한 행성들은 달 근처를 다 지나가게 됩니다.

    그래도 답을 드리자면 초저녁이나 새벽에 달과 지평선 근처에서 아주 밝게 빛나는 별은 대부분 금성이고, 목성이나 토성은 아주 조금씩 움직이고, 화성은 그리 밝지 않고 붉은 색입니다.

    아마 말씀하신 별은 금성이지 않을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