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중력에 의해 시간이 느리게 갈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중력이 강한 곳에서는 시간이 느리게 흘러가고, 상대적으로 중력이 약한 곳에서는 시간이 빠르게 흘러갑니다. 이러한 것을 시간 지연 효과라하고 합니다.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대성이론을 알아야합니다. 상대성 이론에서는 중력이 큰 부분에서는 가속운동을 하게 되는 경우와 등가입니다. 중력이 클수록 가속이 큰것이고 빠르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러면 특수상대론으로 넘어오게 되는데, 특수상대성 이론에서는 상대적으로 달리는 사람의 시간이 느리게 흐르고 기준점에 있는 사람은 시간이 빠르게 흐릅니다. 즉, 중력이 큰, 가속이 큰, 속력이 빠른 물체에 대해 시간이 느리게 흐르고, 중력이 작으면 시간이 빠르게 흐릅니다.
학문 /
물리
22.11.04
0
0
녹음된 목소리를 들으면 자신의 목소리같지 않고 이지감이 느껴지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리의 전달 경로 때문입니다. 본인이 말하는 목소리는 목과 입의 진동으로 본인의 몸과 얼굴을 거쳐 귀로 전달되는 소리입니다. 녹음을 한 목소리는 목과 입의 진동소리가 공기를 타고 녹음기로 들어간 소리입니다. 이처럼 소리의 전달 경로가 달라지면서 목소리가 달라져 들립니다.
학문 /
화학
22.11.04
0
0
제주도에 가면 거꾸도 흐르는 폭포가 있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 실제로 거꾸로흐르진 않지만 시각적인 착시 때문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리의 눈이 감지할 수 있는 빛의 주파수(진동수) 정해져 있기 때문이죠. 우리가 감지할 수 있는 주파수를 넘기게 되면 폭포가 낙하하는 모습도 역순으로 이동해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우리가 일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데 손가락을 펼쳐 좌우로 빠르게 흔들면 잔상이 남는 것과 같습니다. 또한, 가끔 차량을 타고가다 옆에 이동하는 차량의 바퀴를 보면 거꾸로 움직여보일 때도 있습니다. 즉, 시각으로 감지하는 한계 때문에 뇌의 착각을 일으키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4
0
0
우리가 자주 마시는 탄산 음료를 냉장고에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탄산을 최대한 안빠지게 하려면, 마실 때에도 얼음통을 사용하여 차갑게 유지해주어야합니다. 기체는 온도가 낮을수록 액체에 더 잘 용해(녹아)됩니다. 또한, 뚜껑을 완벽히 꽉 닫아 두는게 중요하죠. 그래도 냉장고에 보관하면 조금씩은 빠지게 됩니다. 왜냐하면 이미 뚜껑을 연 순간 압력이 낮아져있기 때문이죠. 이는 기체는 압력이 높을수록 더 잘 용해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최대한 온도를 낮춰 보관하는게 가장 탄산을 오래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학문 /
화학
22.11.04
0
0
반딧불은 어떻게 빛은 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반딧불이는 몸에서 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을 내뿜는데 이 루시페린이 공기중 산소와 만나 화학반응을 하며 빛을 냅니다. 그리고 반딧불이는 공기가 맑은 지역에 서식하고 있어서 도심에서 보기가 힘든게 아쉬운 점입니다. 논이 많은 곳이나 숲이 우거진곳, 산이 많은곳에 가야 볼 수 있게되었습니다. 반딧불의 밝기는 3 [㏓](럭스) 정도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집의 밝기는 300~400 [㏓] 정도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4
0
0
백금(platinum)은 인공적인 합금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백금은 사람에의해 만들어진 것은 아니며, 백금은 자연에 존재하는 원소입니다.백금(platinum)은 원자번호 78번을 가지는 원소입니다. 색은 회백색이죠. 원소기호로 Pt라고 씁니다.금(gold)은 원자번호 79번을 가지는 원소이며 색은 노란, 금색이죠. 원소기호로는 Au라고 씁니다.이 백금은 금(gold)이나 은(silver)와 다른 원소입니다. 마치 산소, 수소, 헬륨 과 같이 다른 종류의 원소입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1.04
0
0
아침에 안개끼면 낮에는 쨍쨍한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고기압 지대에서 새벽에 안개가 낄 수 있습니다. 밤부터 새벽까지는 식물의 광합성은 없고 호흡만 일어납니다. 그리고 호흡을 통해 수분 생성되며, 잎의 기공을 통해 나와 잎의 표면에 물이나 수증기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죠. 그리고 고기압의 영향으로 수증기가 증발하지 못하고 지표면에 쌓이게 되는데, 기온이 낮은 새벽에 수증기가 쌓이며 포화수증기량을 넘어서 안개를 형성하게 됩니다. 그리고 안개 낀 날의 낮에는 대부분 날씨가 맑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고기압 지대이기 때문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4
0
0
뱀은 왜 다리가 없도록 진화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동물, 생물은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뱀같은 동물은 다리가 없지만 뼈마디가 굉장히 많기 때문에 나무를 타거나 조용한 이동이 가능하죠.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 피식자가 눈치못채게 사냥을 하며 살아남은 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1.04
0
0
디지털 Door Lock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디지털 도어락의 원리는 특정 비밀번호를 입력한 뒤, 그 비밀번호를 입력하였을 때만 문이 열리게끔 신호를 보내는 형식입니다. 즉, 암호화 한 것이죠. 암호를 눌러 특정 신호를 만들어내야만 문이 열리는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04
0
0
김치는 숙성해도 왜 곰팡이가 생기지않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곰팡이가 생기지 않는 이유는 소금에 절였기 때문입니다.소금이나 소금에 절인 음식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들러붙게 되면, 삼투압으로인해 세균의 외피로 세균의 체내 수분이 전부 빠져나가 말라 죽게됩니다. 그래서 김치가 숙성이 되지만 곰팡이가 피진 않죠. 하지만, 김치를 아주 오래두게되면 곰팡이가 피며 썩을 수 있습니다. 모든 부분이 소금에 절여진 부분이 아니며 수분이 쌓이며 염분이 낮아져 곰팡이가 자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입니다.
학문 /
화학
22.11.04
0
0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