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이산시간 신호들에 대한 주파수영역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 개념 정리가 필요하네요. 영역 표현을 구하라는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도움을 드릴 수 있을 듯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23
0
0
겨울철에 정전기는 왜 많이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겨울철에는 습도가 낮아 건조하기 때문에 정전기가 잘 발생합니다.정전기는 습도가 낮을 수록 잘 발생합니다.우리몸에는 미세한 전류가 흐르고 있습니다. 이 전류는 전자(-)의 이동으로 만들어지죠. 이 말은 우리 몸에 전자(-)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 전자가 문 손잡이, 철판, 철 등으로 이동할 때 정전기가 발생하죠.그런데 습도가 높을 때에는 정전기가 덜 발생합니다. 습도가 높으면 공기중에 수증기량이 많다는 의미이고, 또 이 물 분자는 +, - 극을 가지고 있어서 전자를 잘 끌어당겨 우리 몸을 중성으로 만들죠. 그래서 습한 여름에는 정전기 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반대로 건조한 겨울에는 공기중에 수증기량이 없고 우리 몸에는 전자(-)가 많이 분포하기 때문에 정전기가 잘일어납니다.정리해서 습도로 기준잡으면 습도가 60%이상일 경우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습도가 30%이하이면 정전기가 잘 발생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23
0
0
파괴된 오존층은 회복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오존의 회복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산소(O2)는 자외선에 의해 쪼개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쪼개진 산소는 다른 산소(O2)와 만나 오존(O3)가 되는 것이죠. 이를 반복하여 오존이 복구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3
0
0
블랙홀에 대해서 궁금증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은 아주 무거운 질량체로 빛조차 빨아들이는 중력을 행사합니다. 블랙홀이 중력을 행사하므로, 중력을 빨아들이진 않습니다. 하지만 다른 행성이나 별과 같은 천체(질량체)를 빨아들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 내부에도 중력이 작용한다고 알려져있습니다. 그리고 블랙홀의 내부는 아직 어떤 원리로,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블랙홀 내부를 관측할 방법도 없기 때문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3
0
0
레이저로 거울을 둟을 수 있나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레이저는 거울에 의해 반사되며 일부는 흡수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강한 레이저를 이용하면 대부분 빛이 반사되지만 흡수되는 빛에 의해 거울에 타격을 줄 수 있으며 오랜시간 레이저를 가할 경우 뚫을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22
0
0
자주포 등 대포를 보면 주포의 길이가 사거리에 비례하는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포신의 길이와 관계없이 폭발력은 일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포신의 길이가 달라지면 폭발하면서 힘을 받는 시간이 달라지기 때문에 포탄의 빠르기, 속력을 조절할 수 있죠. 포신이 길어지면 폭발한 뒤 밀어내는 힘을 받는 시간이 짧은 포신에 비해 길며, 포가 날아가는 속력이 빨라져 멀리 날아갈 수 있습니다.
학문 /
물리
22.11.22
0
0
탱크나 장갑차 등의 무기는 왜 바퀴를 사용하지 않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차나 장갑차, 탱크등은 험한 길을 갈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타이어를 사용하게 되면 쉽게 파손되거나 터질 수 있기 때문에 전쟁에 있어 잘 사용하지 않는 이유죠.
학문 /
기계공학
22.11.22
0
0
대기권 밖에는 산소가 전혀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대기권은 기체로 이루어져있으며, 질량을 가진 원소, 원자, 분자 들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질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구 중력에 이끌려 마치 우리처럼 지표면에 붙어있는 것이죠. 그래서 지표면에서 기압이 높고 상공으로 갈수록 공기가 희박해져 기압이 낮아지는 이유입니다. 또한, 더욱 높이 올라가게되어 우주에 가면 지구 중력이 약해져 기체들이 자유롭게 퍼지거나 할 수 있어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아주 아주 희박하게 존재하고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대기권 밖에는 대부분 질량이 작아 자유로워지기 쉬운 가스가 존재하며, 수소 헬륨 등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가스가 우주에 아주 희박하게 존재하고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2
0
0
빚의속도관련질문 하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은 신기하게도 어떠한 형태로든 관찰하든 간에 빛의 속력 약 30만km/s로 일정합니다.이는 실험적으로 증명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고 질문자님의 궁금증을 해결해줄 이론인 상대성이론이 있습니다. 상대성이론에서는 빛의 속력은 어떤 관찰자가 보든 일정하다는 전제로 시작됩니다. 그리고 상대속도 또한 단순한 더하기 빼기가 아닙니다.우리가 알고 있는 상대속도의 개념은 20만km/s로 나는 비행기(v1)에서 20만km/s로 달리게(v2) 되면 단순히 20만km/s(v1)+20만km/s(v2)=40만km/s 이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습니다. 빛의 속력과 가까운 속력을 낼 경우에는 상대성 이론을 적용해야합니다. 상대성 이론에서의 상대속도는 v=(v1+v2)/(1+v1*v2/c^2)이 됩니다. 여기서 c는 빛의 속력입니다. 즉, 위 상황에서의 속력은 대략 27.7만km/s 로 빛의 속력보다 작게 관측됩니다. 그리고 v1을 질문자님의 속력으로 두고, v2를 빛의 속력으로 둔다면, 상대속도 역시 빛의 속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22
0
0
컴퓨터 자판기의 배열은 누가 최초로 구상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자판, 타자기의 최초 발명은 1714년 Henry mill에 의해 발명되었습니다. 그 후로 다양한 자판이 등장하였고 상용화의 시작은 1800년대 중반입니다. 또한 우리에게 친숙한 컴퓨터 자판 배열의 형식은 1873년에 등장하였으며 현재까지 이어지는 배열의 형식입니다. 이러한 배열은 꼭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모두에게 친숙한 것이 되었기에 통일되어 나오는 것이죠.
학문 /
기계공학
22.11.22
0
0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