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스텔스 비행물체들은 정말 상대방의 레이더 에 포착되지않습니까?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스텔스기는 눈으로는 관측이 되지만, 레이더 망에는 포착이 되지않습니다. 보통 비행기의 위치를 파악할 때 레이더를 사용하며, 이는 비행체에 전파를 보내 반사되어나오는 전파를 다시 받는 식으로 감지를 합니다. 그런데 비행체가 없다면 당연히 전파는 반사되지않고 되돌아오지도 않지요. 스텔스기는 이 원리를 역이용하여 스텔스기로 들어오는 전파를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 전파망에 포착되지 않게합니다. 그래서 레이더망에 포착되지않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6
0
0
수맥이 흐르는 곳에는 사람이 잘 살지 못한다는데 과학적으로 근거가 있는 얘기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맥의 과학적인 원리는 없습니다. 또한 수맥의 봉도 과학적인 원리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단순히 봉을 크기가 있는 구멍에 꽂아 이동하는 움직임과 진동으로 봉이 움직이는 것이죠. 봉이 모아지는 것 또한 하나의 움직임 중 하나로 수맥에 의한 과학적인 원리는 없습니다.풍수지리의 경우 삶의 지혜라고 보실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05
0
0
지구에는 왜 4계절이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계절이 바뀌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지구의 공전궤도면과 수직하게 서있지 않고 기울어진 채로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입니다.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채로 공전하며 남반구가 태양과 가깝게 놓이게 되면 여름, 가장 멀게 놓이게 되면 겨울, 그 중간을 봄과 가을을 맞이합니다.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아 온도가 높아져 뜨거워지는 여름, 태양 에너지를 적게 받아 온도가 떨어져 추워지는 겨울 등으로 계절성이 나타나는 것이죠. 봄과 가을은 여름과 겨울의 중간 계절입니다.자전축의 기울기가 생명의 존재 가능성과 큰 연관성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자전축이 기울여지지 않아도 오히려 별과의 거리가 더 중요해보입니다. 장반경의 끝과 끝에 놓일때 여름과 겨울이 미미하게 존재 가능하며, 별과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면 더욱 온난하고 따뜻한 계절을 1년 내내 맞이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5
0
0
지구에 많은 물은 어떻게 생겨 났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에 있는 물에 대한 기원을 찾고자하는 연구가 현재도 진행중입니다. 아직 정확한 근원을 과학적으로 밝히진 못했습니다.크게 2가지 설이 있습니다.1. 지구가 만들어지면서 물도 만들어졌다.2. 혜성이나 소행성의 충돌로 혜성, 소행성에 품고 있던 물이 지구로 온 것이다.두번째 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지구가 만들어질 당시 뜨거운 상태에서 물은 모두 증발하였기 때문에 지구가 만들어지면서 물이 만들어 졌어도 물이 남아 있을 수 없다며 주장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소행성, 혜성 충돌의 증거를 찾고 그 물질을 분석하여 물을 공급했다는 증거를 찾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5
0
0
쓰레기 처리가 곤란할때는 용암에 녹이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용암에 녹이는 것이나 불에 태우는 것이나 같은 효과를 불러일으키는데, 이러한 경우 환경오염에 영향을 주는 물질이나 가스가 방출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용암까지 가는 비용과 위험한 정도를 따지면 태우는 것이 더 안전하며 효율적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에 용암에 버리지는 않습니다.
학문 /
화학
22.11.04
0
0
오리너구리는 알을 낳는다고 하는데 포유류가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포유류는 알을 낳는 단공류를 포함하여 새끼에게 젖을 통하여 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동물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포유류의 정의는 생각보다 복잡하여 여러 조건(새끼, 수유, 털, 털의 변화로 비늘 및 가시 등)을 따져 포유류인지 아닌지를 판단합니다. 그래서 오리너구리는 알을 통해 새끼를 낳지만 새끼에게 수유를 하여 양분을 공급하기 때문에 포유류에 속합니다. 알을 낳는 포유류는 바늘두더지도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04
0
0
중력이 세면 전파같은 신호도 끌어당기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강한 중력은 시공간을 휘게 만듭니다. 그래서 전파(전자기파=빛) 가 강한 중력 주변을 지날 때 휘거나, 블랙홀의 경우는 빨려들어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에는 교신을 못하거나 방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빛의 공간상에서 최단 거리를 이동하려고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강한 중력에 의해 공간이 휘면서 최단거리가 곡선이 되며 중력을 행사하는 질량체 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4
0
0
전자렌지를 쓸 때 주변에 둔 블루투스 스피커가 자꾸 끊기던데 이건 어떤 현상 인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레인지의 마이크로파는 2.4GHz~2.5GHz 정도의 진동수를 갖습니다. 그리고 블루투스나 와이파이의 전파가 이러한 전파에 간섭을 받아 끊기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피하기 위해서는 블루투스를 전자레인지와 먼 거리에 두시면 해결될듯 싶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04
0
0
별이 이동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가 태양 주변을 공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별의 위치가 시간이 지나며 변하는 것이죠.별은 주변의 밝기에 따라 잘 보이거나 잘 보이지 않게 됩니다. 학교의 경우 주변이 어두운것으로 판단되며 별이 잘 보일 수 있는 환경같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4
0
0
간지럼을 태우면 왜 웃음이 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간지러운 부위, 간지럼은 기본적으로 작은 자극을 받고 있는 부위입니다. 그리고 이 자극은 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해주죠. 그런데, 우리가 간지러운 부위를 긁게되면 작은 자극이 아닌 큰 자극이 됩니다. 그리고 큰 자극이 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되며 작은 자극의 신호를 없앱니다. 그러면서 간지러움이 사라지는것이죠. 그래서 시원한것이구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4
0
0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