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지구 끝에서 끝으로 땅을 파는게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지구중심부로갈수록 뜨거워지며, 중심부의 온도는 무려 5000도 이상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열을 버티며 뚫을 수 있는 기술이나 장비가 없습니다. 또한 지구를 뚫어냄으로써 나오는 잔여물(마그마, 암석 등)을 지상으로 옮기는 것도 기술이 필요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1
0
0
마시는 물도 유통기한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유통기한이 존재합니다. 다만, 서늘하고 햇빛이 들지않는곳에 보관하게되면 오래두고도 마실수있다고합니다.
학문 /
화학
22.11.11
0
0
다른 행성의 토양으로 식물을 키울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일단 식물이나 생물이 살기위해서는 산소가 필요합니다. 호흡을 통해 생명활동에 필요한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죠. 또한 토양에 양분이나 물이 있어야 잘 자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건이 갖춰진 행성이라면 식물이 살수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1
0
0
사건의 지평선의 정확한 개념이뭐에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건의 지평선은 블랙홀이 될 수 있는 반경을 의미합니다.행성이나 별은 거대한 질량체로 중력을 행사합니다. 하지만 이 중력은 빛을 흡수할 정도로 강하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별의 크기(반경)가 줄어들 경우, 중력이 강한 부분이 생길 수 있습니다. 중력은 만유인력으로 거리가 가까울수록 강하기 때문이죠. 그리고 별의 크기가 줄어 강한 중력이 행사하는 부분이 생기고 빛조차 탈출할 수 없는 반경이 존재합니다. 이 반경으로 그린 구 표면이 사건의 지평선이죠. 즉, 빛조차 탈출을 못하는 경계부이고, 블랙홀이 될 수 있는 경계입니다. 또한 이 반경은 총 질량이 클수록 커집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1
0
0
미세먼지 농도 측정은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미세먼지 농도 측정은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합니다. 미세먼지 대기에 고르게 분포하고, 어느 부분이나 농도가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대기의 일부를 포집해 미세먼지를 여과시켜 질량을 잼으로써 농도를 구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1
0
0
메타버스라는 내용을 뉴스에서 많이 접합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실생활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메타버스란 일종의 게임이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가상현실 속에서 본인을 대신할 아바타나 케릭터를 이용하여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11
0
0
조력발전은 어떤원리로 전기를 생성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조력발전기는 바다 해수의 높낮이의 변화를 이용해 물을 유입시켜 터빈을 돌리는 원리입니다! 또한 이러한 원리로 조력발전기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원리로 전기를 생산해냅니다. 해수의 높낮이 변화로 물이 유입되게끔 하여 터빈을 회전 시킴으로써 터빈에 연결 된 자석이나 코일이 회전하며 유도 전류를 만드는데, 이 전류를 모아 전기로 사용합니다.전자기 유도 현상이란 코일(도선)이 있고, 코일 주변에 자석(또는 전자석)이 움직이거나 자기력이 변화하고 있을 때 코일(도선)에 유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11
0
0
우주에서 별과 별의 거리를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별과 별사이 거리를 구하기 위해 먼저 지구와 별사이 거리를 구해야합니다. 지구와 별사이 거리를 각각 알고 별1과 별2사이각을 측정함으로써 삼각함수를 이용해 별과 별사이 거리를 정확히 구할 수 있습니다.<지구에서 별까지 거리 구하는 법>별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2가지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1. 별의 연주시차를 이용한 방법이 있습니다.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별은 태양, 지구와 멀리 떨어져 있죠. 지구가 태양을 기준으로 반 바퀴 돌 동안(6개월) 거리를 재고 싶은 별을 관측합니다. 지구의 공전으로 인해 별의 위치가 바껴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 바뀌기 전의 별의 위치와 바뀐 후의 별의 위치를 이용하여 사잇각 θ를 측정합니다. 그러면 아래 그림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는 1AU로 아는 값이고, 태양과 별 그리고 지구와 별 사이의 각이 θ/2 이므로 삼각함수를 이용해 태양과 별 사이 거리를 찾을 수 있고, 지구와 별 사이 거리도 찾을 수 있습니다. 2. 별의 밝기를 이용하여 찾을 수 있습니다.별에는 절대등급과 겉보기 등급이 있습니다. 절대등급은 별의 실제 밝기이며, 겉보기 등급은 지구에서 볼 때 밝기 등급입니다. 만약 지구에서 별을 보았는데, 실제보다 밝다면 가까이 있는것이고, 실제보다 어둡다면 멀리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별의 절대등급은 관측을 통해 알 수 있으며, 겉보기 등급 또한 관측을 통해 알아낼 수 있습니다. 빛의 밝기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줄어드는 원리를 이용하면 별까지 거리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1
0
0
은행잎은 왜 노란색으로 단풍이 드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은행나무는 잎이 넓지만 겉씨식물로 침엽수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봄부터 여름까지 엽록소가 만들어지면서 초록 잎을 유지하였지만 가을이 되면서 이 엽록소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이유는 떨켜층에 의해 나뭇잎에 수분이 부족해지고 영양분이 쌓여 산성을 띠게 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됩니다. 엽록소가 분해되며 노란, 주황, 빨강, 핑크 등으로 색이 바뀌어 단풍이 지는 것이죠.또한 색이 다른 이유는 색소의 종류와 함유량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붉은색은 엽록소가 분해되며 안토시아닌을 생성하며 띠게되고, 노란색은 크산토필, 카로티노이드가 생성되면서, 갈색은 크산토필, 타닌이 생성되면서 띠게되는 색입니다. 즉, 은행나무가 노랗게 물드는 이유가 위와 같습니다.엽록소가 분해되는 이유는 겨울 동안 나무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고 나무 내에 있는 수분을 최소화(수분이 얼면 부피가 증가해 손상을 입기때문에)하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그 중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잎과 나뭇가지 사이에 떨켜층을 형성하여 나뭇잎에 수분 공급을 중단시키고 나뭇잎으로부터 에너지(양분) 공급을 중단 받아 나뭇잎의 농도가 올라 산화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돼 단풍이 들게하며 이후에 낙엽이 되어 떨어지게 만듭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11
0
0
꿈이라는거는 어떻게 꾸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꿈은 자면서도 뇌가 활동하기 때문에 꾸게 되는것입니다. 잠을 잘 때 우리 몸에서 특정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이 호르몬이 뇌에도 영향을 줍니다. 영향을 받은 뇌는 뇌의 부분 부분에 신호를 보내게 되죠. 그러면서 뇌는 활발하게 활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활동이 꿈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시각, 청각, 후각 등 여러 감각도 결국 뇌가 판단하는 감각이기 때문에 뇌의 활동으로 인해 실제로 있는거처럼 착각을 가져온 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1.11
0
0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