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무중력상태에 관한 궁금증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무중력은 중력이 없거나 느끼지 못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무중력 상태가 되려면 지구의 중력이 거의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멀리 벗어나야합니다. 즉, 우주로 나아가야하죠.또한 낙하를 하거나 잠시 떠 있는 경우는 무중력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하지만 지구에서 체험할 수 있는 시간은 매우 짧죠. 보통은 비행기를 타고 어느 정도 올라간 뒤 비행기가 낙하하면서 비행기 내부를 무중력 상태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비용이 조금 많이 드는 경험입니다. 만약 비용을 적게하여 길게 낙하하고자 번지점프를 하여 무중력을 체험할 순 있죠. 하지만 주변 환경과 바람, 공기의 저항이 느껴져서 무중력을 체험해도 이것이 무중력인가라는 생각이 들수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1
0
0
존재하는 것들 중에 그림자가 없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그림자는 물체에 의해 태양빛이나 전등빛이 가려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불은 빛입니다. 즉, 빛의 부재가 그림자이므로 당연히 불은 그림자가 지지 않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1
0
0
우주의 공간은 과연 그 끝이 있을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미지인 영역이라 정확하게 과학적인 증거를 대며 답변이 어렵습니다. 우리는 아직 태양계도 제대로 파악한적이 없고 외부 은하나 외부 행성에 대해 망원경으로 관측한 사실만 있을뿐 행성 내부에 어떤 원소나 존재가 있는지는 무지합니다. 그래서 외계생명체로 발견된 흔적은 아직 없죠. 혹시나 이 드넓은 우주에 생명체가 존재하고 우리가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있다면 가까운 미래에 발견할 확률도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1
0
0
태양이 폭팔할수도 있나요? 그럼 지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시간이 흘러 태양이 죽음을 맞이하기 직전 태양이 적색거성이 되면 크기가 100배 이상까지 커지기 때문에 지구는 물론 화성까지 태양에 흡수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적색거성의 단계는 태양이 생을 마감하기 전 단계로 식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지금보다 추운 환경이 될 수 있습니다. 만약 크기가 많이 커진다면 화성정도까지 먹힐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1
0
0
블랙홀은 크기가 어느정도 되는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의 크기는 그 누구도 아무도 모릅니다. 왜냐하면 블랙홀의 내부에 대한 관측 결과와 확실한 연구 결과가 없기 때문이죠. 그래서 연구의 대상이며 호기심의 대상입니다. 하지만 블랙홀의 영향 반경은 알수 있습니다. 이는 빛이 블랙홀에 흡수되는 지점부터 이기 때문에 알아내기 수월합니다. 그리고 이 영향 반경은 블랙홀의 세기에 따라 태양보다 클수도 작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본체가 태양보다 클지 작을지는 모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1
0
0
혜성도 우리 태양계에 포함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금지화목토천해명 처럼 혜성은 태양계에 포함시키지 않습니다. 혜성은 외부에서 날아와 태양의 중력에 이끌려 궤도를 변경하여 영원히 떠날 수도 있기 때문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1
0
0
달에서 인류가 살아갈수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은 인간이 살 수 있는 환경이 아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습니다. 달에는 대기가 없어 자외선, 우주선, 방사선, 운석 등을 막아주지 못하여 위험하죠. 하지만 만약 달에 기지를 짓고, 기지내에서만 생활한다면 살아갈 가능성도 있습니다. 물론 자원은 지구에서 주기적으로 공급받아야하겠지만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1
0
0
중력 무중력 상태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무중력은 중력이 없거나 느끼지 못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우리는 지구에 있기 때문에 항상 중력을 느끼며, 발이 땅에 붙어있어 무중력이 아닙니다.그런데, 낙하를 하거나 잠시 떠 있는 경우는 무중력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즉, A라는 통유리 내에 B라는 상자를 넣고 떨어뜨리면 B라는 상자는 무중력을 느낍니다. 그리고 B상자는 A통유리와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위로 떠오를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면 힘이 없기 때문이죠. 만약 B상자에 팔이나 발이 달려 A통 유리를 살짝 건드린다면 힘을 받게되고, 힘을 받은 방향(A유리와 상대적으로)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1
0
0
겨울에 비가 내리는날은 따듯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비가 오기전에는 따뜻한 기후가 될 수 있습니다. 이는 비가 오기전 수증기가 물이되면서 열을 방출하기 때문이죠. 또한 기단의 영향도 받을 수 있고, 따뜻한 기단이 지배할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1
0
0
지구가 둥글다는 거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질문이 정확히 이해하기가 어렵네요. 지구는 구형이고 꼭대기는 없기 때문에 아무 한 점을 잡고 시작하겠습니다. 그리고 막대기를 사람 앞으로 내리면 막대기는 사람 앞에 떨어집니다. 그리고 지구와 함께 같이 돌죠. 또한, 문제는 100m의 길이로 지구의 반지름과 같으므로 지구의 회전량(각운동량)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자전축(회전축)상에 사람이 서있지 않는 이상 지구의 자전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또한 막대를 내려놓으면서 자전속도가 다시 빨라집니다. 그리고 막대는 사람앞에 놓이고 같이 회전합니다. 그리고 막대를 10m씩 앞으로가면서 꼽아 놓으면 한바퀴 돌아왔을 때 꼽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막대의 길이가 지구 반지름에 버금가게 길기 때문에 역시나 자전속도는 느려집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1
0
0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