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기억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가능합니다. 우리의 뇌는 어릴적부터 현재까지 뇌라는 저장장치에 기억을 저장합니다. 그리고 꺼내 쓸 수 있죠.또한, 전자기기의 저장장치에 녹음을 하거나 글로 남기거나 영상으로 남기는 등 저장을 시켜 언제든 꺼내보게 할 수도 있습니다.하지만, 뇌파를 저장하는 기술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고, 뇌파에 대한 연구는 진행중이기 때문에 뇌파를 완벽하게 분석하는 날이 온다면, 뇌파 또한 저장할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10
0
0
왜 추위를 느끼면 이가 달달 떨릴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몸은 36.5도를 유지하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를 항상성 유지라고 합니다.항상성은 체온 유지, 체내 농도 유지, 체중 유지 등이 있습니다. 대표적인것은 체온 유지입니다. 우리의 체온은 36.5도씨 정도로 항상 유지되는 온도입니다. 더우면 땀을 흘려 체온을 떨어뜨리며, 추우면 몸이 떨려 체온이 올라갑니다. 즉, 추울 때 이가 떨리고 몸을 떠는 이유는 떨어진 체온을 올리기 위해 우리의 의지와 상관없이 열을 올리기 위한 운동이 일어나는 것이죠. 또한, 체온을 뺏기지 않게 하기 위해 표면적을 줄이려고 움츠러드는 것이라 몸이 굳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1.10
0
0
울면 칼로리가 얼마나 소모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우는 경우에 시간당 240~360kcal가 소모된다고 합니다.
학문 /
화학
22.11.10
0
0
바다가 추워도 얼지않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소금 때문에 어는점이 낮아져 잘 얼지 않습니다. 하지만, 바닷물의 어는점은 -2도로 그렇게 낮은 온도가 아닙니다. 그런데도 얼지 않는 이유는 바다가 드넓기도하고 파도가 치거나 출렁임이 있어 얼음이 금방 깨지곤 하여 잘 얼지 않죠. 하지만 많이 추울 경우 해안가의 바다가 서서히 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0
0
0
지구에서 사람은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진화론을 증명하기위해 연구를 하시는 분들도 계시며, 창조론을 믿는 분들도 계시며 이에대해 연구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진화란 것은 단기간에 이루어지는것이 아니라 증명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과거 유적, 유골을 찾아 진화의 증거를 밝히려고 연구하고 있죠. 창조론 또한 증명이 어렵기 때문에 이를 설명하기 위해 연구를 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0
0
0
우주의 탄생에 대한 가설들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가장 각광받는 이론은 빅뱅 이론이며, 빅뱅이론 말고도 정상 우주론이 있습니다. 우주가 팽창하면서 새로운 물질이 만들어진다는 설입니다. 즉, 밀도가 일정한 상태가 유지되며 점점 영역을 확장해 나가는 우주 모형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0
0
0
사각형을 능가하는 효율은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각형인 이유는 공간을 활용하는데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원형으로 건물을 짓게 되면 건물끼리 다닥다닥 붙일 때 빈공간이 많이 생깁니다. 또한, 삼각형으로 짓게 될 경우 건물끼리 붙여 지을 때 빈공간을 없앨 수 있지만, 집안 내에서 모서리의 사용도가 떨어지기 때문이죠. 그래서 사각형이 공간을 활용하는데 효율적입니다. 그렇지만 꼭 네모일 필요는 없습니다! 건물의 디자인은 취향이며 현재는 디자인이 좋은 건물이 더 보기 좋기 때문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0
0
0
지구 온난화는 왜 생기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공장운영, 나무 베기, 산깍기, 자동차 사용, 플라스틱 사용등으로 온실 기체가 생성되며 지구의 온난화의 원인을 제공하였습니다. 온실 기체로는 대표적으로 이산화탄소가 있으며, 메탄, 황 등이 온실 기체가 됩니다. 이러한 온실기체는 지구에서 우주로 열을 방출해야하는데 온실효과로 인해 방출율이 줄어들게 합니다. 때문에 온난화가 일어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0
0
0
태양의 에너지는 지구가 없어지기 전 영원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행성의 수명은 태양계 내의 별인 태양의 폭발 시기 까지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태양의 현재 나이는 46억년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태양의 수명은 대략 100억년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54억년 뒤에 태양이 죽음에 다다르게되면 적색거성이 되며 팽창하다가 일부는 성운이 되고 핵은 백색 왜성이 됩니다. 이 때 태양이 팽창하며 여러 행성에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 때가 행성의 마지막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팽창의 정도는 지구를 침범할 정도는 물론, 크기가 더욱 커진다면 화성까지 먹힐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0
0
0
발바닥에도 살 찔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살은 어디에도 찔 수 있습니다. 귀나 발가락, 손가락에도 살이 찔 수 있습니다. 또한 발바닥에도 살이 찔 수 있죠. 하지만, 몸무게를 지탱하는 부분이 발바닥이며, 대부분 세포가 자라도 죽거나 옆으로 퍼지기 때문에 발바닥에 살을 찌워도 키가 크거나 하진 않습니다. 오히려 몸에 살이 찌면 허리나 관절의 뼈마디 마디가 눌려 작아질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10
0
0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