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돌의 종류마다 전기가 통하는 정도가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돌의 경우 보통 전기가 통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철이나 다른 금속을 함유한 돌이라면 전기가 잘 통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돌마다 전기가 통하는 정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10
0
0
땅속 깊은곳 에너지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상에 있는 것은 이미 발견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이며, 석유와 가스는 땅에 매장되어 보관될 수 있기 때문에 땅속 깊은 곳에 있죠. 그리고 땅속 깊은곳에 지하 공간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석유와 가스가 매장될 수 있는 공간이 생긴 것입니다. 또한 반대로 석유와 가스가 생겨나며 공간이 생겼을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0
0
0
밀물이랑 썰물이 생기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밀물과 썰물은 조수간만의 차라고 하는것이죠. 조수간만의 차는 태양, 달의 만유인력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 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에 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0
0
0
유리는 왜 전자레인지에 돌리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유리의 경우 온도에 민감한 물질입니다. 차가운 곳에 있다가 뜨거운 곳에 가면 부피가 팽창해 균열이 생기거나 깨질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유리는 전자레인지에 돌리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학문 /
화학
22.11.10
0
0
태양도 은하중심으로 공전을 하는게 맞는건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좋은 질문입니다!네, 태양계도 은하중심을 공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구요.은하의 중심은 블랙홀이나 태양과 같은 별이 있으며, 은하 중심과 태양계 사이에 거리가 굉장히 멀기 때문에 계절변화와 같은 현상은 아주 미미하게 있습니다. 또한, 태양계가 은하를 중심으로 공전하고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며 지구가 은하의 중심을 기준으로 빠르게 이동할 때와 느리게 이동할 때가 존재하며, 미미한 온도의 변화도 존재합니다!그리고 지구가 은하의 중심을 기준으로 이동하는 속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흑물질을 탐지하려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암흑물질이 우주에 많이 분포해 있다고 가정하고 지구가 빠른 속도로 우주를 지날 때 지구와 상대적으로 암흑물질이 우리 지구를 아주 빠르게 지나기 때문에 높은 에너지로 충돌을 하게 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암흑물질을 탐지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0
0
0
빅뱅이론의 과학적인 근거 뭐였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빅뱅이론의 과학적 근거는 우주 생성당시 수소와 헬륨의 질량비, 양성자와 중성자의 개수비 등이 증거가 됩니다. 이것이 증거가 되는 이유는 이를 가지고 현재 우주의 배경 복사의 온도를 계산하여 예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주에서 오는 빛인 우주 배경 복사를 관측한 결과 2.7K 정도이며 예측값과 비슷한 결과입니다. 또한,우주 배경 복사는 급팽창의 증거가 됩니다. 우주 배경 복사를 관측한 결과 우주 전체적으로 동일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고, 멀리 떨어진 부분에서도 유사성을 보게 되었습니다. 이는 우주가 한점에서 시작되어 팽창한 결과로밖에 설명이 되지 않기 때문에 근거로 들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0
0
0
식물의 각 부분은 어떤일을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뿌리로부터 수분, 양분 흡수, 줄기는 영양분, 수분의 이동, 잎에서는 호흡과 광합성 및 수분 배출, 꽃에서는 번식을 위한 준비, 열매는 영양분을 저장하고 씨를 보호하는 역할 등을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10
0
0
신기루가 생기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의 굴절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신기루는 뜨겁게 달궈진 지면과 상공의 공기차로 인해 빛의 굴절에 의해 발생합니다. 우리 뇌는 빛이 들어오면 일직선 상에서 들어온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신기루로 보는 물체는 실존합니다. 단지 빛이 굴절되어 보이는 현상이기 때문에 그 위치에 없을 수는 있지만, 굴절 원리를 통해 경로를 정확히 판단해 찾아간다면 발견할 수 있습니다. 마치 유리잔에 물을 가득 채워 놓은 뒤 젓가락이나 빨대를 넣었을 때 휘어보이는 현상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0
0
0
한국에서 살던 공룡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도 공룡의 화석이 발견된 곳이 있습니다. 1973년 경북 의성군 금성면 탑리에서 발견되었는데, 한국 최초의 공룡 화석으로 공룡의 팔꿈치뼈를 발견하였습니다. 그리고 공룡의 이름은 '탑리 한외룡'이라고 명명했죠. 영어 이름은 울트라 사우르스 입니다. 이 공룡의 생존 시기는 중생대 백악기 전기 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10
0
0
강가나 냇가의 물고기는 왜 뛰어오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고기가 수면위로 튀어 오르는 이유는 공기중에 곤충이나 날벌레를 잡아 먹기 위해 점프를 하기도 하고, 산소를 먹기 위해 점프를 하기도 하며, 포식자나 기생충으로부터 피하기 위해 점프를 하기도 합니다. 돌고래 같은 경우에는 놀기 위해 재미로 점프를 하기도 하는데,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물고기도 이러한 경우가 있을듯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10
0
0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