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멘토스를 콜라에 넣으면 탄산이 나오는데 원리가무엇이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멘토스는 껌처럼 질긴 성질과 끈적한 성질이 있는데 이는 아라비아 고무성분 때문입니다. 그리고 콜라에는 탄산염이 있어서 청량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멘토스의 아라비아 고무성분과 탄산염이 반응하여 급속도로 탄산(이산화탄소)을 만들어내는 원리입니다.
학문 /
화학
22.11.13
0
0
지구는 둥글다는데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보는 지구는 둥근것이 맞습니다. 다누리호가 찍은 지구, 달 사진이 있으며 여기에도 둥근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나사에서 찍은 지구의 모습도 둥글죠. 물론 조작도 아니죠. 우리는 달이 지구의 그림자로 가려지는 개기월식이나 부분월식을 관측하게 되는데, 그림자의 모습은 동그랗습니다. 또한 지구가 평평하다면 모든 물리법칙이 다시 쓰여져야합니다. 또한, 지구 내에서 한 방향으로 곧장 나아가면 원점으로 돌아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3
0
0
선풍기 날개에 어떻게 먼지가 쌓이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선풍기의 원리를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선풍기의 원리는 선풍기 날개를 통해 공기를 앞으로 튕겨냄으로써 바람을 만들어 줍니다. 그런데, 선풍기가 날개를 통해 바람을 만들어 주면서 공기 중에 있는 먼지도 함께 튕겨내 줍니다. 이 때 먼지와 선풍기의 날개가 충돌하며 마찰을 일으킬 수 있으며, 마찰 때문에 발생한 정전기에 의해 먼지가 선풍기의 날개에 달라 붙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먼지는 작은 존재이고, 선풍기의 표면도 완벽하게 매끈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아주 작은 홈에 달라 붙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것들이 쌓이면서 먼지가 쌓일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13
0
0
지금 세상이 가상세계일 수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세상에는 다양한 이론이나 가정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이나 가정 중 터무니 없거나 상상력을 자극하는 것들도 많죠. 우리는 우리의 우주에 대해 아직 무지하며 아는 것이 많지 않습니다. 또한 우주의 생성조차 잘 모르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러한 이야기들이 나올 수가 있는 것이죠. 하지만 우리 세계가 가상현실이다라는 주장이 틀렸다 맞다 할 수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아직 우리는 우주를 밝혀내는 중이며 저러한 주장(가설)도 사실일 수 있기 때문이죠. 이것이 틀렸다면 틀렸다는것을 밝혀내야하며, 주장하는 사람은 자신의 주장이 맞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밝혀내야합니다. 그러니 앞으로의 행보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만한 근거를 제시하는지 지켜보는 수 밖에 없습니다.또한, 가상현실에 있다는 설이 맞다고 한들 우리의 삶이 달라지거나 행동이 달라지진 않습니다. 여전히 평소처럼 살아갈 것이며, 무언가를 위해 노력하며 살아갈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3
0
0
은도금을 하면 왜 빛이 반사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흰색도 단열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은도금을 하는 이유는 빛을 대부분 반사뿐더러 살균효과 그리고 녹이스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습니다.은도금은 대부분의 빛을 반사하지만 하얀색 처럼 모든 빛을 반사하진 않습니다. 일부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은색을 띠죠. 하지만 살균 작용이나 녹이 잘 슬지 않는 재료를 찾자면 은만한 것이 없습니다. 그래서 은도금을 하여 보온병을 만든 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11.13
0
0
계란이 에어프라이에 넣으면 터지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에어프라이기는 뜨거운 열기를 사용하여 음식을 익힌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에어프라이기 내부에서 뜨거운 공기를 순환시키며 음식을 익히는 것이죠.그런데, 뜨거운 열기는 기체나, 액체, 고체 등 물질의 운동을 활발하게 하죠. 그래서 에이프라이기에 달걀을 넣으면, 달걀이 뜨겁게 끓으면서 부피가 팽창하려하기 때문에 터지게됩니다.
학문 /
화학
22.11.13
0
0
냉장고에 깨끗한 물을 얼려도 투명하거나 혹은 불투명하게 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얼음이 얼기전에 물 내에 기체가 많이 함유된 경우에 얼게 될 시 뿌옇게(불투명하게)될 수 있습니다.기체는 높은 온도의 액체에서 잘 녹지 않으며 낮은 온도의 액체에서 잘 녹습니다. 탄산 음료를 시원하게 먹는 이유도 이 때문이죠.그래서 시원한 물의 경우나 수돗물의 경우에 이산화탄소나 다른 종류의 기체가 녹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기체가 포함된 물을 얼리게 되면, 물은 얼지만 기체는 얼지 않고 얼음에 갇히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얼음이 불투명하게 될 수 있습니다.만약, 투명한 얼음을 만들고 싶으시다면 정제된 순수한 물을 사용하여 얼리시거나, 물을 한 번 끓인 뒤(기체가 다 날아감) 따뜻한 물을 얼리시게 되면 투명한 얼음을 만드실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1.13
0
0
별이 반짝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별을 실제로 본적은 없지만 태양, 다른 별 사진을 보면 기체 모양의 구형으로 생겼습니다. 왜 ★모양이 되었냐면, 별을 보게 될 때 지구에서 보기 때문입니다. 지구에는 대기가 있고 이 대기는 빛을 산란시키기도하고 굴절시키기도합니다. 대기가 별빛을 산란시켜 별이 반짝반짝 빛나 보이게 하며 대기의 흔들림에 의해 빛이 퍼져보이게도합니다. 그래서 별이 동그랗게 보이지 않고 뾰족하게 보이기도하죠. 그래서 별모양이 된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3
0
0
탈모는 100% 유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탈모도 유전이될 수 있습니다. 또한 후천적으로 스트레스를 받거나 머리 두피에 손상을 입으면 탈모가 생길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1.13
0
0
화산은 어떻게 일어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판과 판이 만나는 경계부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의해 주로 발생합니다. 판과 판은 조금씩 이동하고 있는데, 판이 벌어지거나 판이 충돌하면 마찰과 충격에 의해 지진과 화산폭발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3
0
0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