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왜 활은 춤을 추듯이 요동을 치며 날아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탄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활시위를 당기면 화살은 꼳꼳하게 편 상태로 존재하지 않고 휘어진 상태에서 나아갈 준비를 합니다. 그리고 활 시위를 놓게되면 휘어진 상태가 요동치며 탄성 에너지가 생겨 좌우로 흔들거리며 날아가는 것이죠.
학문 /
물리
22.11.16
0
0
5G는 고주파를 사용합니다. 그런데 왜 멀리가지 못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고주파는 산란이 잘 일어나기 때문에 멀리 날아가지 못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리학에서 진동수(주파수)가 클수록 산란이 잘 일어나며, 진동수가 작을수록(=파장이 길수록) 사란이 잘 일어나지 않으며 방해를 거의 받지 않아 멀리 날아갈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16
0
0
[화학] 두루마리 휴지에 일반적으로 표백제가 얼마나 들어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과거에는 표백제(형광 증백제)를 함유하여 휴지를 만들었지만, 피부나 사람의 몸에 좋지 않아 이를 휴지에 첨가하는 것을 2012년부터 법으로 금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휴지에는 표백제가 포함되어있지 않고 단순히 먼지가 흩날리는 것이며 호흡기로 마셨을 경우 좋지는 않습니다. 또한, 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용도는 화장실에서만 사용해야하며, 피부나 얼굴, 손을 닦을 때에는 키친타월이나 손닦는 용도의 티슈가 좋습니다. 그런데, 이를 어기고 화장실 용도로 표백제가 포함된 휴지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주유소나 다른 공중화장실에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공중화장실에 갈 때 휴지를 따로 들고가는 것이 안전합니다.만약 표백제를 사용한 휴지를 사용하게 되면 형광 증백제가 피부에 잘 달라붙어 피부 질환, 피부 염증, 아토피 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1.16
0
0
우주에 가면 키가 큰다던데 진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무중력 상태가 되면 중력이 없기 때문에, 중력이 있을 때에 비해 몸이 조금 느슨해질 수 있습니다. 지구에서는 중력에 의해 관절 사이에 뼈나 살이 짓눌린 상태지만 우주에서는 그렇지 않죠. 그래서 몸이 조금 늘어난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5
0
0
세면대 밑에 배관모양이 유자인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U자인 이유는 U 고리 밑에 물이 고이게 함으로써 벌레가 배관을 타고 넘어오는 것을 막고, 배관 내의 악취나 냄새가 올라오는 것을 막아주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15
0
0
핸드폰에 물이 묻으면 왜 무지개색이 보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의 간섭현상과 굴절 때문입니다. 물이나 기름이 떨어졌을 때 얇은 막이 생기며, 이 얇은 층에 의해 빛이 반사되어 나오는 빛과 그대로나오는 빛이 간섭하여 보강이나 상쇄간섭을 일으키며, 파장에 따라 색이 다르게 보입니다. 또한 파장에 따라 굴절률이 달라 굴절되는 정도도 다르기 때문에 무지개 빛이 보일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15
0
0
우박이 생기는 원인은 무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수증기,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높은 상공에서 낮은 온도에 노출된 구름 속 물은 얼기 시작하죠. 그리고 얼음 알갱이는 주변 수증기, 물 등과 접촉하며 얼음 알갱이의 크기가 커지게 됩니다. 이때 특정 크기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이 얼음 알갱이가 무거워져 지상으로 떨어지는것이죠. 이를 우박이라고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5
0
0
형광등에 전원이 공급되는 원리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형광등의 초크다마가 하는 역할을 고전압을 가해주는 역할로 형광등 점등에 꼭 필요합니다. 형광등 내에서는 전자를 발생시켜 형광 등 내의 기체에 충돌을 시켜 자외선을 발생 시키므로 초기에 높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초기 점등 후에는 고전압이 필요가 없어 초크다마가 없어도 형광등이 잘 작동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15
0
0
태양광 발전기의 원리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광은 태양 빛에너지를 금속에 가해주어 금속에서 전자가 튀어나와 전류가 되는 광전효과를 기반으로 한 발전입니다. 태양 빛중 주로 자외선이나 자외선 이상의 에너지를 가진 빛에 대해 반응하여 전자가 튀어나와 전류를 만들어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15
0
0
열기구는 어떤 원리로 하늘을 날개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열기구는 열기구 내 기체를 가열시켜 밀도를 낮춤으로써 뜨는 원리입니다.열기구는 상공에 뜨게되면 바람을 타고 움직입니다. 열기구 내에서 방향전환 기능이 없죠. 그래서 열기구를 띄우고 낮추는 것을 반복하여 바람의 세기를 조절해 운항을 하며, 높낮이에 따라 바람의 방향이 미묘하게 달라짐을 이용하여 조금의 방향만을 설정합니다. 하지만 의지대로 방향을 설정하진 못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5
0
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