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전기차의 본네트부분에 눈이 쌓이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현재 따로 조치할 방법이 없어 보입니다.. 현재로썬 털어내거나 쓸어내는 수밖에 없는 듯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04
0
0
라니냐가 무엇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라니냐의 경우는 엘니뇨와 반대로 무역풍이 강화되면서 발생되는 현상으로 서태평양의 수온이 상승하고 동태평양의 수온이 하강하며 발생하는 현상입니다.적도 부근 열대 태평양은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태양에너지가 유입되는 곳입니다. 평소 태평양의 서쪽은 해수면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고 태평양의 동쪽은 낮은 해수면온도 분포를 보입니다. 엘리뇨가 나타나는 이유는 무역풍이 약화됨에 따라 평상시 바다 밑에서 올라오던 차가운 물이 상승하지 못하게 되어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차가운 물이 상승하지 못하여 태평양의 동쪽 해수면 온도가 평상시보다 높은 상태로 지속되는 현상이 바로 엘니뇨입니다.
학문 /
화학
22.11.04
0
0
우주의 크기는 어느정도 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의 크기는 우주가 팽창할 떄의 허블의 법칙과 도플러 효과, 그리고 관측을 통해 구할 수 있습니다.우주의 팽창속도는 허블의 법칙에 따라 팽창하므로 73km/s/Mpc로 멀어지고 있습니다. 허블의 법칙은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팽창속도가 커진다는 법칙으로 1Mpc떨어진 거리에서 서로간 멀어지는 속도는 73km/s라는 의미입니다. 즉, 이에 따르면 우주의 끝은 우리로부터 빛보다 빠르게 후퇴하고 있습니다.즉, 우리와 떨어진 항성(별)에서 부터 나오는 빛은 우주 팽창에 의한 도플러 효과로 적색편이가 일어납니다. 그래서 관측가능한 별 빛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파장 변화를 측정하여 별의 후퇴 속력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후퇴속력에 대해서는 허블의 법칙을 따르므로 73km/s/Mpc으로 후퇴속력을 나눔으로써 거리를 알 수 있는 것이죠. 이는, 관측가능한 별 빛에 대해 계산함으로써 가장 먼거리의 별 빛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 것이 관측가능한 우주의 사이즈가 됩니다.우주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팽창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지구 중심으로부터 관측 가능한 우주까지의 거리가 465억 광년(빛의 속도로 465억년 이동해야 갈 수 있는 거리)이라고 합니다. 직경 930억 광년이죠. 이는 관측 가능한 선 내에서 우주의 크기를 추정한 것으로 실제로는 더 클 수 있습니다. 우주는 굉장히 광활하며 아직 밝혀지지 못한 것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그래서 인류는 호기심을 가지고 우주를 이해하고 밝혀내려고 지속적인 연구를 하고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4
0
0
현재 우리가 가진 기술로 과학적으로 가장 가까운 별에 갈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 말고 가장 가까운 별은 4.24광년 떨어진 별이 있습니다.현재 가장 빠른 우주선의 시속 39,500km 입니다. 이 속도로 가려면 10만년 이상걸립니다. 즉, 현대 기술로는 불가능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4
0
0
우주의 팽창속도가 빛보다 빠르다는 명확한 근거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의 크기는 우주가 팽창할 떄의 허블의 법칙과 도플러 효과, 그리고 관측을 통해 구할 수 있습니다.우주의 팽창속도는 허블의 법칙에 따라 팽창하므로 73km/s/Mpc로 멀어지고 있습니다. 허블의 법칙은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팽창속도가 커진다는 법칙으로 1Mpc떨어진 거리에서 서로간 멀어지는 속도는 73km/s라는 의미입니다. 즉, 이에 따르면 우주의 끝은 우리로부터 빛보다 빠르게 후퇴하고 있습니다.즉, 우리와 떨어진 항성(별)에서 부터 나오는 빛은 우주 팽창에 의한 도플러 효과로 적색편이가 일어납니다. 그래서 관측가능한 별 빛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파장 변화를 측정하여 별의 후퇴 속력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후퇴속력에 대해서는 허블의 법칙을 따르므로 73km/s/Mpc으로 후퇴속력을 나눔으로써 거리를 알 수 있는 것이죠. 이는, 관측가능한 별 빛에 대해 계산함으로써 가장 먼거리의 별 빛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 것이 관측가능한 우주의 사이즈가 됩니다.현재 검증을 더 해봐야 알겠지만 우주가 등속팽창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허블의 법칙을 깨며, 우주의 나이, 우주의 크기등도 다시 계산을 해야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4
0
0
최소한의 수면시간으로 적정한시간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니요. 오히려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적정 수면 시간은 7~8시간정도입니다. 휴식이 있어야 효율적으로 운동, 일, 일상적인 생활등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람마다 적정 수면 시간이 조금씩 달라 어떤 사람은 5시간만 자도 괜찮게 생활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사람은 8시간을 자도 피곤한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니 본인에게 맞는 적정 수면 시간을 찾아 주무시는 것이 좋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04
0
0
건조기 사용 후 나오는 먼지는 옷에서 나오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전부 옷에서 나온 먼지입니다. 옷이나 수건에는 우리에게 보이지 않는 먼지나 섬유 조각이 굉장히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탈탈 털어 건조기에 말리고, 건조기 청소를 주기적으로 해주는 것이 좋죠.
학문 /
화학
22.11.04
0
0
손을 씻으면 소변이 마련운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조건반사와 같은 것입니다. 보통 소변을 보러 화장실에 가게 되는데, 여태 그러다보니 손만 씻으러 가거나 잠시 화장실을 보기만해도 소변이 마려울 수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04
0
0
빅뱅 발생 이전 공간은 어떤상태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사람들이 굉장히 궁금해하는 질문이지만 아쉽게도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저도 알고싶습니다. 빅뱅 이전에 대해서 어떠한 관측자료도 없고 어떤 식으로 접근해야할지 모릅니다. 왜냐하면 과학적으로 무언갈 이야기하려면 관측, 측정의 근거가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증거가 하나도 없죠. 그래서 아쉽게도 알 수 없습니다. 그부분에 대해서는 먼 미래에 밝혀질지도 의문이네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4
0
0
지구의 남아있는 수명은 어는정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자연 생태계 붕괴는 지구의 죽음보다 생명체의 죽음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지구 나이 45억년 정도입니다. 지구 행성의 수명은 태양계 내의 별인 태양의 폭발 시기 까지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태양의 현재 나이는 46억년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태양의 수명은 대략 100억년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54억년 뒤에 태양이 죽음에 다다르게되면 적색거성이 되며 팽창하다가 일부는 성운이 되고 핵은 백색 왜성이 됩니다. 이 때 태양이 팽창하며 여러 행성에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 때가 행성의 마지막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4
0
0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