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여름철 아지랑이와 관련한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 중요하지만 보이지 않는 공기가 있기 때문입니다. 공기는 기체 분자들이 가득 모여있습니다. 빛이 이 공기를 지나 우리 눈에 들어오기까지, 빛과 공기의 상호작용, 산란, 굴절 등이 일어나게됩니다. 그래서 완벽히 직진하여 우리눈에 들어오지 못하죠. 그래서 아지랑이가 생기거나 아른아른하게보이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2
0
0
인공지능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의 기술을 기반으로 설명 드리면, AI가 스스로 학습하여 배우고 판단하며 결과를 내놓기는 하지만, 이러한 것들도 사람이 알고리즘을 짜두었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하지만 입력한데로 결과를 내놓지는 않으며, 입력시켜놓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나의 함수나 공식을 만든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이러한 공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결과를 내놓는 것이죠. 예시로 (1,1), (2,2), (3,3), (4,4) 라는 데이터를 입력시켜놓고 (5, ?) 를 찾아라고하면 특정함수를 만들어 ?=5.001 같은 값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2.12
0
0
하늘에서 나는 천둥소리는 어떻게 나타나는 현상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번개는 빛과 소리를 동반하기 때문입니다. 전자가 구름에서 대기로 방전되며 번개가 만들어지는데 이때 방전이 될 때 공기를 팽창 수축시켜 진동을 일으켜 소리가 나며, 전자의 이동으로 인해 공기 중 원자 및 분자의 에너지 상태가 변화되며 빛이 발산되는것이죠.빛의 속력은 대략 30만km/s 이며, 소리의 속력은 대략 330m/s 입니다. 번개가 발생하여 우리가 관측하게 될 때 빛의 속력이 소리의 속력보다 빨라 번쩍임을 먼저 관측하고 우르르 쾅쾅 천둥 소리를 늦게 듣는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2
0
0
닭은 조류인데 왜 날지 못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닭이 가축으로 길러지면서 후천적으로 날개가 퇴화되어 날지 못한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물론 가축이 되기전에 날 수 있었는지 날지 못하였는지는 확실히 알지 못하겠지만, 퇴화된 날개를 가진 종끼리 교배가 되며 날지 못하게끔 퇴화되었습니다. 가축으로 길러지며 위험에 대해 도망갈 일이 없으며, 날아다니는 일도 없기 때문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2.12
0
0
우주의 시간은 왜 더 느리게 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중력이 강한곳에서 시간이 느리게 흐르는데, 시간이 느리게 흐른다는 의미는 중력이 약한곳에 비해 느리게 흐른다는 것입니다. 즉, 중력이 강한 곳은 중력이 약한곳보다 시간이 느리게 흘러갑니다. 또한, 상대운동에서 정지한 관찰자가 보기에 움직이는 물체의 시간은 느리게 갑니다. 즉, 우주에서는 거의 무중력 상태이며 다른 중력이 있는 공간보다 시간이 빠르게 흐릅니다. 지구에서는 우주에서보다 중력이 강하기 때문에 시간이 상대적으로 느리게 흐르죠. 또한 비행기를 타고 움직이면 지면에 정지한 사람보다 시간이 느리게 흘러갑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2
0
0
전기에서 암페어가 어떤역할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류란 단위로 [A] 암페어 ampere를 사용하며, 단위 시간 당 이동한 전하량입니다. 1초 동안 30C(쿨롱)의 전하가 이동하였으며, 30A입니다. 일상 생활에서 전류가 높을 때 저항에 더 많은 열이 발생합니다. 전구에 더 강한 빛이 생깁니다.전압이란 단위로 [V] 볼트 volt를 사용하며 전기장이 단위 전하(1C)에게 한 일입니다. 즉, 에너지입니다. 쉽게 생각해서 전류를 흘려보내줄 수 있는 에너지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전압이 강할 때는 번개, 천둥을 예로들 수 있습니다.전압과 전류의 관계는 전압이 있어야 전류가 흐를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12
0
0
오로라는 지구 내에서만 벌어지는 현상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오로라는 우주에서 날아오는 우주선(하전입자)이 대기의 기체와 부딪혀 생겨나는 현상입니다. 무지개와는 다른 원리입니다!하전입자는 전하를 띠는 입자들을 의미합니다. 보통 우주선이라고도 합니다. 우주에서 날아오는 입자인 우주선이 지구로 들어오는데 이때 전하를 띠고 있으면 지구 자기장에의해 나선운동을 합니다. 그리고 자기장이 강한 고위도에서 나선운동이 강하게 일어나죠. 나선운동을 하며 대기에 있는 기체와 부딪히며 빛을 발하는데 이를 오로라라고합니다.빛이 나는 원리는 기체 분자에 존재하는 전자의 에너지 상태가 외부 우주선과의 충돌로 높은 에너지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다시 안정적인 상태로 돌아가려고 낮은 에너지 상태로 돌아가는데 이때 손실 되는 에너지가 빛으로 방출 되어 우리 눈에 들어오게 되는것이죠. 기체의 종류와 에너지의 차이에 따라 다른 파장의 빛을 방출하므로, 빛의 색도 달라지는 것입니다.우주선이 산소와 부딪혀 만들어지는 색은 초록색을 띠며, 질소와 부딪혀 만들어지는 색은 분홍색을 띱니다!지구에서만 발생하는 현상은 아니며 대기가 있는 행성의 고위도 지방, 극지방에서 관측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행성에는 자기장이 존재하기 때문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2
0
0
달팽이는 어떻게 암수 둘다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자웅동체입니다. 그렇지만 달팽이도 짝짓기를 합니다. 짝짓기할 때 성별을 택할 수 있으며 한쪽이 암컷이 되면 다른쪽은 수컷의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짝짓기가 끝나면 다시 자웅동체로 돌아오며, 후에 암컷의 역할을 하던 달팽이가 알을 낳게되는것이죠. 달팽이말고도 거머리, 군소, 전복 등이 자웅동체 동물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2
0
0
바이러스나 세균은 추위에 강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이러스나 균은 추위에 약합니다. 하지만 남극이나 북극에서 극심한 추위에 노출될 경우 얼어붙어 냉동 보존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훗날에 이것이 녹으며 다시 살아날 가능성도 있죠.
학문 /
생물·생명
22.12.12
0
0
전신거울 앞에 일정한 거리 두고 내가 서 있을때 질문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거울과의 거리에 2배만큼 멀리 있어보이며, 우리 몸에서 나온 빛이 반사되는 지점은 거울이 위치한 곳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2
0
0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