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역사적으로 왜 좌측 통행이 시작되었으며? 우리나라는 왜 우측통행으로 바꾸게 되었는지 그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나의 관습이며 전례이기 때문에 아주 특별한 이유는 없습니다. 보행에 관한 법령이나 규칙을 만들 때 누군가 좌측 통행이나 우측 통행을 제안하였기 때문입니다. 우측 통행으로 바꾼 이유는 우리나라는 운전할 때 우측통행이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2.08
0
0
대한민국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우루과이까지 터널을 뚫은 다면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만약 지구 중심을 통과해 반대편까지 거대한 구멍을 뚫게 돼 뛰어내리거나 물체를 떨어뜨리면 왕복운동을 하게됩니다.단, 공기저항이 없을 때는 반대편 끝까지 도달할 수 있는 왕복운동을 영원히 합니다.하지만 공기저항이 있다면 점점 지구의 중심부근으로 가게되죠. 영영 갇혀버리죠.현실적으로 뚫기는 불가능하지만 뚫었을 경우 대기도 지구 중심으로 끌려들어가 공기 저항이 생기는데, 결국 진폭이 줄어드는 진동운동을 하다 중심에 갇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8
0
0
곤충은 어떻게 천장에 붙어 있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곤충의 다리를 유심히 봐보면 나뭇가지 형태로 잔털이나 뾰족한 부분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리의 구조는 갈고리나 고리 형태가 되어 조금이라도 울퉁불퉁한 면이 있을 경우 잘 달라 붙어 떨어지지 않을 수 있죠. 그래서 곤충이 천장이나 벽에도 잘 붙어 있는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8
0
0
막걸리 마시는데 탄산을 준이는 방법이 뭐가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통통 두드리거나 굴리게 되면 내부에 불안정하게 존재하는 탄산이 압력을 받게되 안정적이게 돼 탄산이 터져 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2.08
0
0
블랙홀의 생성 과정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이 어떻게 생기는 지는 아직 정확하게 관측된 사실이 없습니다. 그래서 가설을 세우고 계산을 통해 이론적으로 생기는 과정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블랙홀은 태양 질량의 수백배가 되는 별의 죽음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애초에 우주에 있는 성간물질이나 가스가 응축하여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별의 죽음으로 생기는 원리는, 거대한 별은 중력이 강합니다. 그래서 별이 살아 있을 때에는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열이 발생돼 별의 자체적인 중력과 평형을 이루며 별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별이 죽게되면서 더 이상 핵융합 반응을 못하고 결국 자체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별이 붕괴하여 블랙홀이 되는것이죠.애초에 우주에 있는 성간물질이나 가스가 응축하면서 만들어진 블랙홀은 물질이 뭉쳐 자체적으로 강한 중력을 이길만한 열, 에너지를 만들지 못하고 붕괴되어 블랙홀이 되는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8
0
0
눈이 올 때 대기질은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미세먼지가 눈 결정 사이에 갇힐 수도 있으며, 눈이 떨어지며 미세먼지도 눈에 흡착되어 같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눈이 올 경우 대기질이 좋아질 수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2.08
0
0
음식이 상한다는 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식이 상하는 것은 음식물이 부패하는 것입니다. 음식물이 부패하기 위해서는 미생물이 있어야하고 산소도 있어야합니다. 미생물에 의해 음식이 부패하는 것이죠. 개봉한 물이나 음료수도 오래 놔두게 되면 상할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2.08
0
0
양자가 순간이동할때 어디에서 어디로 이동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질이 빛의 속도를 초과하여 순간적으로 이동하지는 못합니다. 질문자님께서 궁금하신 부분은 양자얽힘 현상을 이용할 수 있는데 물리량을 통해 정보를 알아내는 방법입니다. 양자 얽힘을 이용하여 굉장히 멀리 있는 곳에서의 정보도 바로 알아낼 수 있습니다. 원리를 천천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우리 현실에서는 양자 얽힘 현상이 지금도 일어나고 있지만 우리는 알아채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양자역학의 현상은 원자, 전자, 양성자 단위의 미시 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이기 때문입니다.피부에 와닿는 실생활적 예시는 제비 뽑기가 있습니다. 1이적인 종이와 2가 적힌 종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질문자님과 저와 만나서 제비뽑기를 합니다. 질문자님이 하나 뽑고, 다른 하나는 제가 뽑습니다. 그리고 저와 질문자님은 다시 집으로 돌아갑니다. 그 상황에서 저와 질문자님께서는 결과를 확인하지 않았기 때문에 1인지 2인지 모릅니다. 단순히 확률만 존재할 뿐이죠. 이러한 상황을 양자역학에서는 1과 2가 중첩된 상태로 표현합니다. 그런데, 만약 질문자님께서 너무 궁금해 종이를 펼쳐보게 되었는데 1이 나왔습니다. 그러면 상태는 더 이상 중첩되지 않고 1로 결정되었죠. 그 순간 저의 결과도 2로 결정된 것이죠. 먼거리에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질문자님께서 하신 행동하나로 저의 상태가 결정되버린 것이죠. 즉, 저와 질문자님은 제비뽑기로인해 얽힌 상태가 된 것입니다. 이러한 것을 양자 얽힘이라 합니다.
학문 /
화학
22.12.08
0
0
새로운 원소기호들이 발견되면 어떻게 이름을 붙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발견한 사람, 과학자의 이름을 붙이거나, 지명을 붙이거나 성질을 파악하여 이에 걸맞는 이름을 붙이기도 합니다.
학문 /
화학
22.12.08
0
0
가정에 사용하는 도시가스보일라는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집안 방 바닥에 물이 지나가는 호수가 깔려있습니다. 이 호수에 보일러실에서 데운 물을 흘려보내 따뜻한 물이 호수를 지나며 따뜻한 열기를 만들어 데우는 원리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12.08
0
0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